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의경계 중심의 지적재조사사업 경계설정 개선에 관한 연구

        배우재(Bae, Woo Jae),송명경(Song, Myong Kyong),이용호(Lee, Young Ho)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2

        지적종사자의 숙원 사업인 지적재조사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지적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가의 중요한 공간정보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기존의 현실경계 위주의 경계설정 방안에서 소유자 공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합의 경계 설정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합의경계에 따른 경계설정이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경계설정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합의의 도출을 위한 조정안을 도입하고 도로중심선과 토지의 정형화를 활용하고 관련 법률과의 검토를 통하여 경계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합의경계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현실경계와의 괴리는 제도적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결정된 경계는 지상경계화 하도록 하고 경계점표지 등록부를 시스템화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합의서의 도입으로 법적인 안정성과 업무처리의 신속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It have a chance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s to have Korean cadastre so as to launc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n earnest and this project will support the increasing industry of spatial information for the country. Thus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the mutual agreement boundary determination instead of the real ground boundary in order to push forward to this project. Also it is introduced that the process of boundary determination was founded a new method using by the mutual agreement boundary determination. There are necessary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using the special methods a kind of the mutual agreement for delivering the mutual agreement, the practical use of formalizing of land shape,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al regulations. The boundary gap between the mutual agreement and real ground boundary is complemented by the cadastral institution. This paper introduces that the decided boundary make to mark the ground monument with the monument book of parcel points. Finally, this determination of the mutual boundary is possible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to provide the efficient business process.

      • KCI등재

        위성기준점 고시성과 변경에 따른 필지경계점의 위치변화량 분석

        배우재(Bae Woo Jae),홍성언(Hong Sung Eon),김윤기(Kim Yun Ki)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1

        GNSS 측위는 모든 측량 분야와 및 일상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며 위성기준점의 고시성과를 기준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진다. 그러나 재해재난과 지각변동의 원인으로 위성기준점의 고시성과는 변경되며 지적측량에는 신 구성과를 혼재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기준점의 고시성과 변화량에 따른 지적기준점과 필지경계점의 위치 이동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필지경계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 현행 제도적 범주내에서 효율적인 필지경계점 성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위성기준점의 변경에 따른 필지경계점에 미치는 영향은 허용범위 이내의 변동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한 필지경계점의 성과관리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GNSS position has been used in every measurement field and daily life, and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announcement positioning of satellite station. However, the announcement positioning of satellite station is changed due to disaster and cluster movement, and for cadastral surveying, the new and the old positioning has mixed to be used.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aim to analyze positional movement amount of parcel boundary point and cadastral reference point based on changing amount of satellite station announcement positioning. In addition, through such analyze, this study has its aim to identify impacts on parcel boundary point and to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of parcel boundary point under the current institutional category. As a result, the influences of parcel boundary point based on changes of present satellite station have been identified that it has allowable changes. And positioning management measures of parcel boundary point cor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지목불일치 해소를 위한 현실지목의 조사 방법 연구

        박진평(Park Jin Pyoung),배우재(Bae Woo Jae),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공부지목과 현실지목의 불일치 실태조사를 기초로 현행 제도적 범주내에서 수시, 정기적으로 현실지목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천시의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으로 이루어진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지목불일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포천시 지역의 지목불부합 현상이 상당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목별 지목불일치 분석에서는 답의 지목이 불일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분석에 기초해 공부지목과 현실지목의 불일치 해결을 위한 조사방법으로 상시조사 방법과 정기조사 방법을 구분해 세부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을 보다 구체화하여 시행한다면 지목불일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and procedure of a survey on the real land categories within the current institutional categories on a frequent or regular basi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surveys of the non-coincidence of registrated land categories and real land categories. In this end, the research area composed of an urban area and rural area in Pocheon-si was selected and the current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is in an advanced stage. In an analysis on the non-coincidence for each category, the non-coincidence of paddy-fields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s, to resolve the non-coincidence, the frequent survey and regular survey were used, and their detailed procedures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actualized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can help to resolve the issues of the non-coincidence of the land categ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