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 정주환경분석을 통한 과소마을 임계규모 결정지표 개발

        배연정,이지민,서교,이정재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1

        The rapid rural urban migration and aging has generated an over-depopulation problems in rural areas since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tructs the marginal size of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disparities such as farmer's ratio, basic life service accessibility, and levels of social and economic factors for each village community. This marginal scale could support evaluating diverse rural policies, which have been planned to apply to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at the village level. The major challenges for over-depopulated villages are the lack of basic facilities, production infrastructures and inactive communities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ural residential disparities according to rural village scale can provide the criteria for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s. We utilized Korea Agricultural Survey Data(2010) including specific residential condition of village level. The present study adopt multinomial-logit model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ifferent village scales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to separate the direct effect by the village scale factor from the endowment effects by regional or area characteristics, and residual effect by unknown factor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minimum scale of a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 was 40 and 60 houses for the respective conditions of farmer's ratios less than 50% and greater than 75%. It was conclud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at threshold scale could support evaluating the diverse rural policies, which have been planned to apply to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at the village level.

      • 수리시설물 통합설계시스템의 구현

        배연정,이정재,윤성수,Bae, Yeun-Jung,Lee, Jeong-Jae,Yoon, Seong-Soo 한국농공학회 2002 한국농공학회지 : 전원과 자원 Vol.44 No.4

        The irrigation facilities are managed systematically and a facility is independent at the view of shape and function. The design of the irrigation facility is the formulated process with independent objectives. So its process is accordance to object-oriented concept. The design of irrigation facilities is classified into several steps. In these steps, the design data is made and the various problems are solved and consolidated with analysis and decision.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of constructing an efficient integrated design system, the results from the design should be able to be systematically connected and re-used. In the study, the design task of irrigation facility,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for (IDSAF) is to be developed using the object-oriented methods, and then its applicability will be examin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미혼남녀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에서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과 성의식의 매개효과

        배연정(Bae, Yeon Jeong),임세라(Sela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한국 미혼남녀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에서 원하지 않는 성 행동 응낙과 성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만 20세-45세의 미혼남녀 2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부적합한 대상을 제외한 총 211명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한 친밀관계 경험, 이성 관계 만족도,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 성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통해 각 변인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의 bootstrap을 통해 전체 매개효과와 각 매개변인의 매개효과 추정치 및 간접효과의 유의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 성인애착과 성의식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성인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과 이성 관계 만족도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성의식과 이성 관계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과 성의식은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모형 검증에서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은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의식은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즉, 성인애착이 성의식을 거쳐 이성 관계 만족도로 가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성인애착이 안정애착일수록 성의식이 높아져 이성 관계 만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unwanted sexual behaviors and sexual consciousness in adult attachment and heterosexual satisfaction of Korean unmarried men and wom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46 respondents through an online-survey. Only the data of 211 participa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xcept inappropriate subjects.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cales, Heterosexual satisfaction scale, Consensual unwanted sex behavior scale, and Sexual consciousness scale were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22.0. A multiple mediating effects tes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oposed mediating effects and a bootstrapping procedure was utilized with the SPSS Macro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dult attachment and heterosexual satisfaction, adult attachment and sexual conscious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Adult attachment and consensual unwanted sex behavior, heterosexual satisfaction and consensual unwanted sex behavior showed non significant correl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xual consciousness and heterosexual satisfaction. The male group subjects rated themselv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group subjects on consensual unwanted sex behavior and sexual consciousness. The mediating effect of consensual unwanted sex behavior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sexual consciousn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mediating model. Adult attachmen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heterosexual satisfaction through sexual consciousness, which suggests that a higher level of secure attachment leads greater sexual consciousness and thus more heterosexual satisfaction.

      • 정보 엔트로피를 이용한 국제무역 상품간 상호영향에 대한 크기 및 방향성 분석

        배연정 ( Yeonjoung Bae ),이정재 ( Jeong-jae L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economic systems (GES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systems are nonlinear, complex and open. The GESs consist of many coupled processes and sub-systems and the coupling changes depending on the systems’ status (e.g. technologies, capital, organizational structures, skills, semi-finished products which are needed to make final products). Therefore, a slight change in a country’s economic situations or trading conditions does not only affect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countries of concern, but also affect international trade patterns. Now it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international traders to predict possible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particularly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is research, we aim to examine the sensitivity of prices due to changes in supply and demand, and quantify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among trade items using the analysis results of influence for mutually interacted items in international trade. We can analyze and represent couplings in a complex economic system as a network of information flow and feedback between variables such as supply, demand, price and sensitivity which measure the international trade system process. Information-theoretic statistical methods called ‘transfer entropy’ and ‘mutual information’ are adopted for measuring the complexity and network link characteristics of directionality, coupling, and time-delayed information feedbacks between pairs of products using time-series data of international trade. We use international trade data from “World Trade Flows: 1962-2000” dataset (Feenstra et al., 2005) which includes imports and exports both by country of origin and by destination, with products disaggregated to the SITC revision 4, at four-digit level. The model used in this research can neither present domestic supply and demand nor reflect short-term price changes with less than a year cycle. However, it is useful in predicting the changes occurring in international trade due to its ability to express the mutual influences among items in terms of their directions, magnitudes and sensitivity. Therefore, we conclude with confidence that the proposed ‘information entropy’ analysis is able to quantify the mutual link characteristics between pairs of products.

