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논문은 중일전쟁 발발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사이에 발표된 이태준의 자전적 단면 소설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전시 정책에 대한 이태준의 인식과 대응을 분석하였다. 중일전쟁을 전후하여 일본은 다양한 전시 법령을 제정하여 조선인을 전쟁에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선인의 고유한 관습과 전통을 금지하고 창씨개명을 강요할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교육을 폐지하였다. 이태준은 이러한 정책들이 파시즘적이며, 문화의 가치를 무시하고 문화를 말살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일본은 1938년에 제정된 ‘국가총동원 법’에 근거하여, 1940~1941년에 걸쳐 대부분의 조선어 매체들이 폐간하고 조선인 문학가들에게 일본어 창작을 강요하였다. 그러자 이태준은 이를 생계 문제를 이용하여 예술가의 자존심과 양심을 시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1941년 말부터 일본이 미국과 전쟁을 시작하면서 전시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라는 압력이 커지게 되자, 1943년 6월 이태준은 절필을 선언하고 강원도 이천으로 내려간다. 이태준은 일제의 전시 체제에 대한 자신의 대응을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는, 정세를 오판하여 일제에 협력하거나, 절망하여 자살하지 않고,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양심과 지조를 지켜나가려고 노력하였다. Analyzing Yi Taejun's autobiographical short stories published from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o the end of World War Ⅱ, this paper tried to shed light on Yi Taejun's understanding of and reactions to Japanese war efforts. Since the Sino-Japanese War, Japan enacted various wartime laws for effective mobilization of Koreans under the colonial rule. Japanese authority, based on wartime laws, forbade traditional Korean custom and practice, forced Koreans to change their name to Japanese style, and dosed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With regard to these measures of Japanese fascistic policy, Yi Taejun criticized that Japan with a lack of understanding for cultural values plotted to demolish Korean indigenous culture. Japan enacted "Law of National Total Mobilization" in 1938, dosed most of the Korean language mass media in 1940-1941, and forced Korean literati to write in the Japanese language as well. He believed that Japan tested Korean artists' self-respect and conscience by casting the bait of money. In December of 1941, with the start of a war against the U.S., Japan put mounting pressure on the Korean literati to cooperate with Japanese war effort, and, in June of 1943. Yi Taejun proclaimed to stop working on writing and moved into Gangwondo, a province of Korea. Yi Taejun put his reactions as "Staying Vigilant toward the Heaven's Rules" in order to guard against any cooperation with Japanese wartime efforts. Based on the above morality and philosophy, Yi Taejun did not only judge the situation correctly, while denying collaboration with Japan and not committing suicide in despair, but also kept his integrity as an artist as well.

      • KCI등재

        북한 문학과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 1953-1956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1953년부터 김일성은 사상교양분야에서 북한의 현실에 맞는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주장하며 탈소련화를 추진하였다. 1953년 초, 조선로동당은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당의 사상교양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조선로동당의 역사와 사상을 당원들에게 교육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문학도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전기(biography) 수준을 넘어 본격화 하였다. 1954년부터 소련파는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을 소련공산당의 개인숭배비판과 집단지도체제 노선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비판하였으며, 1955년 소련공산당 역시 김일성에 대한 ‘개인숭배’를 이유로 북한 권력의 재편을 추진하였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 김일성은 1956년 초사상교양분야의 소련파를 숙청하고,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대회에서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노선을 당의 공식적인 사상 노선으로 채택하였다. 1958년 이후 김일성이 소련이나 중국과는 다른 독자 노선을 걷기로 결심하면서 이 노선은 ‘주체사상’ 노선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at the “Juche” line developed from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line in the field of ideological education since 1953, and North Korean liter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actice the principle,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Juche” line afterward. In early 1953, the Korean Workers’ Party decided to adopt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s the principle of the Party’s ideological education, study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s the Party’s revolutionary history and educate it to the Party members. Consequently,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embodied in biographies of Kim Il-sung before began to be officially studied by the party organizations and members, and its literary figuration came into full swing. From 1954, the Soviet faction started to criticize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line for deviation from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CPSU)’s line of criticism at “personality cult” and return to the collective leadership. In 1955, the CPSU regarded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s a “personality cult,” pursuing the reshuffling of North Korea’s power structure for correcting this error. Against the measure, Kim Il-sung purged main figures of the Soviet faction in early 1956. After this watershed moment,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was adopted as the Party’s official ideology line, and being developed into “Juche Ideology,” as Kim Il-sung determined to take North Korea’s own path getting out of Soviet Union and China"s influences.

