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화 차원의 시상 표현 교수 : 구어 자료에 나타난 ‘-었-’과 ‘-었었-’을 중심으로

        배미연(Bae, Mi-Yeon),강현화(Kang, Hyoun-Hwa)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4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ense-aspect expressions at a discourse level and how discourse dimensions should be connected with discourse functions. Among many tense-aspect expressions, the paper focuses on the forms ‘-ess-’ and ‘-essess-’, which are complex in a sense that they depict both tense and aspect. The results show that ‘-ess-’ has a total of five discourse functions: ‘statement of past situation,’ ‘reminiscence of past situation,’ ‘objectification of present situation,’ ‘present validation of default result’ and ‘realization of hypothetical result.’ Moreover, ‘-essess-’ represents ‘order of past situations’ and ‘present invalidation of default results.’ Also these discourse functions are related to the discourse elements of ‘topic, information, and speak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function relevant to discourse elements. Ultimately, discourse research on tense-aspect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ables understanding of the utterance intention of Korean speakers using tense-aspect grammar. And it provides learners with the basis of using Korean correctly and appropriately.

      • KCI등재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미연 ( Mi Yeon Bae ),이순복 ( Soon Bok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 167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교사관계는 Pianta(2001)의 영아-교사관계 척도를,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은 Waters(1987)의 한국판 애착 Q-set을, 영아의 어린이집적응은 Jewsuwan, Luster, Kostelink (1993)의 어린이집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ASW Statistics)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영아-교사관계,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 어린이집 적응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교사관계,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는 서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은 영아-교사관계의 하위요인인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교사관계의 하위요인의 대부분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infant-teacher relationship o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67 infants and their 44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in P-city. To determin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by Pinanta(2001) was used. To determine teachers` attachment security for infants we used attachment Q-set by Waters(1987). To determine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by Jewsuwan, Luster, Kostelink(1993) was used.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PASW Statistics)20 program.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multi-collinearity among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daycare entry was practic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on teachers` attachment security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Seco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had significant impact on conflict, which was a lower factor to infant-teacher relationship. Third, most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affected most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 KCI등재

        긍정문에서 나타나는 부정극어 실현 양상 연구

        배미연 ( Bae Mi-yeon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본 연구는 기존에 부정문과만 호응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온 부정극어가 실제로 부정문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문법서와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10개의 부정극어를 선정해, 말뭉치에서 부정문의 유형에 따라 부정극어가 공기하는 양상과 긍정문에서 부정극어가 나타나는 경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10개의 부정극어 중에서 ‘결코, 별로, 아무도, 하나도, 조금도’는 긍정문과 공기하는 비율이 0%대로 가장 전형적인 부정극어로서의 양상을 보인 반면 ‘전혀, 도무지, 도저히, 절대로’의 경우는 긍정문과도 자주 공기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혀, 도무지, 도저히, 절대로’가 긍정문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일부는 부정 접두사가 결합한 파생어휘, 대립적 의미를 가지는 어휘, 부정 함축을 가지는 수사 의문문, ‘-기 어렵다’ 등의 구성일 때 나타났다. 하지만 ‘부정’과 의미적으로 전혀 관련성이 없는 문장에서도 ‘전혀, 도무지, 절대로’의 부정극어가 나타나는 현상을 포착함으로써, 이들 어휘가 통사론에서 부정문을 판정하는 준거로서의 부정극어에는 포함될 수 없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부정극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묶여서 논의되었던 부정 극성의 부사어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개별 부정극어가 가지는 부정 극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통사론에서 부정문 판정에 쓰일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인 부정극어와 그렇지 않은 부정극어를 구분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negative polarity items which had been set forth that they can only be used in negative sentences can actually be used in affirmative sentences. Ten negative polarity items were chosen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to analyze how negative polarity items appear in corpus according to the type of negative and affirmative sent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결코, 별로, 아무도, 하나도, 조금도’ appeared in the affirmative sentences at a rate close to 0% to show the typical tendency of negative polarity items while ‘전혀, 도무지, 도저히, 절대로’ often tended to appear in affirmative sentences. The analysis on the form in which ‘전혀, 도무지, 도저히, 절대로’ appear in affirmative sentences which is related to semantic negation as it was mentioned in precedent studies. However, the phenomena where negative polarity items such as ‘전혀, 도무지, 절대로’ appeared in sentences with no semantic relevance to negation is also captured. This study verified that these words cannot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negative polarity items as the criteria for judging negatives in syntax. This study individually analyzed negative polarity items, which had been rolled into and discussed as a single concept, and ultimately distinguished the case where they can be considered as typical negative polarity items that a sentence can be judged as a negative with in terms of syntax and the case where they cannot be regarded as untypical negative polarity items.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객관화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한샘 ( Kim Han-saem ),배미연 ( Bae Mi-ye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학습자의 학술적 텍스트와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를 비교해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의 객관화 전략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화 전략은 학문적 탐구의 결과를 보편성과 타당성을 갖추어 과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적용하는 담화 기제로서의 객관성을 갖추기 위해 필자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 연구에서는 객관화 전략의 언어적 표지를 관련된 의도성, 정확성, 완화 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객관화 표지가 관련 기제들을 나타내는 표지와 일부 겹치기는 하지만 개념은 변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관화 표지는 크게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는 것과 연구 주체를 연구 결과와 분리하는 것, 연구 내용을 일반화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속 표현과 명사화 구문은 상태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비인칭 표현, 피동 표현, 자기인용 등은 주장하는 바와 필자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며, 1인칭 대명사와 접미사 등을 통한 복수화는 연구 내용을 일반화 하는 데에 기여한다. 모어 화자 말뭉치와 비교하여 학습자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모어 화자에 비해 ‘-고 있다’는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으) ㄴ/는 것이다’ 등의 문법적 연어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체의 분리를 위한 비인칭 표현의 사용이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본 연구’와 ‘본고’에만 집중된 반면 모어 화자는 ‘본고, 본 연구, 본 논문, 본장 등’과 ‘이 연구, 이 논문, 이 장 등’이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복수화를 통한 연구 내용의 일반화는 모어 화자 말뭉치에서 활발하게 구현되었다. 이 연구는 객관성 구현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learners' academic texts with academic texts of native speakers and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learners' objectification strategies in detail. In order to achieve objectivity as a discourse mechanism applied to describe the results of academic inquiry in a scientific way with universality and validity, we analyzed concepts and signs such as related intentionality, accuracy, and mitigation of the linguistic markers of objectification strategi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intersectional overlaps with the signs that reveal objectivity, signs indicating related mechanisms, and there is a different set that is differentiated. Objective markers can be broadly classified as emphasizing stativity of research results, separating research subjects from research results, and generalizing research contents. Sustainable expressions and noun phrases emphasize statehood, and non-inhabited expressions, passive expressions, and self-quotations are maintained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laimant and the writer, and the pluralization through first-person pronouns and suffixes contributes to generalization. In the case of the learner, the non-inhuman expression of the quotation type appears to be very less compared to the maw speaker, which could b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 citation method of the Korean academic text. Next,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contents, the expression of 'we' was very less compared to the maw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