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배라영(Rayoung Bae),최지영(Jiyoung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문제,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충남의 4년제 대학생 중 만 18세∼만 25세이고, 현재 연애를 하고 있거나 연애경험이 있는 289명(남: 108명, 여: 181명)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요인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분노반추는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중매개역할을 하였다. 셋째, 청소년기 친구관계 문제와 대학생의 분노반추는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중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ediated effect of adolescent friendship problem,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anxiety, and anger rumination with the influ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relational aggression of university student. Theoretical models of the effe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on relational aggression were evaluated with participants of 289 university students(male: 108, female: 181) who are in or have experiences of romantic relationship from Seoul, Kyeonggi, Incheon, Daejeon and Chugnam. As a result, Firstly,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performed a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the childhood experience of parental emotional abuse to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both social anxiety and anger ru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lay double mediating roles in the process that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during childhood result i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Thirdly, friendship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nd anger ru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lay double mediating roles in the process that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during childhood result i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ollow-up study.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영(Jiyoung Choi),박양주(Yangjoo Park),배라영(Rayoung Bae),배현민(Hyunmin Bae),유위(Liu Wei)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검토, 재학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질적분석한 결과와 델파이 방법을 통해 166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최종 확정 문항은 82문항이며 이 중 학업적응 영역은 4개(진로 및 학업목표, 시간관리 및 학습전략, 학업적 흥미 및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심리정서적응 영역은 3개(긍정적 자아개념, 긍정적 정서, 심리적 건강), 사회적응 영역은 4개(사회적 지지, 의사소통능력, 교수와의 관계, 프로그램 참여), 대학환경적응 영역은 3개(교육과정 및 수업 만족도, 제도 및 시설 만족도, 대학 만족도)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활적응 척도의 각 영역별 신뢰도는 .914∼.942로 나타나 신뢰로운 척도라 할 수 있으며 적합도 검증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적응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 학교생활소진 척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which is reliable and valid to measure the degree of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66 questions was made through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method after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nrolled students and experts. Questions for making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 the main survey, and their valid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confirmed questionnaire finally consists of 82 questions, which included 4 academic adjustment areas such as career & academic goals, time management &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interest &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3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djustment areas such as positive self-concept, positive emotion, psychological health, 4 social adjustment areas such as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ability,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participation in programs. and 3 adjustment to the college environment areas such as curriculum & class satisfaction, system & facility satisfac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The reliability of each area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914 to .942, which can be said to be a highly reliable scale, and it was also found to be good in verifying fitness.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is shown to fulfill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student burnou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