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분석

        방정숙,김윤영,선우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初等 數學敎育 Vol.25 No.2

        Mathemat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one of the six mathematical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latest mathematics curriculum,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as a means and as a goal for students to learn mathematic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find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analyze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y in detail.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64 sixth grad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lessons of fraction division emphasiz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A written assess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four sub-element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e., understand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developing and transform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representing one's ideas, and understanding others’ id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principle of fraction division in various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The students were more proficient in representing their ideas with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solving them than doing with visual models. They could use appropriate mathematical terms and symbols in representing their ideas and understanding others’ ideas. This paper closes with some implications on how to foster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while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학 교과역량 중 의사소통 능력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위한 수단이자 목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수학을 가르칠 때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모색하고 실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수의 나눗셈에 초점을 둔 의사소통 능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하위요소(수학적 표현의 이해,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자신의 생각 표현, 타인의 생각 이해)에 따라 검사지를 개발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분수의 나눗셈의 원리를 다양한 수학적 표현으로 이해하고 나타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자신의 생각 표현 측면에서 수학적 아이디어를 시각적 모델로 표현하는 것보다수식으로 표현하고 해결하는 데 능숙했으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타인의 생각에 대해 반응할 때 수학 용어나 기호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방정숙,선우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2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eaching practicu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because it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teaching contexts. As such, it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clos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school. Given that,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the prospective teachers in this study had an opportunity to discuss mathematics lessons they had implemented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This paper analyzed in what ways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were changed through thi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late comment the teachers tended to focus more on mathematical discourse, consider not only the teacher of the lesson but also students, and suggest alternative approaches on the classroom events they had noticed. It is noticeable that the results analyzed by researchers were consistent with prospective teachers' self-assessment.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enhance prospective teachers' ability to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 KCI등재
      • KCI등재

        수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1963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방정숙,오민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3

        수학 교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으로서의 수학 교과서는 우리나라 수업에서 특히 중요하게 활용된다. 그동안 수학 교과서 연구의 범위가확장되고 그에 따른 연구가 많아지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서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국내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수학 교과서와 관련된 41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교과서 분석 연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다음으로 교과서 활용 연구, 교과서 개발 연구의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중고등학교급보다초등학교급에서 교과서 연구가 많았다. 교과서 분석 연구의 경우는 특정한 수학 개념을 교과서에 어떻게 제시하였는지 분석하는 연구가 가장많았고, 교과서 활용 연구의 경우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적절성을 검토하거나 특정 코너나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과서 개발 연구의 경우는 스토리텔링과 전자교과서와 같은 새로운 교과서 개발 방향과 예시를 다루는 논문이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국내 수학교육 맥락과 국외 수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에 비추어 교과서 연구에 대한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ㆍ분석

        방정숙,권미선,김민정,최인영,선우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4

        측정은 초등 수학 교육에서 중요하지만, 초등학교에서 측정 영역을 의미 있게 지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크게 전반적인 학습 내용 및 지도 시기와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을 비교하였고, 이 중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은 측정의 학습 내용에 특화된 교수‧학습 요소에 따라 단위의 필요성,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 선택, 계산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국가 모두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고, 여러 가지 단위 사이의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는 등 측정을 지도하는 일반적인 방향은 유사하였다. 반면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 중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의 선택 등을 중심으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 및 차기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each it meaningfully. This study analyzed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to capacity and weight in a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The overal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a) what and when to teach main learning content, and (b) how to teach the learning content tailored to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specific to the topics of measurement (i.e., the necessity of measurement unit, the meanings of measurement terms, appropriate choice of units, appropriate choice of measurement tools, and the necessity of calc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overall similarities in using real-life contexts to teach major topics on capacity and weight as well as emphasizing the relations among measurement units. However, noticeable differences were also analyzed in dealing with the meanings of measurement terms, appropriate choice of units, and appropriate choice of measurement tool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extbook writers with implications on what to further consider in dealing with capacity and weight.

      • KCI등재

        이중 척도 모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방정숙,곽기우,김소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논문집 Vol.37 No.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이중 척도 모델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학생들이 이중 척도 모델을 어떻게 이해하거나 활용하고 있는지 자세히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중 척도 모델이포함된 교과서로 분수의 나눗셈을 학습한 6학년 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형태의 이중 척도 모델을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모델의 구성 요소는 비교적 잘 탐색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예외적으로 아래에 놓인 수직선의 단위나 의미를 탐색하는 데는 어려움을 드러냈다. 또한 이중 척도 모델을 활용해 계산 과정을 완성하고 계산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 척도모델을 활용한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방정숙,김상화,Pang, Jeong-Suk,Kim, Sang-Hwa 한국학교수학회 200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0 No.1

        최근의 수학교육 개혁은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평가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교사의 학습이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저변에 깔려 있는 요소 중의 하나는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을 망라한 교수법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PCK 정립을 위해서 수학과 내용 전반에 걸쳐서 핵심적인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비와 비율 주제와 관련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 및 학습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교과서 재구성 및 적용으로 나누어 개발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Recent reform m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focused not onl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but also on teachers' learning or professional development. Whereas various theoretical paradigms call for different program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ne of the common emphases i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hich encompasses contents and methods to teach.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comprehensiv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PCK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17 essential learning themes such as fraction, plane geometry, and area. Each loaming theme was first summariz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in terms of knowledge in mathematics contents, knowledge in teaching methods, and knowledge in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Each theme was then analyzed in detail on how it was re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concomitant textbooks along with workbooks. Finally, this report included a reconstruction of one unit in textbooks per each learning theme, followed by teaching notes and suggestions from classroom implementation. This was intended for teachers to apply what they might loam from this material to their actual mathematics instruction. Given the page limit, this paper dealt only with the learning theme of ratio.

      • KCI등재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초등 수학 수업 개선: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방정숙,김주현,최예원,곽은애,김정원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初等 數學敎育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15명과 교사 교육자 1인으로 구성된 교사 공동체에서 전체 논의와 학년별 논의를바탕으로 Smith와 Stein(2018)이 제안한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초등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활동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년에서 관행이 매우 잘 실행되는 4수준을 유지하거나 관행의 수준이 점차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관행별로 살펴보면, 목표 설정, 과제 선정, 예상하기, 선정하기의 경우 대부분의 학년에서 실행 수준이상승하거나 4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계열짓기와 연결하기의 경우 실행 수준의 상승, 하락, 유지가 다양하게 드러났다. 또한 점검하기의 경우 잘못 적용하는 요소를 포함하는2수준을 유지하거나 기껏해야 수준 상승 후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방정숙,Pang, Jeong-Suk 한국학교수학회 200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8 No.4

        초등 수학교육에서 수감각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계산 능력과 수감각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수감각 연구에 초점을 두어, 수감각의 주요 구성요소별로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수감각을 활용하는지, 어떤 수감각을 활용하는 지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감각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number sense, computational skills have been emphasized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number sense.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the way 137 sixth grade students coped with routine computation problems and with problems requiring number sense. Students performed better on the computation tasks than on the number sense tasks. With regard to the number sense tasks, many students had a tendency to implement direct computation rather than to use number sense appropriate to the given contexts. Students also had difficulties in making use of effective benchmarks or applying the knowledge of number and operation to various problem contexts. An implication is that students should explore multiple tasks requiring number sense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mathematics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number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