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흉부 둔상후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유발한 삼첨판막 유두근 파열의 치료

        방정희,우종수,최필조,박권재,정상석,이정훈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4

        A 47-year-old man presented with complaints of chest pain and dyspnea caused by deceleration injury due to an automobile accident. Systolic cardiac murmur was audible at the right sternal border. An electrocardiogram showed sinus tachycardia.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revealed a flailing anterior leaflet of the tricuspid valve, papillary muscle rupture, and severe valve insufficiency. Rupture of papillary muscle of the anterior leaflet and chordae tendineae of the posterior leaflet were confirmed by right atrial incision under routine cardiopulmonary bypass. Artificial chordae tendineaes were implanted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leaflet and papillary muscles in the right ventricles. De-Vega annuloplasty was also added. This is a very rare case in which a surgery was done for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caused by post-traumatic papillary muscle rupture. 47세 남자 환자가 교통사고로 인한 감속 손상후 흉부 통증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청진시 우 흉골연에서 수축기 심잡음이 들렸고 심전도에서는 분당 120∼130회의 동빈맥을 보였다. 경흉부 심장 초음파에서 삼첨판막의 전엽이 동요하는 형태를 보였고 유두근의 파열과 함께 심한 판막 폐쇄 부전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통상적인 심폐기하에서 우심방절개를 통해 접근하여, 전엽의 유두근과 후엽의 건삭이 파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엽과 후엽에 각각 우심실내의 유두근으로 새로운 인공 건삭을 조성하였다. 또한 De-Vega 판륜 성형술을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 외상후 유두근 파열로 인한 삼첨판막의 기능부전의 수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만성 폐동맥 색전증 환자에서의 폐동맥 내막절제술의 임상적 결과

        방정희,우종수,최필조,조광조,박권재,김시호,이길수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3

        Background: Diagnosing chronic pulmonary embolism at an early stage is difficult because of the patient’s nonspecific symptoms. This condition is not prevalent in Korea, and in fact, there have been only a few case reports on this in the Korean medical literature. We analyzed the surgical outcome of performing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embolism. Material and Method: The study subjects included thos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chronic pulmonary embolism from 1996 to 2008. For making the diagnosis, echocardiography, chest CT and a pulmonary perfusion scan were performed on the patients who complained of chronic dyspnea. Result: Pulmonary endarterectomy was performed as follows: by incision via a mid-sternal approach (7 patients); by incision via a left posterolateral approach (1 patient); using the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technique (4 patients); under ventricular fibrillation (3 patients); and under cardioplegic arrest (1 patient). The postoperative systolic pulmonary artery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a preoperative value of 78.9± 14.5 mmHg to 45.6±17.6 mmHg postoperatively (p=0.000). The degree of tricuspid regurgitation was less than grade II after surgery. Two patients died early on, including one patient who had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without improvement and right heart failure. Conclusion: Patients who have chronic pulmonary embolism are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However, we think that early surgical treatment along with making the proper diagnosis before the aggravation of right heart failure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a patient’s life. 배경: 만성 폐색전증은 초기에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흔한 질환이 아니므로 보고된 예도 적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폐색전증 환자에서 폐동맥 내막절제술의 수술결과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해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8년까지 만성 폐색전증으로 본원에서 수술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적인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심초음파, 흉부 전산화 촬영, 폐 관류스캔을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결과: 7예의 환자에서는 정중흉골 절개술로, 1예는 좌측 후측방 절개술을 통해 접근하였다. 4예에서는 극저체온 순환 정지하에, 3예는 심실 세동하에, 1예는 심정지하에 폐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평균 폐동맥 수축기 혈압은 술 전 78.9±14.5 mmHg에서 45.6±17.6 mmHg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p=0.000) 삼첨판 부전증 정도는 Grade II 이하였다. 조기사망은 2예가 있었으며 그 중 1예는 폐동맥 고혈압이 지속되면서 우 심부전이 호전되지 않아 결국 사망한 경우였다. 결론: 만성 폐색전증의 예후는 아주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우 심부전이 심해지기 전에 적절한 수술적인 치료를 한다면 향후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ECMO를 시행했던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동맥 파열 및 감염의 치료에 있어 폐쇄공 우회술을 시행한 치험 −1예 보고−

