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럽 벤처투자시장 육성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배승욱 ( Bae Seung Uk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3 중견기업연구 Vol.10 No.3

        2010년 초 EU 위원회(Commission)는 「유럽 2020」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2008년 금융 위기 이후의 유럽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방안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에 자금을 공급해 주고 경영지원활동을 하여 궁극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높여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벤처투자(VC) 펀드가 EU 경제성장을 지속해서 견인할 다양한 방안 중 하나이기 때문에 VC 시장을 효율화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실제로 2010년 당시 EU는 통일된 VC 펀드 규제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회원국별로 상이한 규제를 받아 VC 펀드가 성장하지 못했다. 특히 VC 펀드를 통해 회원국 간의 투자를 할 수 있는 역외자금모집(Cross-Border Fundraising)이 엄격한 규제에 막혀 있어 EU VC 펀드의 효율적 투자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EU는 2013년 통일된 VC 펀드 규제 체계를 마련하였고, 또한 정부 차원의 대규모 VC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VC 투자에 대한 과감한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벤처기업에 대한 회수시장을 조성해 줌으로써 VC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고 최근에는 그 결실을 어느 정도 맺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최근 VC 시장을 성장시키기 위해 도입된 통일된 EU VC 규제 체계 등 EU VC 생태계 활성화 방안에 대해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VC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EU VC 역사 및 현황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EU 벤처투자 규제 개관을, 제4장에서는 EU 벤처투자시장 육성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우리나라 벤처투자 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결론을 갈음하려고 한다. 2010년 VC 활성화 정책을 발표한 당시 EU 정책 당국자들은 EU의 VC시장이 미국보다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로 회원국 간의 규제 및 세금의 차이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즉 회원국별 규제차익 등이 EU VC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EU는 VC에 대한 규제를 단일화하는 EuVECA 규정을 제정하여 EU 내에서 자유롭게 VC 시장에 자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수수료 및 그 밖의 행정비용도 EU 차원으로 통일하도록 했다. 그뿐만 아니라 EU는 VC 시장이 미국보다 아직 초기 단계임을 고려하여 정부 주도의 VC 투자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회원국들은 스타트업 및 VC에게 과감한 세제 혜택을 부여하였다. EU가 VC 산업 관련 제도를 개선하여 VC 시장을 활성화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시행하고 있는 점을 참고하여 국내 VC 시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도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EU가 회원국 간의 역외 VC 투자를 활성화하여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는 것과 같이 우리나라도 역외 VC 투자(국내 VC의 해외 벤처기업투자(Outbound) 및 해외 VC의 국내 벤처기업 투자(Inbound))를 통해 VC 시장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역외 VC 투자 중 국내 VC의 해외 벤처기업 투자(Outbound) 활성화 방안으로는 모태펀드의 해외 VC 글로벌 펀드의 예산을 대폭 증액하는 방안이 있다. 올해 2023년 모태펀드 글로벌펀드에서 약 770억원을 출자하였다. 하지만 이는 매우 부족한 금액이며, 향후 2024년에는 최소한 2022년 모태펀드의 해외VC 글로벌 펀드 출자 규모인 1,000억원 이상을 모태펀드에서 출자하는 규모 정도로 유지하거나, 보다 공격적으로 확대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만약 모태펀드 예산 증액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모태펀드 회수자원을 활용한 해외VC 글로벌 펀드 출자 규모 확대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VC의 국내 벤처기업 투자(Inbound) 활성화 방안으로는 ① 정부 차원의 국내외 대규모 데모데이 및 투자유치박람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방안, ② 정책금융 기관의 해외 사무소 확대 및 기존 사무소에 대한 대규모 인적ㆍ물적 지원을 통한 해외 네트워크 강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국내외 대규모 데모데이 및 투자유치박람회는 단발성 행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우수한 벤처기업과 해외 Top Tier VC들이 참여하여 직접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이 되기 위한 추가적인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EU가 VC 시장에 과감한 세제 혜택을 부여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도 VC 시장에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자본시장법상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를 도입하려고 하고 있는데, 동일 투자위험-동일 세제혜택 원칙에 따라 세제혜택 제공이 필수적이다1)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는 기존 벤처투자기구와 동일한 투자대상(비상장·벤처기업)을 설정하므로, 기존 벤처투자기구에 상응하는 세제지원이 제도 안착 뿐만 아니라 벤처투자 활성화에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In early 2010, the EU Commission published a report titled “Europe 2020,” suggesting a plan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Europe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This report is one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venture investment (VC) funds, which perform the important function of supplying funds to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startups and performing management support activities, ultimately increasing the economic growth rate, will continue to drive EU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amline the VC market. In fact, at the time of 2010, the EU did not have a unified VC fund regulatory system, so VC funds could not grow due to different regulations for each member state. In particular, cross-border fundraising, which allows investments between member states through VC funds, was blocked by strict regulations, making efficient investment by EU VC funds difficult. Accordingly, the EU established a unified VC fund regulatory system in 2013 and is also supporting large-scale VC investment at the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revitalize the VC ecosystem by providing bold tax benefits for VC investments and creating a recovery market for venture companies, and these efforts have recently borne some fruit.