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자어 형태소 인식력의 개인차가 형태소 점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성봉,이동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9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priming using Hanja compound words as stimuli.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MA group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awareness (MA) score. Morphological relation between prime and target was manipulated as identical, different, pseudo, or unrelated. Participants performed the primed lexical decision task with primes masked. The results showed that morphological priming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morphological awareness. Facilitatory priming effect was only significant for the high-MA group, suggesting that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Hanja compounds might be different among individuals with varied morphological knowledge. The results from the high-MA group are consistent with the semantic-morphological decomposition hypothesis. Based on the results, the structure and access of the Korean mental lexicon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dividual difference. 형태소 점화 효과는 단어 재인에 형태소 분리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지지하는 현상이다. 영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형태소 점화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한글 표기된 한자합성어에 대해서는 수렴적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형태소 인식력의 개인차가 형태소 점화 효과에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고, 형태소 인식력에 따라 참가자 집단을 나누어 차폐점화 어휘 판단 실험을 실시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 사이의 형태소 관계는 동일, 상이, 유사, 무관련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개인의 형태소 인식력에 따라 형태소 점화 효과에 차이가 나타났다. 형태소 인식력이 높은 집단에서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들에서 한국어 한자 형태소 점화효과가 일관적이지 못한 이유가 형태소 인식력과 같은 개인차 변인의 영향 때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서의 개인차, 형태소 분리의 메커니즘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아동의 의성어와 의태어 사용

        배성봉,박혜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1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use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its functions in Korean children. In Study 1, conversations between a Korean child and her care-givers in CHILDES were analyzed. Mor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were found in their utterances than other languages such as English or Chine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ppear to belong to the basic layer of Korean motherese. In Study 2, an experimental situation was set in which children were asked to explain pictures depicting an object or motion for a puppet and a strange adult.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mothers used mor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their children than to the adult. Both mothers and children used mor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when the pictures depicted a motion rather than an object. Study 3 showed that immigrant mothers used les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han Korean mothers which in turn resulted in lower use of them in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equent use of onomatopoeic language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native CDS. The role of onomatopoeia in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language was also discussed. 한국 아동의 의성어와 의태어 사용과 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3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CHILDES 코퍼스를 분석하여 한국어 모어 사용자인 아동과 양육자에서 의성의태어가 많이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실험상황에서 아동과 양육자를 대상으로 청자의 연령에 따른 의성의태어 사용을 분석하였다. 아동은 청자에 따라 의성의태어 사용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육자들은 아동에게 말할 때 의성의태어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과 양육자 모두 사물보다는 동작을 설명하는 상황에서 의성의태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연구 3에서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양육자(다문화가정)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과 양육자 사이의 자유 대화에서 외국인 양육자의 의성의태어 사용은 한국인 양육자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며, 이러한 패턴은 아동의 자료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의성의태어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아동지향어의 특징이며 어휘획득 등 언어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어 비단어의 어휘 판단에서 글자 전위 효과: KLP 데이터베이스 분석

        배성봉,이창환,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3 No.3

        The transposed-letter (TL)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nonwords generated by transposing positions of letters in a word are responded more slowly than control nonwords. TL effect has been interpreted as evidence that the coding of letter position is flexible. In Korean, to investigate flexibility of the position coding, more studies are done by transposing syllables since TL effect has rarely been found in Korean. In the present study, the lexical decision data for 588 syllable-transposed nonword and control nonword pairs from the Korean Lexicon Project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yllable transposition effect. Hierarchical linear mixed-effects (LME) models revealed that syllable-transposed nonwords were harder to reject than matched controls, which supports the flexible coding of syllable posi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e-lexical properties of nonwords had significant effects on nonword rejection, but word frequency and word type had no effect on the rejection of nonword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us of transposed-syllable effects in Hangul is pre-lexical. 단어 내 글자의 위치 부호화가 유동적인지 조사하기 위해 한국어 심성 어휘 프로젝트(KLP)의 2글자(=음절) 비단어에 대한 어휘 판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어두 글자와 어말 글자를 전위하면 단어가 되는 전위 비단어(예, ‘국천’) 588개와 그에 대한 통제 비단어(예, ‘국증’) 588개를 대상으로 위계적 혼합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제 변인, 고유 속성 변인, 전위 속성 변인 등이 통제된 모형에서 글자 전위 효과가 관찰되었다. 전위 비단어는 통제 비단어에 비해 어휘 판단 시간이 더 길었고 오류율도 더 높았다. 이러한 글자 전위 효과는 한국어 2글자 단어 재인시 글자 위치 정보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전위 속성 변인들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단어 빈도 및 어종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왔는데 이는 글자 전위 효과의 전어휘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 단어 재인에서 전위 효과가 나타나는 단위, 전위 효과의 전어휘적/어휘적 근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단어의 유형과 비율이 어휘판단에 미치는 영향