        방정희,우종수,최필조,조광조,박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3

        Infection of both native and prosthetic vessels in the groin is a very serious disease because of recurrent arterial rupture and sepsis, which can cause death. The successful treatment of groin infection, including infection of the femoral artery, requires extensive excision of the infected tissues and restoration of the circulation where the infected area is isolated. Here we describe a case of obturator bypass in a patient with infected femoral artery rupture that occurred afte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for myocarditis and severe heart failure. 이식한 자가혈관이나 인조혈관의 감염은 반복적인 파열 및 폐혈증으로 환자의 생명까지도 위태롭게 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따라서 대퇴동맥을 포함한 서혜부의 감염의 치료에 있어 제일 중요한 원칙은 감염부위의 광범위한 절제와 감염부위와 격리된 동맥재건술이다. 본원에서는 ECMO를 시행했던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동맥 파열과 주변부의 감염에 대하여, 위의 치료원칙을 제일 잘 반영할 수 있는 수술방법인 폐쇄공 우회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심장 종양의 수술적인 치료의 임상적 고찰

        방정희,우종수,최필조,조광조,김시호,박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4

        Background: Primary cardiac tumors are extremely rare. The most common type are benign myxomas, and these are almost completely curable with early surgery. Malignant tumors, however, such as sarcomas, are difficult to remove surgically, and their prognosis is known to be poor. In this study, data on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of cardiac tumor in the authors’ hospit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aterial and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28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of cardiac tumor from August 1993 to December 2008.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 The patients were aged from 20 to 76 years (mean age: 54.2±15.6), and 11 were male (39%) and 17 female (61%). Fifteen of them (54%) underwent emergency surgery to improve heart failure symptoms. The most common preoperative symptom was dyspnea (15 cases, 54%). Preoperative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on all the patients. The average size of the tumor as measured during the operation was 7.0±6.9 cm (the average length of the long axis was 2∼40 cm), and the sites of tumor attachment were the interatrial septum (18 cases, 64%), the left atrium (9 cases, 32%), the mitral valve annulus (2 cases, 7%), and the left ventricle (2 cases, 7%). The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an incision through both atria in all the patients, and a complete excision was made in 25 cases (89%). According to the biopsy results, there were 4 cases of sarcoma (14%), 1 case of lipoma (4%), and 23 cases of myxoma (82%). The three cases in which the tumors were not completely excised were sarcomas. No operative deaths occurred after the operations. Outpatient follow-up was possible for 24 cases (86%), with a mean follow-up period of 46.8±42.7 months. Late death occurred in 3 of the 24 patients; each of these patients had sarcomas. Of these patients, the first had undergone two repeat surgeries, the second had metastatic sites removed, and the last had only chemotherapy. The average recurrence time was 12.7±10.8 months, and the average metastasis time was 20.5±16.8 months. Conclusion: Most cardiac tumors are benign myxomas. In principle, they should be surgically treated because they can create risks such as embolism, and can be radically treated when surgically removed. In most cases, however, malignant sarcomas are already considerably advanced with severe infiltration into the neighboring tissues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surgical removal of malignant sarcomas is known to be difficult because of the advanced stage and degree of infiltration. We suggest that excision of the removable portion of the tumor sites to alleviate symptoms such as heart failure can improve quality of life. 배경: 심장의 원발성 종양은 아주 드문 질환이다. 이중 대부분의 경우는 양성인 점액종이고 이는 조기의 수술적인 치료로 거의 완치되는 반면 육종과 같은 악성종양은 수술적 제거가 어렵고 예후도 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심장 종양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했던 환자를 모아서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심장 종양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하였던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를 통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연령은 20세에서 76세 사이로 평균 54.2±15.6세였다. 남자가 11명(39%), 여자가 17명(61%)이었다. 15예(54%)에서 심부전의 증상 호전을 위해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 주 증상은 호흡곤란이 15예(54%)로 제일 많았다. 전 환자에서 술 전 심장초음파로 진단이 되었다. 수술 시 종양의 크기는 장축이 2∼40 cm의 범위로 평균 7.0±6.9 cm였으며 종양의 부착부위는 18예(64%)에서 심방중격에, 9예(32%)에서 좌심방에, 2예(7%)에서 승모판막윤에, 2예(7%)에서 좌심실에 위치하고 있었다. 수술은 전 환자에서 양 심방절개를 통해 접근하였고 25예(89%)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육종이 4예(14%), 지방종이 1예(4%), 점액종이 23예(82%)였으며 완전절제를 못했던 3예는 모두 육종이었다. 술 후 사망은 없었다. 외래 추적은 24예(86%)에서 가능했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46.8±42.7개월이었다. 추적 환자 중 만기 사망은 조직검사에서 육종이었던 3명이 있었다. 육종으로 수술했던 환자로 재발 혹은 타 조직으로 전이하여 1예에서 2차례 재수술, 1예에서 전이 부위 절제술, 1예에서는 항암치료만을 했던 환자였다. 평균 재발 및 전이기간은 각각 12.7±10.8개월, 20.5±16.8개월이었다. 결론: 심장 종양의 대부분인 점액종은 색전 등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수술함이 원칙이고 수술적 제거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악성종양인 육종은 발견 시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이 심해 수술적인 제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심부전 증상 등의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가능한 부위의 절제를 함으로써 환자의 향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편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100예의 임상적 고찰

