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통합

        배영민(Yung-Min B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4

        오늘날 사회과 교육자들은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 보아야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하여 테크놀로지가 사회과 수업에 통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가 부수적으로 수업에서 ‘첨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대신에 테크놀로지는 학생들이 도전적이고 복잡한 과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일을 돕도록 교수 학습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수업에 ‘통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기존의 교수 및 학습에 관한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 즉,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의미 있는 학습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그 다음 이러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도와주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같은 이론적 토대와 더불어, 수업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한 새로운 테크놀로지 통합의 실제를 두 연구 사례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기존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서 글을 끝맺는다. Today social studies educators must think over how technology could be meaningfully employed in classroom teaching. In this paper, I argue that technology ought to be integrated into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other words, I insist that technology should not be added incidentally in classroom teaching in the way conventional teacher-centered practice is reinforced. Instead, as a central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technology should be integrated into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actively perform challenging and complex tasks in their own ways. Reviewing previous stud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social studies teaching. That is, I first explain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en I discuss how new technologies can make contributions to support this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I also survey, through two research cases, real classroom practices that integrate new technologies into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 end this paper criticizing current classroom practices that use technologies based upon what I discussed.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배영민 ( Yung Min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쟁점 중심 사회과의 전통을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한 문헌 연구다. 이 글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네 개의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의 기본 틀과 이론적(철학적)근거 측면에서 이들을 분석한다. 또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기존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서로 간에 뚜렷한 관련이 없는 역사와 사회과학의 개념, 일반화(이론), 그리고 연구방법 등을 연대기식 또는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대신에 사회적 쟁점의 탐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지식과 경험만으로 구성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학자들은 사회적 쟁점의 탐구를 중심에 두는 사회과 교육과정이 유능한 민주 시민을 양성함으로써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민주 사회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인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은 유능한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담론은 현재 우리 사회의 위기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이 쟁점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radition in term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discourses o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paradigm to ``the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dominant in both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lects and analyzes four representative model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constructed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only directly related to social issues inquiry instead of listing the concepts, generalizations or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from history and social sciences chronologically and/or encyclopedically whose relationship is not evident. The proponent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sist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rganized around social issues inquiry is able to foster competent democratic citizens who could overcome a social crisis so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realize a better democratic society. The traditional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various limitations considering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the cultivation of a competent democratic citize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a discourses in this study imply that when we think over the crisis of our country it is necessary to reform our current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the issues-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중립적 의장직 교수 전략에 관한 논고: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 함양을 위하여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우리나라는 작년 2019년 12월에 선거권을 행사하는 연령을 18세로 낮추었다. 이러한 선거 연령의 하향에 따라 중등교육은 청소년 유권자들이 책임감 있게 선거권을 행사하도록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키워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업에서 정치적 · 사회적 쟁점들을 다루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업에서 교사는 정치적 중립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교사가 정치적 중립의 의무를 준수하면서 청소년들이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함양하게 하려면 정치적 · 사회적 쟁점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이 논문은 영국의 인문학 교육과정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중립적 의장직 교수 전략을 제안한다. 이 교수 전략에서 교사는 중립적 의장으로서 자신의 견해를 밝히지 않는 절차적 중립을 고수한다. 동시에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지고 증거자료를 비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독자적인 판단을 내리게 도와준다. 인문학 교육과정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이 교수 전략은 학생들이 권위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이성적이고 독자적인 판단력을 함양하는 데에 다른 어떤 교수 전략보다 우수하다. 그러므로 이 교수 전략은 교사가 정치적 중립의 의무를 준수하면서 청소년 유권자들이 책임감 있게 선거권을 행사하는 데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길러줄 수 있다. In December last year, the age to exercise the right to vote was lowered to 18. In line with this, secondary education should foster independent political judgment so that youth voters can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responsibly. To foster independent political judgment for youth, it is necessary to address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lasses. Teachers must abide by obligations of political neutrality when dealing with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class. How should teachers teach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o foster independent political judgment without violating political neutral obligations? This paper proposes a neutral chairmanship teaching strategy developed by the British Humanities Curriculum Project. This teaching strategy could foster independent political judgment necessary for youth voters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responsibly and ensure that teachers will abide by obligations of political neutrality.