      • KCI등재

        여성화된 만주와 조선 남성 엘리트의 개척자 이미지 –일제 말, 조선인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계몽주의’ –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총력전(1938-1945) 시기 출판된, 조선 작가들의 만주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은 주로 조선 남성 엘리트를 이분법적이고 남성 우월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한설야의 『대륙』 (1939), 재만 조선 작가들의 『싹트는 대지』 (1941), 이기영의 『처녀지』 (1944)는 일본 혹은 조선의 남성 엘리트들을 만주를 문명화 하고 근대화하는 주체로 묘사하는 반면에, 만주의 여타 민족들은 주로 무지하고 문명화가 안 된 여성으로 묘사한다. 1932년을 배경으로 한 『대륙』은, 민간의 힘으로 실현되는 ‘오족협화’에 대한 이야기로, 어릴 때부터 조선인 마을에서 성장한 일본인 하야시가 대학과 병역을 마친 후 조선인들과 협력하여 농산 복합 체 성격의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고, 일본인 재벌 아들과 만주 호족의 딸이 힘을 합쳐서 항만/항일 조직을 분쇄하고 결혼하는 것을 묘사하였다. 『처녀지』 (1944)는, 의사인 만표가 조선인 부락에서 ‘근대화’와 ‘왕도’라는 만주국의 이념 을 실현하는 데에 헌신하는 것을 묘사하고, 조선인이 건강한 국민으로서 일본군대에서 훈련을 받게 된다면 마적으로부터 자력 방어가 가능한 자급자족의 공동체를 건설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였다. 『싹트는 대지』(1941)에 수록된 「초원」과 「밀림의 녀인」은 만주국의 지방 관료 그리고 만주국 협화회 지부의 간 부였던 두 작가의 생활을 투영한 작품으로, 문명/야만이라는 이분법하에서 조선 엘리트들이 야만적인 만주의 여성들을 계몽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서 표현된 남성 우월적이고 이분법적인 문명화 담론은 서양이나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계몽주의’를 모방한 것이었다. Korean writers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working in Manchukuo(만주국) as a pioneer and modernizer who devoted his life to reforming Manchuria with advanced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medical science, agriculture, etc. Contrarily, the writers portrayed Manchuria as a primitive and ignorant female asking him for help about her development. Han Soel-ya’s Daelyuk [The Continent] (1939), Ssakteuneun daeji: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of Korean Writers in Manchuria [The Sprouting Land] (1941), and Yi Gi-yeong’s Cheonyeoji [The Virgin Land] (1944) all characterized Koreans who collaborated with Manchukuo’ policies as the cultured male elite, while indigenous ethnic groups in Manchuria were seen as the uncultured and uneducated female. Ssakteuneun daej and Cheonyeoji depicted that male Koreans developed Manchuria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ed the Manchurian people. Daelyuk described that the male elite applied his military expertise and entrepreneurship to build the new type of community based on agro-industrial complex. These stories commonly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as the pioneer burdened with a mission to develop Manchuria and civilize the Manchurian people. In conclusion, the enlightenment ideology based on the dichotomy and male chauvinism in Korean writer’s literature with a Manchurian setting copied the idea of ‘colonial enlightenment’ being intrinsic to western and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이태준: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해방기(1945.08.15~1948.08.15)에 이태준은 서울에서 결성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1945.8.18) 산하 조선문학건설본부의 중앙위원장, 그리고 ‘조선문학가동맹’(1945.12.13)의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들 문화조직들은 좌파와 중간파 문학 · 예술가들의 ‘문화통일전선’을 표방하였는데, 중간파였던 이태준이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 연합에 토대를 둔 ‘진보적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임화의 주장에 동조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준은 또한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협의된 ‘신탁통치’가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는 유력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교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입장인 ‘민주주의민족전선’(1946.02.15)에 조선문학가동맹의 대표로 참여하였다. 이후 이태준은 1946년 8월 10일경 월북하여 소련 기행을 하고 돌아온 후 북한에 남기로 결정하였다. 이태준은 북한의 토지개혁이나 문맹퇴치운동을 묘사하는 소설을 집필하고, 북한에서 ‘진보적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것에 대한 감시자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태준은, 한국전쟁 발발 직전(1950.3)에 발표한 〈먼지〉에서,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 · 10선거를 전후한 서울을 묘사하면서 ‘통일 독립국가'를 수립과 관련된 중간파의 역사적 역할이 종결되었음을 시사하였다. By analyzing literary works and activities of Yi Tae-Ju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15 August 1945-15 August 1948),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motivation why Yi proactively involved in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United Front", with the leftist literati together. Lim Hwa suggested the principle of building "progressive democratic nation state," tha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but with excluding of pro-Japanese group and traitor, and Yi Tae-jun agreed with the principle. Believing that such a "Cultural United Front" in literary world was necessary, Yi was willing to participate in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for Korean Literature Construction,"(18 August 1945) and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13 December 1945). Moreover, Yi Tae-Jun believed firmly thar the trusteeship, announced at the Council of Three Foreign Ministers in Moscow, was best way to establish "Unified and Independent Stare," therefore actively engaged in "National Front for Democracy" which expressed support for trusteeship. Thereafter, Yi Tae-Jun defected to North Korea in 10 August 1946 and traveled the Soviet Union. After return from the Soviet Union, he decided to remain in North Korea, wrote a novel describing land reform and crusade against illiteracy, and planed to be a watchdog for the realization of "progressive democracy" in the North. However, He insinuated the dose of the "Neutrals" historical mission in his novel "the Dust"[meonji], portraying Seoul during and after "May 10 Election" of 1948.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과 그 원인, 1945~1953

