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수액주입 핵심간호술 교육 효과

        배영실(Young-Sil Bae),신경미(Kyung-mi Shin)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수액주입 핵심간호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알아보기 위함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총 45명으로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수액주입 핵심간호술을 이용한 중재군 24명과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대조군 21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 14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집단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로, 집단 내사전-사후 차이검증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문제해결능력(Z=-0.85, p=.393)과 임상수행능력(Z=-1.11, p=.263)은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수행자신감(Z=-5.04, p=<.001)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중재군이 대조군에 비해 수행자신감이높았다. 따라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수액주입 핵심간호술 경험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술기에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intravenous fluid infusion on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roug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5 nursing students.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1) a control group (n = 21), trained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and 2) an experimental group (n = 24), trained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o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July 14, 2021 to August 31,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SPSS/WIN 2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 score (Z = -0.85, p = 0.393) or clinical competence score (Z = -1.11, p = 0.263)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score (Z = -5.04, p ≤ .001) than the control group. Thus, VR simul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IV can enh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자기표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동희,배영실,김상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7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8 No.2

        Purpose: Art program has been found to enhance mood such as increasing motivation, self-expression and decreas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y art and drawing on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among elderly people at a long-term care center. Methods: The research was a pre-test and post-test non-equivalent design. Sixty older patients (clay art program=28. Drawing art program=32) over the age of 65 were recruited from 2 long-term care hospitals to participate in the 5 weeks program. Each group was scheduled with 10,120-minute evaluation sessions, twice per week. Test measures were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5 week intervention period for all participa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29, 2015. It was analyzed with SPSS 22.0 using chi-square,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depression (t=0.21, p=.830) and total score of self-expression (t=-0.10, p=.919)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pre-post scores of self-expression in the clay art program (t=0.22, p=.826)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drawing art program (t=0.80, p=.430).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lay art program for extended senior care applications.

      • KCI등재

        도예가로서의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상호,배영실,김동희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This qualitative study will examine the life experiences of Korean ceramic artists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Using in-depth interviews, 6 candidates with similar backgrounds were recruited from December 2015 to June 2016. All data was collect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s. The collated interview results revealed 12 “meaning of themes” and 5 core principals as follows: self-determination as a ceramic artist, “real life” difficulties of a ceramic artist,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their circumstances thru ceramic art, ceramics can promote constructive growth and results, and creative development of ceramic art’s positive benefits. Overall, in this analysis of ceramic artists, the participants reflected on how they adapted their lifestyles to their pursuit of clay 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lay art needs to be promoted by government, public or social programs. With the intent, to expand awareness of ceramics as a platform for artists to invigorate imagination, self-expression, and craftsmanship. 본 연구는 도예가의 삶의 경험을 통해 삶의 본질적 의미를 알아가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또한 이 연구는 사회 구성원의 관점에서 그들이 느끼는 문제점과 고충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정책의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총 6명의 도예가들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면담 시 사용한 개방형의 첫 질문은 “도예가로 살아가는데 있어 어려움은 무엇이었습니까? ”이었고, 면담 결과를 통해 도예가의 삶에 대한 내적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의미를 이들의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Giogi(1997)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12개의 주제의미를 통해 5개의 주제모음을 구성하였고 주제모음 5개는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도예입문’, ‘도예가들의 현실적 고충’,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위한 노력’, ‘도자를 통한 건강한 성장’, ‘도자예술 발전을 위한 도예가로서의 제언’으로 도출되었다. 도예가의 삶의 진정한 의미는힘든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창작행위를 통해 자신과 싸우고 있었고. 동시에 관람객들과의 만남과 소통이라는 방식으로 스스로에 대한 존재감의 확인과 성취감으로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었다. 이로써 대부분 도예가들은 열악한 환경과 고단한 일상 속에서 자기 발전을 위한 최선의 노력들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개개인의 노력의 범주를 벗어난 실질적인 현안 문제들은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도예가들에게 예술가란 직업의 기초적인 지속 가능성과 기초생활의 안정성 확보가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는 개인의 지엽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보다 큰 틀 속에서 발전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정책적 지원은 우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이자 지금보다 더욱 발전된 예술 문화산업의 확장이라는 환원적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통시장 상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요인 분석

        신경미,배영실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physical examination 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BMI between February 12 and April 13, 2018. The participants were 175 merchants from two traditional markets in U.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Levels of health-related EQ-5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moking status, exercise, total cholesterol, BMI,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and depression. The EQ-5D related factors were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health status (β=.30, p<.001), gender (β=.27, p<.001), BMI (β=-.16, p=.012), depression (β=-.17, p=.010), and working period (β=-.15, p=.021). They explained 27.2% of the total varia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13.91,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management is essential for merchants who work in traditional markets to promote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better merchants outcome, the intervention program should consider factors that are subjective health status, gender, BMI, depression, and working period in order to improve levels of EQ-5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