        배성봉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3

        비단어 시행은 어휘판단 과제에서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그 구성이 단어 시행에 주는 영향에 대한 검토는 많지 않다. 한글 단어 재인에서 비단어 시행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자극 목록에 포함된 비단어의 유형과 비율을 조작하였다. 자극 단어는 2음절 한자어였으며 비단어는 한자어 음절, 비한자어 음절, 비사용 음절 중 한 유형으로 고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단어 유형에 따라 단어 빈도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비단어가 한자어 음절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단어 빈도 효과가 가장 컸고 이어서 비한자어 음절 조건, 비사용 음절 조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유형의 영향은 고빈도어보다 저빈도어에서 더 두드러졌다. 또한 자극 목록에 포함된 비단어의 비율도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에 영향을 주었다. 비단어 비율이 20%일 때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이 가장 짧았고 이어서 60%, 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비율은 빈도와 상호작용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글 단어 재인 연구에서 비단어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촉구한다. Nonword trials are a necessary part of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ir composition can affect the responses to experimental words in the task. To investigate the role of nonwords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words, the nonword type and its proportion in a list were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effects of bisyllabic Sino-Korean (SK) words were smaller when they appeared among nonwords made of SK syllables than among nonwords with non-SK syllables or non-used syllables. The effect of nonword type was also stronger for low-frequency word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nonwords included in a list influenced lexical decisions to words. The smaller the proportion of nonwords in a list, the faster decisions were made to words. The proportion of nonwords did not interact with word frequency. The present results call for more attention to nonwords in Hangu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사이시옷이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배성봉,이광오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3

        사이시옷 표기가 단어 의미 파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사이시옷 표기의 친숙도를 조작하여 사이시옷 표기 유무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이시옷 표기가 친숙한 단어(나뭇잎 > 나무잎)의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생략한 조건(나무잎)보다 사이시옷을 삽입한 조건(나뭇잎)에서 의미 파악이 빨랐으나, 사이시옷 표기가 친숙하지 않은 단어(북엇국 < 북어국)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사이시옷 표기의 친숙도가 중간 정도인 단어(조갯국 = 조개국)를 이용하여, 사이시옷의 유무가 단어 의미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이시옷을 표기한 조건(조갯국)에서 보다 사이시옷을 생략한 조건(조개국)에서 단어의 의미 이해가 더 빨랐다. 실험 1과 2의 결과를 Libben[9][10]의 APPLE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현행 한글맞춤법의 사이시옷 규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ocessing of Korean compounds in relation to saisios. Saisios is a letter interposed between constituents when a phonological change takes place on the onset of the first syllable of the second constituent. This saisios rule is often violated by writers, resulting in many words having two spellings: one with saisios and the other without saisios. Among two spellings, some words are more familiar with saisios, some are usually spelled without saisios, and some are balanced. In Experiment 1 using the go/no-go lexical decis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compounds with/without saisios. Saisios-dominant words (나뭇잎 > 나무잎) were responded faster when they appeared with saisio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for words that usually appear without saisios (북엇국 < 북어국). In experiment 2, we presented participants compound words that were balanced on saisios. The results showed that words without saisios were responded faster than words with saisio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were consistent with the APPLE model.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saisios rule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ading process.

