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배상준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로서의 숙달목표지향성,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그리고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lliot과 McGregor(2001)의 숙달목표지향성 측정도구, 김정주(2009)의 인지된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Harvey et al.(2006)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 3개 원격대학 성인학습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9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유효하지 않은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하고 24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구성요인 중 학습자 동기/ 자기효능감/ 자율성의 부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동기 파악,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의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기존해석에 있어서의 한계점과 그 대안에 대한 고찰

        배상준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獨逸文學 Vol.95 No.-

        Rainer Werner Fassbinder (1945-1982) und einige seiner Filme, die zu seinen Lebzeiten im – insbesondere englischsprachigen – Ausland wesentlich mehr geschätzt wurden als in Deutschland, gehören inzwischen zu Meilensteinen der europäischen (Auteur-)Filmgeschichte. Bekannt war der Regisseur in seinem eigenen Land in erster Linie als Künstler, dessen selbstzerstörerisch provokativer, homosexuell-sadomasochistischer Lebensstil allzu oft zur Schau gestellt wurde, so dass ein Anhaltspunkt bestünde, man müsse sein Leben zunächst rekonstruieren, um sein Gesamtwerk verstehen zu können. Fassbinder wurde sozusagen gepriesen bzw. kritisiert, ohne daß seine Filme angesehen wurden. Mir scheint aber, dass diese biographisch-psychoanalytische und feministische Perspektive im filmästhetischen bzw. -wissenschaftlichen Kontext wenig Sinn machen. Daher wird in dieser Arbeit darauf hingewiesen, dass die Faszination des Filmverstehens, die Fassbinder uns anbietet, in seiner Kunstfertigkeit liegt, die eine besondere Lokalisierung außerhalb des Neuen Deutschen Films und postmoderne Züge akzentuiert.

      • KCI등재

        파스빈더와 영화의 자기 반영성

        배상준 문학과영상학회 2010 문학과영상 Vol.11 No.1

        This paper studies the self-reflectivity of films by R. W. Fassbinder and offers a concrete analysis of the self-reflexive scenes. A fundamental issue in his self-reflexive works is the finding of the identity, which refers to ‘Franz Biberkopf,’ the homosexual main character in the novel Berlin Alexanderplatz of Alfred Döblin, the reading of his whole life. A lot of—homosexual—roles by the name of Franz oder Franz B. appear in the films by Fassbinder, and that means, he takes Franz Biberkopf as his alter ego and makes thoroughly self-concentrated films. In this process we can see his attempt to find out his sexual identity, in particular to figure his existence with intertextual reference to the other. Fassbinder’s filmmaking is characterized by a certain collective system within the ‘antiteater’ team that has replaced his family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as filmmaker. Accordingly this method of creating like a mini-studio gives his entire work the trademark of collective that projects Fassbinder’s private life, i.e. his sexual problems and interpersonal anguish onto the work. This could be summarized as a collective self-discourse through the medium of film. To be sure, the homosexual code in the films by Fassbinder is generally known, but it would be interesting to perceive the secretly hidden self-reflexive directing about the homosexuality specially in his early works. Furthermore, the finding of the identity which goes through his complete works means not just the establishment of the homosexual identity, but specially the expression of the ontological suffering that follows after the process of the finding identity. Therefore, Fassbinder’s self-reflexive filmmaking involves the worth of a self-therapy as active remorse.