      • 농림축산식품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개발

        배연정 ( Yeonjoung Bae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국제사회는 1992년에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변화협약(UNFCCC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체결하였으며, 이 협약에 따라 협상 당사국들은 온실가스 관련 통계자료 제출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3년에 기후변화협약에 비부속서 국가(non-Annex I)로 가입하여 국가보고서(NC)의 제출만 요구되고 있지만, 2012년 이후에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국가로 편입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상세통계정보인 국가인벤토리보고서(NIR : National Inventory Report) 및 공통보고양식(CRF : Common Reporting Format)을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출하는 NIR은 1996 IPCC 가이드라인과 GPG2000(Good Practice Guideline 2000)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는데, 2006 IPCC 가이드라인이 발표됨에 따라 현행 NIR을 개선 및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분야(AFOUL :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검증을 지원할 수 있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종합관리시스템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1996 IPCC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정보를 수용함과 동시에 새롭게 규정된 2006 IPCC 가이드라인에 적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모델을 포함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형태의 인벤토리 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의 축적 및 검증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농림축산식품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원에 대한 배출량 산정 모델을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유연하게 개발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1996 IPCC 가이드라인에서 2006 IPCC 가이드라인으로 변경될 경우에도 새롭게 배출량 산정 모델을 구성하지 않고 데이터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산정식을 개선할 수 있는 형태의 인벤토리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정의한 인벤토리뿐만 아니라 지자체 및 기타 배출량 산정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형태의 인벤토리 관리모델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하향식(Top-Down) 인벤토리 구성뿐만 아니라 상향식(Bottom-Up) 방식의 인벤토리 구성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활동자료의 입력에 있어서도 배출량 산정 담당자가 웹 기반의 사용자환경에서 쉽게 입력하고 기존 국가통계자료를 쉽게 참조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인벤토리 관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농업시설물의 통합설계시스템 개발을 위한 객체 모델링에 관한 연구

        배연정 ( Bae Yeon Joung ),이정재 ( Lee Jeong Jae ),윤성수 ( Yoon Seong Soo ),김한중 ( Kim Han Joong ) 한국농공학회 200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0 No.-

        The design of agricultural facilities is the consistent activities, which systematically analyze all the actual conditions, design the unit structures, and improve the faming environment through efficient organization of the unit facility. The design of agricultural facilities is composed of site study, preliminary design, primary design, and detail design. Integrated design system can manage and process the information created by and used in all steps of design process. Formal data models of these design activities are important conceptual steps in development of integrated design system. However, most of existing models are not available for agricultural facilities. To support efficiently developing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of agricultural facilities, we have developed the Multi-Layered Primitive-Composite mode I through object-oriented analysis of agricultural facilities. The MPC model not only satisfies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facility, such as variety, coupling, informal data, but also improves abilities of integrated design system such as extensibility, flexibility, and granularity. The paper presents a formal definition of the MPC model.

      • 농촌지역 맞춤형 돌발재해 감지 USN 모듈, 게이트웨이 및 통신프로토콜 개발

        배연정 ( Yeon-joung Bae ),서승원 ( Seung-won Seo ),김성필 ( Seong-pil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김수진 ( Soo-jin Kim ),배원길 ( Won-gil Ba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본 연구에서는 농업·농촌시설 돌발재해 모니터링을 위한 맞춤형 USN 모듈, 게이트웨이 및 통신프로토콜 개발하고자 하였다. 농촌지역은 대부분 센서 설치 및 운용 환경이 매우 열악한 곳으로, 이러한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돌발재해감지 USN 모듈은 매우 단순한 형태의 개발하고 설치 후 배터리의 충전 없이 최소 2~3년, 음영지역에서 태양광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태양전지 판넬의 이용, 통신 및 센싱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데 개발 목적을 두었다. 또한, 무선(RF) 방식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여 5km 원거리에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여 시군구 단위로 센서네트워크 망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돌발홍수를 위한 USN 모듈로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였으며, 산사태 감지를 위한 센서로는 6축 자이로 센서를 적용하였다. 또한 통신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이상 징후가 없는 경우에는 1시간 간격으로 게이트웨이에 Keep-Alive 통신만을 하고, 이상징후가 있을 경우에는 1분 간격의 통신, 그리고 일정 임계값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은 IEEE 802.15.4 표준을 따르고 있으며, ZigBee Alliance은 IEEE 802.15.4 표준에서 정의한 MAC/PHY 프로토콜 위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필요한 유연한 네트워크 구조(Topology), 라우팅 알고리즘, 보안 등의 기능을 포함한 Network 계층 레이어의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IEEE 802.15.4 표준은 100m 내외의 통신 반경에서의 센서-네트워크를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특히, 센서 현장 설치 여건이 열악하고 저전력으로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센서-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설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0mA 이하의 소출력에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RF 통신 모듈 사용을 전제하고 이에 맞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개발하였으며, 센서간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형태는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하는 스타(star) 방식을 채용하였고, 무선 통신 구간을 확대하기 위해 중계기 기능을 추가하고 각각의 중계기는 하위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의 계층적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