        배개화(Gaehwa Bae)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해방직후, 조선의 많은 문학자들은 ‘인민민주주의’를 앞으로 건설해야 할 국가의 모델로 지지하였다. 인민민주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형성된 반파시즘, 반제국주의적 ‘인민전선’을 토대로 인민 정권을 수립하고,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조선의 경우, 좌파와 중간파 문학자들은 서로 협력하여 ‘문화통일전선’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나, 일부의 구KAPF 문학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표방하는 독자적인 단체를 수립하였다. 후자는 1946년 초 월북하여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을 수립하였는데, 그 강령은 ‘조선문학가동맹’의 그것과 대동소이하였다. 동일한 노선을 추구하면서도 문학자들 사이에 분열이 발생한 원인은 동유럽이나 중국 등과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인민전선’이 확고하게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북조선문예총의 문학자들은 인민전선의 형성을 통한 인민민주주의 국가의 수립을 지지하면서도 문학에서 ‘프롤레타리아의 계급성’을 강조하는 모순된 입장을 취했다. 이런 경향은, 북한문학이 전후 소련의 문학 정책인 ‘즈다노비즘,’ 즉 공산당의 강력한 검열과 통제를 통해 문학예술에서 프롤레타리아의 계급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수용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에, 조선문학가동맹은 루카치의 ‘세계관에 대한 리얼리즘의 승리,’ 즉 작가의 세계관과 그의 문학적 성취는 별개라는 입장이었고, 이를 좌파와 중간파가 협력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이러한 분열과 대립은 1946년 8월과 11월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창립되는 것에 발맞춰 두 문학 단체가 ‘당의 문학’을 문학운동의 노선으로 채택함으로써 봉합 국면에 들어갔다. 그러나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은 소련의 문예이론을 이식하여 ‘고상한 애국주의’와 김일성의 개인숭배를 강조하는 문학 노선을 만들어간 반면에, 조선문학가동맹은 작가 내부의 낡은 세계관과의 투쟁과 새로운 리얼리즘의 창조를 강조하면서 둘 사이의 노선 차이는 점점 커졌다. 이러한 차이는 1951년 두 문학 단체가 통합되면서 당의 문예노선에 대한 갈등으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은 해방 이후의 정세, 인민전선의 성격, 카프의 공식주의 비판, 당 문학 원리에 대한 상이한 이해와 그 실천이 원인이었다. 이 둘의 대립은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학자들이 조선로동당 내부의 권력투쟁에서 패배하면서 종결되었다.

