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배영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4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33 No.2
This study compares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in the diffusion and usage of the internet among college students. The two countries exhibit different strategies in adopting new IT, which influences the adoption rate of the internet. Although Korea and Japan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share somewhat similar values and cultur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of new media and new technologies. We attemp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 survey of 977 university students of the two countries reveal that although governmental policy fueled the diffusion of internet service usages, there are other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ption and usage of internet services. Koreans are more inclined to use the internet as a communication media, whereas the Japanese use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Individualistic vs. collectivist culture seems to have influenced these differences in usage patterns. Although Korea and Japan are often regarded to be similar in many socio‐economics developments and sometimes culture, the adoption of the internet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ompares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in the diffusion and usage of the internet among college students. The two countries exhibit different strategies in adopting new IT, which influences the adoption rate of the internet. Although Korea and Japan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share somewhat similar values and cultur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of new media and new technologies. We attemp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 survey of 977 university students of the two countries reveal that although governmental policy fueled the diffusion of internet service usages, there are other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ption and usage of internet services. Koreans are more inclined to use the internet as a communication media, whereas the Japanese use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Individualistic vs. collectivist culture seems to have influenced these differences in usage patterns. Although Korea and Japan are often regarded to be similar in many socio‐economics developments and sometimes culture, the adoption of the internet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배영화,Bae, Yeong-Hwa 한국주택협회 2006 주택과 사람들 Vol.194 No.-
휴양지의 리조트 같은 편안함을 선사하는 아파트, 제주도의 노형e-편한세상에 사는 배영화 주부, 그녀는 편안한 휴식을 주는 아파트 노형e-편한세상에서 판타지와 같은 삶을 살고 있다며 행복해한다. '쉼'의 미학을 느끼게 하는 e-편한세상에서의 리빙 라이프에 대하여.
배영 한국정보사회학회 2014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소셜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콘텐츠의 소비 및 정보공유에 있어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싸이가 발표한 음원인 ‘강남스타일’과 ‘젠틀맨’을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와 공급자 주도형 콘텐츠로 유형화하고, 문화소비자들의 기본적인 관심의 지형과 소비패턴을 검색 및 유투브, 그리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버즈워드 데이터를 통해 파악해보았다. 분석 결과, ‘생산-소비’의 단순화된 형태가 아니라 ‘생산-소비-재생산-재소비’의 형태가 이용자 참여를 통해 가능해지면서 능동적 이용자의 역할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채널별로 살펴 본 문화정보의 유통 특성에서는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가 소셜미디어에서의 구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후에 콘텐츠 소비가 증가되고, 이러한 결과가 다시 매스미디어를 통한 보도로 연결됨으로써 관심의 유지와 콘텐츠 소비를 다시 촉발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반면 공급자 주도형 콘텐츠는 미디어를 통한 보도 시점에서만 소셜미디어와 유투브에서의 구전 효과와 소비 증가가 거의 동시에 나타나고, 그 이후에는 관련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 및 확산이 두드러지게 하강하고 있는 양상이 지배적이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소비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이용자 참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