      • 매실 및 매실가공품의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

        배상준,최현우,김수연,김병용,김현석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11

        매실은 생과로 섭취할 수 없는 과실로 대부분 당침 및 절임(염 및 식초)의 형태로 가공하여 활용된다. 그러나 최근 매실 및 매실가공품에 천연독소인 아미그달린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매실로부터 아미그달린 추출조건을 탐색하고, 숙기별 및 재배지역별 매실의 과육과 씨 부분의 아미그달린을 정량하였으며, 매실초와 우매보시(매실의 소금절임)의 아미그달린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2017년 6월 중·하순에 수확된 청매실과 황매실(숙기가 지난 청매실)을, 경상남도 하동 및 전라남도 순천과 광양에서 2017년 6월 하순에 수확된 ‘남고’ 품종의 홍매실을 동결진공건조하여 과육과 씨로 분리하고, 각각을 분쇄하여 60 mesh 표준체망을 통과시켜 실리카겔과 함께 4°C에서 저장하면서 본 연구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아미그달린의 추출조건 탐색은 청매실 씨 분말을 이용하여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 추출시간, 추출회수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매실초는 청매실과 양조식초(총산도 ~6%)를 1:1로 혼합하여 밀봉하였고, 우메보시는 청매실에 동량의 소금을 층층이 덮고 100 mL의 담금주를 도포하여 밀봉하였다. 매실초를 제조한 후 24시간 후를 0일로 하여 30일 간격으로 매실초와 매실을 취하였다. 우메보시는 청매실과 혼합된 모든 소금이 용해되었을 때는 0일로 하여 30일 간격으로 매실절임과 절임액을 취하였다. 아미그달린의 정량은 HPL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추출용매로 농도(0-100%)를 달리한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25°C에서 청매실 씨 분말로 부터 24시간 동안 아미그달린을 추출하였을 때, 아미그달린 함량은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0%에서 50%로 증가하면서 증가하였고, 50%를 초과하여 100%로 증가하면서 감소하였다. 5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25°C에서 청매실씨 분말에서 아미그달린의 추출에 대한 추출시간의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1시간의 추출시간 동안 추출된 아미그달린 총량의 약 85%가 추출되었고, 추출시간 4시간까지 아미그달린 함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1시간 간격으로 신선한 추출용매를 교환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있어 최초 추출조작에서 대부분의 아미그달린이 추추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매우 미미하거나 추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아미그달린의 추출조건은 5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25°C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었다. 결정된 추출조건 하에서 매실 과육과 씨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결정하였을 때, 아미그달린은 과육보다 씨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 적은 수준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지역별로는 하동>순천>광양 순서로 매실의 과육과 씨의 아미그달린 함량이 증가하였다.

      • KCI등재

        대사적으로 비정상 과체중군과 대사적으로 비정상 비만군에서의 건강습관과 영양소 섭취량 행태 연구

        배상준,임형지,김주연,강희택,이재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3

        연구배경: 대사적으로 비정상인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대사위험을 높이는 건강습관과 영양소 섭취량에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7-2010년)를 이용하여, 총 18,188명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기준에 따라 대사적 정상 여부를 그룹화하였고, 과체중과 비만군에서 건강습관, 식이습관 및 영양소 섭취 등에 따라 비정상 대사위험이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 비정상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 <0.001). 남자 비만군은 식사결식(OR 1.318, 95% CI 1.066-1.631) 아침결식(OR 1.354, 95% CI 1.076-1.705)이, 여자비만군에서는 아침결식(OR 1.578, 95% CI 1.168-2.133) 과 탄산음료 다빈도 섭취(OR 1.540, 95% CI 1.188-2.492)가비정상 대사위험 교차비가 높았다. 남자 과체중군에서 1일칼륨 섭취량(P=0.032)과 1일 비타민 C 섭취량(P=0.048)이, 여자 과체중군에서는 1일 수분 섭취량(P=0.046)과 1일 탄수화물 섭취량(P=0.038)이 비정상 대사위험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 대사 비정상 여부에 따라건강습관과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가 있었다 Background: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between the metabolically healthy group and the metabolically abnormal group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based on the data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HANES). Methods:Using the NHANES data (2007-2010), a total of 18,188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e metabolically healthy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using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 ATP III) definition. Then we compared their health behavior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fter adjustment for variables in overweight and obese groups. Results:The proportion of metabolic abnormalitie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ge in both overweight and obesity groups.(Pfor trend <0.001) After adjusting various confounding variables, th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of skipping any meal and breakfast for metabolically abnormality were 1.318 (1.066-1.631) and 1.354 (1.076-1.705) in male obese group and those of skipping breakfast and carbonated drink intake were 1.578 (1.168-2.133) and 1.540 (1.188-2.492) in female obese group. Daily potassium intake (P=0.032) and daily vitamin C intake (P=0.048) in the male overweight group and daily water intake (P=0.046) and daily carbohydrate intake (P=0.038) in the female overweight group were associated with metabolically abnormality. Conclusions:There wer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metabolically abnormality in overweight and obese groups.