      • KCI등재

        사이시옷 합성어의 재인에서 구성성분 분리

        배성봉,이광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4

        사이시옷 합성어의 재인에서 형태소 처리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구성 성분 점화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이시옷 합성어의 제1 구성성분을 점화어로 제공하였으며, 사이시옷 유지, 사이시옷 제거, 무관련 통제 단어의 3가지 점화 조건이 표적어의 어휘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2음절 합성어에서는 점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3음절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 유지/제거에 관계없이 구성형태소 점화효과가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심성어휘집과 단어재인과정에서 형태소 표상과 처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processing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compound words with saisios. Saisios is one single consonant inserted between constituent morphemes of a compound when a phonological change takes place for the compound. Using the constituent priming method, for each trial, either the first constituent morpheme or an unrelated word was presented masked prior to the presentation of a compound target. The results showed no priming effects for bisyllabic compounds, but significant priming effects for trisyllabic compounds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aisios was removed from the prime or not. Based on the results, the role of morphology in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Korean compound words was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단어 재인에서 표기 음절과 음운 음절의 처리

        배성봉,이광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3

        The syllabic priming effect has been reported in many languages when a prime and its target share the same syllable at the word-initial position. Two experiments were run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was orthographic or phonological. The priming paradigm with the lexical decision task was adopted for the experiments. Primes were presented masked or visible with SOA 57 msec and SOA 200 msec. Experimental prime-target pairs shared phonological, orthographic, orthographic-phonological, or unrelated syllables. In Experiment 1 and 2, orthographic pairs were responded as fast as orthographic-phonological pairs while phonological pairs were responded slower than orthographic-phonological pairs.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phonological syllables play a dominant role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words. To explai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and other related studies, we proposed a modification to the dual-route cascaded (DRC) model to include a Kulja processing unit between the letter unit and the orthographic lexicon. The modified DRC model was successful in explaining the roles of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어의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 음절과 표기 음절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의 초두 음절 간의 관계를 조작하였는데, 표기는 다르고 음운만 일치하는 음운 일치 조건, 표기는 일치하고 음운은 서로 다른 표기 일치 조건, 표기와 음운이 모두 일치하는 완전 일치 조건, 그리고 표기와 음운에서 아무런 관련이 없는 무관련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완전 일치 조건과 유사한 반응 패턴을 나타내는 조건은 표기 일치 조건이었으며, 음운 일치 조건의 반응은 완전 일치 조건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실험 2에서도 완전 일치 조건과 음운 일치 조건 간에는 어휘판단 반응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 패턴은 차폐점화에서도 그리고 아주 짧은 SOA에서도 관찰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음운 정보의 우선적 처리와 음운 음절의 우선성을 주장하는 모형을 지지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중경로모형의 수정을 제안하였다. 수정모형에는 표기 음절을 바탕으로 하는 자전(kulja dictionary) 모듈이 도입되었으며, 수정모형은 본 실험의 결과 및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잘 설명하였다.

      • KCI등재

        복합 명사구의 의미 이해에서 단어 간 공백 효과의 개인차

        배성봉,이광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1 No.3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ound noun phrases composed of 5 or 6 nouns with or without inter-word spaces.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orphological knowledge, spelling recognition, dictation, and author recognition.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test scores revealed two principal components: PC1 for overall reading proficiency, and PC2 for spelling-meaning profile. During the experimental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compound phrases on the screen had a plausible meaning or not. The results showed clear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word spacing effects. For real compound phrases, participants with a lower PC2 score showed larger inter-word spacing effect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a higher PC2 score. For pseudo-compound phrases,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inter-word spacing and PC1 as well as PC2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at individual variations in lexical qualities modulated the inter-word spacing effects. 단어 간 공백이 문장이나 복합어의 읽기 수행을 향상시키는 현상을 공백 효과라 한다. 본 연구는 공백 효과에 미치는 개인의 어휘 지식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참가자 개개인의 어휘 지식은 형태소 지식, 외래어 철자 판단, 한자어 철자 판단, 받아쓰기, 저자 인식 등의 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 읽기 유창성 요인(PC1)과 철자-의미 요인(PC2)이라는 두 개의 주성분을 검출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5-6개의 명사로 이루어진 실제 또는 유사 복합 명사구를 제시하고 의미성을 판단하게 하였다. 의미성 판단 시간과 오류를 선형 혼합 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백 효과의 크기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복합 명사구에 대한 반응에서 의미 우세 독자(=PC2 점수가 낮은 독자)는 전형적 공백 효과를 보인 반면, 철자 우세 독자(=PC2 점수가 높은 독자)는 아주 작은 공백 효과를 보였다. 유사 복합 명사구에 대한 반응에서는 PC1과 PC2가 모두 공백 유무 요인과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공백 효과가 개인의 어휘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 지식의 개인차가 한글 복합 명사구의 분리와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단어길이효과에서 어종과 합성성의 영향

