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니공막렌즈에서 반복적인 산화 에틸렌 멸균 전후 렌즈 척도들의 변화 여부 분석

        배선하(Seon Ha Bae),전연숙(Yeoun Sook Chun),김경우(Kyoung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2

        목적: 시험 착용 미니공막렌즈의 위생 관리 목적으로 ethylene oxide (EO) 멸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적인 EO 멸균에 의한 렌즈 기본 척도들의 변화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미니공막렌즈(Onefit A; Biumtec, Seoul, Korea)의 기본형과 oblate형 총 67개를 대상으로 EO 멸균 전, 2주 간격의 3차례의 EO 멸균 후의 각 시점에서 기본만곡반경, 렌즈 도수, 중심렌즈 두께, 전체 렌즈 직경의 4가지 척도들을 측정하였다. 총 15시간 동안의 EO 멸균 과정 중 핵심 단계인 노출 멸균 단계에서는 압력 1.5 bar, 온도 56°C에서 총 180분간 EO 혼합 가스에 렌즈들이 노출되었다. 결과: 기본형 미니공막렌즈의 EO 멸균 전 대비 멸균 후 기본만곡반경의 변화값은 1차, 2차, 3차 EO 멸균 후 각각 -0.011 ± 0.004 mm, -0.024 ± 0.005 mm, -0.021 ± 0.005 mm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렌즈 도수, 중심렌즈 두께 및 전체 렌즈 직경은 전체 미니공막렌즈에서 멸균 전후 차이가 없었다. EO 멸균 전 렌즈 척도들의 수치에 따른 EO 멸균 후 척도 변화값 간에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미니공막렌즈의 반복적인 EO 멸균은 렌즈 도수, 중심렌즈 두께 및 전체 렌즈 직경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나 기본만곡반경에 한해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시험 렌즈 관리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겠다. Purpose: We analyzed changes in mini-scleral lens parameters after repetitive ethylene oxide (EO) sterilization. Methods: We measured the base curve radius (BCR), the optical power, the central lens thickness (CLT), and the overall lens diameter (OLD) of 67 basic, oblate-type mini-scleral lenses (Onefit A; BIUMTEC, Seoul, Korea) before and after three repeats of EO sterilization at 2-week intervals. The sterilization process (15 hours in duration) included a core step featuring exposure to gaseous EO for 180 minutes at 1.5 bar and 56°C. Results: The BCR changes in the basic type of mini-scleral lens after EO sterilization were -0.011 ± 0.004 mm, -0.024 ± 0.005 mm, and -0.021 ± 0.005 mm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rilizations, respectively; all changes were significant. None of optical power, CLT, or OLD were affected by EO sterilization. We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y baseline value and the change thereof after sterilization. Conclusions: Repeated EO sterilization of mini-scleral lenses did not change the optical power, CLT, or OLD, but significantly reduced the BCR. EO should not be used to sterilize mini-scleral lenses.

      • KCI등재후보

        실리콘 눈물점 마개 및 0.1% 사이클로스포린 수시 점안 후 발생한 결막 반응성 림프증식증

        배선하(Seon Ha Bae),김경우(Kyoung Woo Kim) 대한검안학회 2020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9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njunctival reactive lymphoid hyperplasia occurred after a silicone punctal plug insertion combined with the frequent use of topical 0.1% cyclosporine A eye drops in a patient with neurotrophic keratitis. Case summary: A 67-year-old female patient was referred for persistent conjunctival redness, blurred vision, and dry eye on her right eye. Severe corneal epithelial erosions and the linear subepithelial opacity at the inferior cornea were seen. The threshold of corneal sensation was reduced to 4.5 cm according to Cochet-bonnet esthesiometer and the expression of tear matrix metalloproteinase-9 was strongly positive in a right eye, showing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left eye. After 3 month-use of 20% autoserum, 0.1% cyclosporine A and 0.1% fluorometholone eye drops, corneal epithelial erosions and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eye dryness persisted and silicone punctal plug was inserted at the right inferior lacrimal punctum without discontinuation of 0.1% cyclosporine A eye drops. After 10 weeks, the wide conjunctival reactive lymphoid hyperplasia developed in the lower fornix. Therefor removed the punctal plug and used systemic steroid for 1 month but there was no improvement. After 2 months of doxycycline intake thereafter, the reactive lymphoid hyperplasia improved. Conclusions: When 0.1% cyclosporine A eye drops are used after insertion of the silicone punctal plug, careful clinical observation is necessary with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the conjunctival reactive lymphoid hyperplasia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