      • KCI등재

        연성규범의 쟁점과 과제 ― 공법적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배상준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硏究 Vol.32 No.1

        Studies on ‘Soft-Law’ that were originate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Law are actively conducted today not only in areas of International-Law or Laws with external characteristics, but also in the phase of being used as a governing tool of each country.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recent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the use of Soft-Laws as a policy tool in European countries respon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in the process, there are considerable discussions on the generality, inclusiveness, and abstraction of Soft-Law. Soft-Law has considerable advantages in that it can fill in the gap of Hard-LAW (quickly and flexibly). but Soft-Law also has many problems in perspective of “ Rule of Law”. In France, Conseil d’État is gradually accepting Soft-Laws as the subject of “recours pour exces de pouvoir”, seeking ex-post control. In Germany, on the other hand, a new research trend called “New-administration law” emerges and ex-nate control measures are sought in perspective of Legislative Study. Looking at the Soft-Law in the Korean context, they are familiar with “Administrative Guidance”and informal administrative function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administrative guidance have focused on “individual” and “specific” administrative functional characteristics; But some recent “Administrative Guidances” in Korea have assumed the ultimate target as a general and comprehensive citizen and are consist of abstract provisions that are eventually established Hard-LAW. Soft-Laws (or administrative guidance of Soft-Law) issued in “Korean soil” have considerable problems, and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trol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Case No : 2017 Hun- Ma1384, Decision date : Nov 25, 2021) 국제법의 영역에서 태동되었던 연성규범에 관한 논의들은, 오늘날에는 국제법이나 섭외적 성격이 강한 분야들뿐만 아니라 각 국의 통치기제로 활용되는 국면에 관하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covid-19확산에 대응하는 유럽 각 국의 정책수단으로 연성규범이 활용되는 국면에 주목한 최근 연구들이 적잖은데, 그 과정에서 연성규범의 일반성, 포괄성 및 추상성에 관한 논의가 상당하다. 연성규범은 신속성과 유연성, 그리고 경성규범의 공백을 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도 상당하나, 법치국가적 관점에서 그 문제점도 적지 아니하다. 이에 관하여 프랑스에서는 국사원에서 점진적으로 연성규범을 월권소송의 대상으로 받아들임으로서 사후적인 통제가능성을 모색하고 있고, 독일에서는 ‘신사조행정법학’이라는 새로운 연구사조가 대두되며 입법론의 관점에서 사전적 통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까지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연성규범을 한국적 맥락에서 조망해 보면, 종전의 행정지도나 비공식적 행정작용과 상당부분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그다지 낯설지 않다. 다만, 종전의 행정지도에 관한 연구들은 대개 개별, 구체적 행정작용적 성격에 집중하여 왔는데, 최근에 한국에서 정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일부 행정지도들은 그 궁극적 대상을 일반적, 포괄적 국민으로 상정하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상당부분 추상성을 담보하고 있으며, “가이드라인”등의 형식으로 발령되고, 종국에는 경성규범으로 제정되는 등, 유럽에서의 연성규범 논의들과 상당한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적 토양에서 발령되는 연성규범(혹은 연성규범적 행정지도)은 그에 따른 문제점도 상당한데, 그에 관하여 다루었던 헌재 2021. 11. 25. 선고 2017헌마1384 결정의 내용들을 살펴보면서 그 통제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타블로(tableau)의 영화미학 -파스빈더(R. W. Fassbinder)와 카우리스마키(A. Kaurismaki)를 중심으로-

        배상준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현대영화연구 Vol.9 No.1

        There are images, which emphasize the frontality of the two-dimensional closed frame and induce with it particular distance to the reality. This images express openly the theatricality in connection with the acting and the pictoriality in connecting with the silent-art and by so doing suggest irrational character as film image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is film images and defines it as filmic tableau (vivant). The tableau in the theory of theater is an important structural element for the pictorial dramaturgy, which focuses on the gesture and physiognomy of actors. The result of such tableau expresses the intense impressions, which appeal to the mind of audience. The tableau in the sculpture shows as an independent performance the reviviscence through the invest of spirit.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 frozen happening, which is constituted pictorial or theatrical. The concept of the filmic tableau (vivant) expresses the strange stopped situation and the gesture with the physiognomy, which show mute actors, and performs the function to disjun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rete physicality and the abstract conception. The tableau in here can be considered as place for the perception in the narrative of film and as a reflective attitude of the director at the same time. The films of Rainer Werner Fassbinder and Aki Kaurismaki provide proper examples for the aesthetic of the filmic tableau. Fassbinder made the best use of the filmic tableau for the realization of his film-philosophy to integrate the art into the life. Likewise, Kaurismakis filmic handwriting is composed characteristically of the filmic tableau, which reproduces the gloomy reality of Finland with the unique melancholy. Also,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tableau as a film-aesthetic apparatus and analyze on the basis of this definition the films of the above-mentioned two dir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