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aim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revitalize Korea’s VC ecosystem by taking a closer look at measures to revitalize the EU VC ecosystem, such as the unified EU VC regulatory system recently introduced to grow the VC market. This article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EU VCs, Chapter 3 provides an overview of EU venture investment regulations, and Chapter 4 examines plans to foster the EU venture investment market. And finally, in Chapter 5, we conclude by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for fostering venture investment in Korea. At the time of announcing the VC revitalization policy in 2010, EU policy officials believed that the reason why the EU’s VC market was less active than in the United States was due to differences in regulations and taxes between member countries. In other words, regulatory arbitrage by member state was preventing economies of scale from being achieved in the EU VC market. Accordingly, the EU enacted the EuVECA regulation, which unifies regulations on VC, allowing funds to be freely supplied to the VC market within the EU, and also unified fees and other administrative costs at the EU level.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VC market is still in its infancy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the EU is making efforts to promote government-led VC investment, and member countries have granted bold tax benefits to startups and VCs. By referring to the fact that the EU is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to revitalize the VC market by improving the VC industry-related system, the followi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domestic VC market can be derived. First, just as the EU promotes economies of scale by activating offshore VC investment among member states, Korea also promotes economies of scale through offshore VC investment (domestic VCs’ investment in overseas venture companies (Outbound) and foreign VCs’ investment in domestic venture companies (Inbound)). There is a need to further revitalize the VC market. Among offshore VC investments, one way to revitalize domestic VCs’ investment in overseas venture companies (Outbound) is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budget of the overseas VC global fund of mother-of-funds funds. This year, in 2023, the Global Fund of Funds invested approximately 77 billion won. However, this is a very insufficient amount, an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maintain at least KRW 100 billion, which is the size of the fund’s overseas VC global fund investment in 2022, at the level of the fund’s investment in fund of funds, or to expand it more aggressively. If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increase the fund’s budget, one option could be to expand the size of overseas VC global fund investment by utilizing the funds’ recovered resources. Measures to stimulate investment (inbound) in domestic venture companies by overseas VCs include ① continuously holding large-scale demo days and investment attraction fairs at the government level at home and abroad, ② expansion of overseas offices of policy finance institutions and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investment in existing offices. There may be ways to strengthen overseas networks through support. In particular, large-sca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o days and investment attraction fairs are not just one-off events, but additional in-depth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to become a venue where excellent domestic venture companies and overseas top tier VCs can participate and make direct investments. Second, just as the EU granted bold tax benefits to the VC market, Korea also needs to provide more tax benefits to the VC market. For example, we are currently trying to introduce a corporate growth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and it is essential to provide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al investment risk and equal tax benefit. Park Yong-rin, “Plan to promote the supply of risk capital,” Korea Financial Investment Association and Capital Markets Materials from the seminar ‘Support for innovative growth of our economy and increase in national assets in the capital market’ host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ctober 13, 2022. Since the corporate growth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sets the same investment target (unlisted venture companies) as the existing venture investment vehicle, tax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venture investment vehicle will be substantially helpful not only in establishing the system but also in revitalizing venture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