      • KCI등재

        중등학교 사회과에서 선거 연령의 하향에 대비한 시민교육의 개혁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3

        현재 우리나라에서 선거 연령은 만 19세 이상이다. 그런데 선거 연령을 이보다 더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전개된 선거 연령의 하향에 관한 논의와 시민교육의 일부로서 선거교육에 관한 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선거 연령의 하향에 대비하여 중등학교에서 사회과의 시민교육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거 연령의 하향에 대비한 시민교육의 사명은 청소년들에게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선거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치중하는 선거교육은 정치적·사회적 쟁점들에 관한 토론을 중시하는 선거교육으로 상당 부분 전환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책임감 있는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정치적·사회적 쟁점들에 관한 탐구와 토론을 통해서 길러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앞으로 선거 연령을 지금보다 낮추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과 더불어, 이와 같이 청소년들에게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길러 주기 위한 시민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lowering the voting ag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ddresses new direc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in preparation for lowering the voting age. In this paper, four main issues surrounding lowering the voting age are discussed. The mis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and reasons why the voting age should be lowered are also presented. By criticizing the current dominant knowledge-oriented citizenship education for voting in elections, voter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discussion of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to foster students’ independent political judgement required for voting in elections, teaching strategies for effective discu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hould be developed. The large part of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also be reformed into issues-centered curriculum focusing on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 KCI등재

        Lawrence Stenhouse의 인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4

        최근에 우리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모든 고등학교에 학점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이 연구에서는 1967년부터 1972년 사이에 영국에서 Lawrence Stenhouse가 주도한 인문학 교육과정 프로젝트에서 개발된 인문학 교육과정을 고찰한다. 먼저, 그 당시에 영국에서 어떠한 사회적 배경 아래 인문학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보통교육의 한 측면으로 Stenhouse가 제안한 ‘사회교육’에 관하여 논의한다. 그리고 사회교육을 위한 인문학 교육과정을 내용, 내용 구성, 그리고 내용 선정의 측면에서 각각 상세히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인문학 교육과정이 영국의 학교에서 시민교육에 기여한 바를 검토한 후에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대비하여 중등학교에서 실행해야 하는 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의미를 살펴본다.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at all high schools would adopt a new course credit system by 2022. In relation to this educational policy, this paper investigated humanities curriculum developed by the Humanities Curriculum Project from 1967 to 1972 under the directorship of Lawrence Stenhouse sponsored by the Schools Council and the Nuffield Foundation in England. In this paper, I first explored social contexts of the humanities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ncept of Stenhouse’s social education as an aspect of gener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as then examined. I also investigated the humanities curriculum for social education in terms of its content, organization of its content, and selection of its content. I concluded the present paper by discussing implications of the humanitie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new high school credit system.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국내의 학술지 논문 분석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교육부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는 2018년부터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사회과 디지털교과서를 전면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지난 9년 동안 국내에서 출판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학술지 논문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관련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 분야의 연구와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 기간 동안 국내에서는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하여 총 11편의 이론적 연구와 총 12편의 경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한편으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가 사회과 수업을 변모시킬 수 있으리라는 얼마간의 기대를 갖게 해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과 디지털교과서를 현장에서 보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경험적 연구의 연구 방법이 개선되어야 하고,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개발은 사회과교육과정 개발이라는 보다 상위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제언한다. In August this yea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from the year 2018 all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tudents nationwide would use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in their classrooms. Using the systematic review method, this paper analyzed research articles on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07 and 2015. This study found that during the past nine years four types of theoretical studies and three type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topic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have some potentials for transforming current classroom teaching. However, they also reveal that there exist many challenges to be dealt with before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become available in every school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역량의 이해

        배영민 ( Yung Min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2

        이 글은 사회과 교사가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하여 수업에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통합하는 데 있어서 지녀야 할 역량 요인들에 관한 논의이다. 이 같은 역량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문헌을 검토하였다.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사회과 교사는 실질적으로 사회과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즉, 사회과 교사는 사회과 내용 지식, 구성주의 교수법 지식,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과 교사는 특정한 교실 수업 상황에서 이들을 적절히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성공적인 통합은 사회과 교사의 특정한 성향 요인들에 상당 부분 좌우된다. 이들 성향요인들에는 사회과 교사가 지닌 사회과 수업의 목적에 관한 관념, 교수법, 학습자,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관한 신념과 더불어 교사 개인의 기질과 인식론적 관점 등이 포함된다. 사회과 교사의 새로운 테크놀로지 통합 역량의 이해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통합을 위한 사회과 교사 교육 및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통합과 관련한 사회과 수업 연구와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평가를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Based upon current research studies, this paper presents the capacities of social studies teachers to successfully integrate new technologies into classroom teaching for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new technologies, practically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acquire social studies rel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That is,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be able to properly combine social studies content knowledge, constructivist pedagogical knowledge, and new technology knowledge in a particular classroom context.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new technologies into social studies classroom is seriously affected by the social studies teachers` various dispositional factors, such as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purpose, teachers` beliefs about pedagogy, learners, and technology, and teachers` dispositions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apacities to integrate new technologies is directly related to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chnology integration. It could also serves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search on social studies classroom teaching and th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teaching abiliti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연구 방법의 새로운 대안 모색