        배성봉,이광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1 No.1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acilitatory effect of word length (the number of syllables in a word), a new phenomenon showing that bisyllabic words are recognized faster than monosyllabic words. In Experiment 1, three types of native Korean words were compared: monosyllabic words, bisyllabic simplex words, and bisyllabic compounds. The results showed that lexical decision was faster for bisyllabic words than monosyllabic words, confirming the facilitatory effect of word length in Korean. The word length effect was bigger for high frequency words than low frequency words. In Experiment 2 using Hanja words, the facilitatory word length effect was replicated, and the interaction of word length and frequ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serial-parallel processing explanation and the ideal length hypothesis. An alternative explanation was attempt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native Korean and Hanja words. 단어길이가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은 억제효과 또는 무효과가 주로 보고되었으며, 단어의 구성성분을 처리하는 방식이 순차적인지 병행적인지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보고된 단어길이의 촉진효과는 이러한 병행-순차 처리 해석을 지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단어길이의 촉진효과에 어종과 합성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1은 고유어를 사용하였으며, 1음절 단어, 2음절 단일어, 2음절 합성어를 비교하였다. 1음절 단어의 어휘판단이 2음절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보다 느린 단어길이효과가 나타났으며 합성어보다 단일어에서 길이효과가 더 컸다. 실험 2는 1음절과 2음절 한자어를 비교하였으며 촉진적 단어길이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병행-순차 처리 가설에 의해서도 이상적 단어길이 가설에 의해서도 설명이 어려우며, 따라서 대안적 설명들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동음한자어의 이해에서 한자병기의 효과

        배성봉,이광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3 No.-

        최근 초등 교과서 漢字倂記 추진을 둘러싸고 찬반 논쟁이 격화되었다. 유감스럽게도 어느 쪽의 주장에서도 과학적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행동실험과 사건관련전위(ERP) 기법을 이용하 여 漢字倂記가 독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漢字倂記가 同音漢字語의 의 미적 모호성을 해소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ERP의 N400 성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N400 성분은 의미 이해의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의미적 모호성 또는 의미적 모순이 있는 경우 진폭이 증가한다. 실험 결과, 漢字倂記 조건에서 문장이해의 정확률이 높았으며, 의미적 모호성의 지표인 N400 성분이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 漢字倂記의 긍정적 효과는 同音漢字語가 열세의미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더 크 게 관찰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漢字倂記의 문제에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할 것을 제안 하였다. To teach and use Hanja characters has long been a critical issue in the Korean societ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al recently announced the project of Hanja juxtaposi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sulting in an acute confrontation between rival teachers and activists. The problem is that both sides involved lack scientific support. The present study, using scientific methods, tackled the issue of Hanja juxtaposition, and aimed to show one way of resolving language conflicts in Korea. The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language comprehension is affected by Hanja juxtaposition. ERPs, the electric potentials produced on scalp during the processing of words and sentenc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whether Hanja juxtaposition facilitates the resolution of lexical ambiguity. The results showed that Hanja juxtaposed to a homophone enhanced sentential comprehension,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N400 component. The effect was stronger when a homophone appeared as a less frequent mea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anja juxtaposition were discussed based upon the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