      • KCI등재

        문학의 희생 : 북한에서의 이태준

        배개화(Gaehwa Ba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해방이 되자 이태준은 민중권력을 바탕으로 한 ‘인민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공감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공산당과 손을 잡았다. 그는 조선공산당이 1946년 1월 6일 신탁통치 안에 찬성한다는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자 이에 적극 동조하였으며, 조선공산당이 주도하는 민주주의민족전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북한에서 토지개혁이 성공한 것을 보고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확신하고 1946년 8월에 월북하였다. 그는 북한의 건국 작가가 될 것을 결심하고 제도 개혁과 그것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문학작품을 창작하였다. 이태준은 북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설되자 이것을 조선을 대표하는 유일한 국가로 지지하고, 이를 무력으로 실현하는 것에도 동조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이태준은 종군작가로 전쟁에 참여하고 북한의 전쟁을 응원하는 글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덕분에 1949년 출판된 《신문장강화》가 1952년 일본과 중국에서도 출판되는 등, 이태준은 국민 작가의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한국 전쟁 직후, 박헌영 계열(1953.8)이 숙청될 때, 이태준도 부르주아 작가로 비판받고 숙청되었다. 이후 이태준은, 소련파 숙청(1956)에 이용되는 등, 조선로동당을 부르주아 사상으로 약화시키려고 했던 예로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이태준은 국가 없이는 문학도 존재하기 어렵다고 믿고 자신의 문학을 국가 건설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다. 하지만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문학적 자유를 포기한 대가로 이태준은 정치적 목표의 또 다른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On Korea’s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aejun Yi, sympathizing with the policy of “people’s democracy” claimed by the Korea Communist Party(KCP),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KCP for realizing his ideal. In 6 January 1946, the KCP made a public statement, supporting the decision of trusteeship for Korea. Taejun Yi expressed his agreement for KCP statement immediately as well, and participated proactively in the Democratic Nation Front led by the KCP. Taejun Yi convinced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at the land reform in March 1946 and defected to North Korea in August 1946. He decided to be a state building literator of the North Korea, creating numerous works of propagating system reforms and their superiority.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in September 1948, Taejun Yi strongly maintained that the DPRK was the only legitimate government in a whole Korea and agreed with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by armed forces.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e volunteered a war writer and published numerous writings, supporting for the war efforts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 return for his contribution, he was treated as a national writer, publishing his masterpiece “Munjang Ganghwa” in Pyeongyang in 1949, and in Japan and China consecutively in 1952. With the ending of the Korean War in July 1953, he, however, was criticized as bourgeois writer and purged with Heonyeong Bak and his adherents together in August 1953. Taejun Yi was exemplified as a typical bourgeois writer, weakening the solidarity of the Korean Workers Party, which was utilized as an excuse in purging Soviet Korean writers in 1956 as well. Believing that a “national literature” could not subsisted without “nation-state”, Taejun Yi, with no hesitation, agreed to use his literature for the contribution of nation building. Ironically enough, the return for his giving up pure literature and freedom of expression was a sacrificing himself for the political goals.

      • KCI등재

        북한의 전쟁문학 속 ‘공화국 영웅’ -군사적 이상형의 기원과 문화적 진화에 관한 연구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2

        This paper illuminates that the portrayal of the ‘Hero of the Republic’ in war literature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Korean War serves as the origin of North Korea’s military ideal type. On June 30, 1950,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North Korea instituted the honorary title ‘Hero of the Republic’ as a strategic measure to ensure swift victories in the ongoing war. The title was bestowed upon courageous soldiers of the Korean People’s Army (KPA) who demonstrated heroism on the battlefield. On August 4, following Kim Il-sungs directive to propagate the stories of the ‘Heroes of the Republic,’ North Korean writers published “Yeongungdeul-ui Jeontugi [Heroes Battle Stories].” These stories asserted that these heroes won a victory in battles by imitating Kim Il-sung’s patriotism, rooted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his strategic brilliance. This narrative construction established a semantic framework wherein Kim Il-sung emerged as the “best military ideal type,” and KPA soldiers bestowed the title “Hero of the Republic” were depicted as his disciples. Throughout the post-war recovery process from August 1953 and the later socialist construction phase starting in 1958,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stilled heroes of the Republic as role models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Subsequently, the ‘Immortal History’ series supplied a concrete narrative reinforcing the notion that Kim Il-sung was the leader and organizer of the victory in the Korean War. Even during Kim Jong-il’s Songun era, marked by North Korea’s transition into a fully-fledged military state, and the succeeding Kim Jong-un’s Songun Revolution era, literary works featuring the heroes of the republic continued to be published. In these works, the portrayal of the supreme leader has evoloved from the best military ideal type into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atriotic and heroic actions of the heroes as well as the symbolic father who gazes and evaluates their actions. In summary,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narrative of the ‘Hero of the Republic’ has been used as an essential cultural device propelling North Korea’s militarization from the outset of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