        배영민(Bae Yung 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2

        이 글은 교실의 수업 사례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연구하는 질적 사례 연구의 한 형태인 내러티브 사례 연구에 관한 논의이다. 필자는 내러티브 사례 연구라는 논의의 틀 속에서 사회과 수업 연구 방법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첫째 장에서는 논의의 배경으로 질적 연구의 위기를 초래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본 후, 사회과에서 수업연구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를 언급한다. 둘째 장에서는 내러티브 사례 연구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전략들을 검토한다. 셋째 장에서는 교실 수업을 연구함에 있어서 내러티브가 본질적으로 중요한 여러 이유들을 논의한다. 넷째 장에서 내러티브 수업사례 연구의 의의와 관련하여 연구의 일반화 문제와 더불어 교실 수업의 개선 및 교사교육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논의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새로운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내러티브 수업 사례 연구가 어떤 점에서 사회과 수업 연구 방법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논의하고 아울러 필자의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인다. This paper discusses the narrative case study, which is a form of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ing into a case of classroom teaching narratively.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narrative case study, I seek an alternative inquiry approach to studying social studies teachers' classroom practice. In the first chapter, I address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enter into discussion about research method for social studies classroom teaching. In the second chapter,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describe how postmodernism is related to the cri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third chapter, I define the narrative case study and discuss related research strategies.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es why it is essentially important to study classroom practice narratively. In the fifth chapter, I address the issue of generalization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final chapter, I consider contributions of narrative case study to research metho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propose some suggestions.

      • KCI등재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 심리적 토대 상고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이 글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토대와 심리적 토대를 면밀하게 고찰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중등학교의 보통교육에서 사회과는 시민교육을 담당하는 교과라고 규정하면서, 사회적 논쟁을 이성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은 기존의 역사와 사회과학의 울타리를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시에,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사를 포함한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인문학과 자연과학 지식을 아울러서 학제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하는 법리적 교육과정은 아동의 반성적 사고력 함양뿐만 아니라 역사와 사회과학의 학문 지식의 습득에도 지장을 주지 않는 사회과 교육과정이다. 또한 아동이 지닌 사회이론을 고려함으로써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학습에서 기본적인 요소인 학습의 동기, 전이, 그리고 파지 측면에서도 우수한 사회과 교육과정이다. 현재 우리는 교육과정 총론에서부터 모든 교과에 걸쳐 ‘문과·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려 한다. 이에 필자는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토대와 심리적 토대에 근거하여 원론적인 수준이지만 우리의 문과·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programs, the social studies takes on the major responsibilitie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requires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ist of controversial issues in our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which is considered a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developers seriously conside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ocial science discipline knowledge including history knowledge for gener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y also thought about very carefully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students’ learning in developing their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reform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currently undertaking. The typ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would more fully achieve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is not presently dominant discipline-based curriculum but issues-centered curriculum. Consequently, it is hoped that the revi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ill b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uch a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 모색 -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즈음하여 -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우리의 청소년들이 독자적인 판단력을 갖춘 책임감 있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수업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쟁점을 다루어야 한다. 그런데 중등학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의 실천을 가로막는 주요한 장애물 중의 하나는 평가의 어려움이다. 이 글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쟁점을 탐구하는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를 모색한다. 필자는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 Ralph Tyler가 제안한 목표 모형의 전통적 평가 방식을 비판한다. 그리고 목표 모형의 대안으로 Lawrence Stenhouse가 제안한 과정 모형의 대안적 평가 방식으로 성취기준 참조 평가(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를 고찰한다. 또한,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인 인문학 수업과 법리적 수업에서 시행한 성취기준 참조 평가의 실제를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로서 성취기준 참조 평가제의 도입을 제안한다. In order for our youth to grow into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with independent judgment, teachers must address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lasses. However, one major obstacle to the practice of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is the difficulty of assessment. This article seeks an appropriate assessment system for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that explore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First, this study criticized the traditional assessment approach of the objectives model proposed by Ralph Tyler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idering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approach of the process model proposed by Lawrence Stenhouse as an alternative to the objectives model,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practice of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conducted in humanities class and jurisprudence class as representative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system as an appropriate assessment system for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