        방정희,우종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4

        Backgrou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n the beating heart is no longer a new methods for any cardiac surgeon. We evaluated the application of the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procedure relative to safety and efficiency as measured by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operative mortality. Material and Method: We used our retrospective database to compare the patients having off-pump coronary surgery (n=100) with those having on-pump coronary surgery (n=100) between June, 1999 and August, 2002. Patients whom underwent associated valvular or aortic aneurysmal operation were excluded. Result: Neither groups showed any differences in the patient's risk factors and extent of coronary disease. Off-pump CABG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ly less mean operation time (295±73 min vs 323±83 min, p=ns) and mean hospital day (15.34±6.02 day vs 13.80±4.95 day, p=ns). However, off-pump CABG group had significantly shorter mean ventilation time (17.3±11.27 hour vs 24.98±16.1 hour, p<0.05). No patients were converted to on-pump CABG in off-pump CABG. Intraoperative hemodynamic instability in off-pump CABG were 6 cases, of whom 2 cases were in lateral wall approach and 4 cases in right coronary anastomosis. Postoperative mortality was 1 case in off-pump CABG and 2 cases in on- pump CABG. Intra-aortic ballon pump (IABP) was applied in 1 case with off-pump CABG and in 2 cases with on- pump CABG. No patients presented postoperative cerebral infarction & stroke in off-pump CABG but 2 patients in on-pump CABG. Postoperative arrhythmia presented in 4 cases with off-pump CABG and in 6 cases with on-pump CABG. Acute renal failure (ARF) was complicated in 3 cases with off-pump CABG and in 2 cases with on-pump CABG. Conclusion: This study documented the immediat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off-pump CABG procedure.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은 이제 심장수술자에게 일반적인 시술이 되었다. 저자들은 이 수술방법의 합병증 및 사망률을 분석하여 수술의 안정성 및 효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8월까지의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술 100예와 심폐바이패스하의 관상동맥 우회로술 100예를 대상으로 했으며 관상동맥 수술 외에 다른 수술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양 그룹에서 술 전 위험요소나 관상동맥 질환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심폐바이패스하의 관상동맥 우회술보다 평균 수술 시간(295 73분 vs 323 83분, p>0.05)과 평균 입원 기간(15.34 6.02일 vs 13.80 4.95일, p>0.05)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인공 호흡기 거치 시간은 심폐바이패스 없이 수술한 경우에 의미있게 짧았다.(17.3 11.27시간 vs 24.98 16.1시간, p<0.05)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중 술 중 심폐바이패스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술 중 혈역학적인 불안정을 보인 경우는 6예에서 있었는데 2예는 둔각분지 시 4예는 우관상동맥 문합 시 생겼다. 술 후 사망은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시 1예, 심폐바이패스하의 관상동맥 우회술 시 2예가 있었다. 대동맥 내 풍선 펌프는 각각 1예와 2예가 있었다. 술 후 뇌경색은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에서는 없는 반면 심폐바이패스하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는 2예가 있었다. 술 후 심부정맥은 각각 4예와 6예 있었으며 급성 신기능 부전은 각각 3예와 2예가 있었다. 결론: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술은 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환자의 회복과정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항공서비스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전공만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연구

        방정희,조우제 대한관광경영학회 2022 觀光硏究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전공만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생들과 학과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국에 재학중인 항공서비스학과 대학새들을 대상으로 총 299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SPSS 25.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 에서 다중팬텀변수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HEdPERF의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 대학명성, 행정프로그램, 접근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수가 있으며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은 전공만족의 교과, 관계, 인식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지만 교육서비스품질 중 대학명성과 전공만족과의 영향관계는 기각되었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진로준비행동과도 유의하게 나타남을 알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론은 항공서비스학과에서의 우수한 교육서비스품질로서 학생들이 자각할 수 있는 유용성은 전공만족 및 올바른 진로준비행동을 통해 올바른 목표를 설정하여 나아갈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