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조선족 중학생들의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유미(方有美),량홍(梁?)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4 No.-

        본 연구는 읽기연구에서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읽기능력을 제고시키고저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길시 모 중학교 8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읽기 효능감과 능력의 상관계수는 0.834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읽기효능감의 5개 하위 요인들 또한 모두 0.4 이상의 상관계수로 읽기효능감과 읽기능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여 본 연구는 조선어문읽기교육에 있어서 읽기전략을 통하여 읽기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읽기효능감을 높여줌으로써 읽기능력을 제고시킬 수도 있다는 결론을 얻어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 KCI등재

        주역과 풍수 담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토폴로지

        방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7

        이 논문에서 필자는 『주역』과 풍수를 중심으로 다산 정약용의 공간 담론을 분석하였다. 『주역』과 풍수 담론에서 공간 개념은 위(位) 개념을 통해서 표출된다. 위는 공간의 토포스를 가리키지만, 동시에 정치·사회·문화적 함의를 가지는 개념이다. 『주역』의 기호체계에서 괘위(卦位)는 괘상(卦象) 속에서 위치를 나타낼 뿐 아니라 자연과 사회의 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풍수는 지기(地氣)가 인간의 운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전통사회에서 장례와 주거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간 담론이다. 『주역』과 풍수의 공간 담론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방위는 양자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고대인들에게 있어서 방위는 혼돈된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고자 하던 고대인들의 종교적 세계관의 표현이었다. 다산은 『주역사전』에서 의례(儀禮)에 나타난 방위 개념을 존중하고 그 권위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반면에 다산은 『풍수집의』에서 풍수에 대해서 단호히 반대하는 태도를 취했다. 다산은 풍수가 유가의 정통 사상에 속하지 않을 뿐 아니라 길흉의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이것은 경험적 증거와 합리적 근거를 진리의 판단기준으로 삼던 실학(實學)의 학문관을 드러낸 것이다.

      • KCI등재

        한국철학사에서 자기정체성과 타자성의 문제

        방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0 No.-

        The other is a stranger to the a subject. The myth of Dangun mythologically in Korea expresses the process in which the other changes the subject through the process of metamorphosis. Just as an individual's identity is formed in social relationships, the identity of philosophy is also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 are typically three ways in a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makes responses when it interacts with other traditions: conversion(轉向), confrontation(對決), and consilience(統攝). Firstly, in conversion, one admits that the other is superior and gives up one’s own self-identity all together. There are two types in the conversion.: collective conversion and individual conversion. As a case of collective conversion,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royal family of Silla collectively turned to Buddhism, and as an example of an individual conversion, there is the case of Choe Byeong- heon who converted from a Neo-confucian scholar to a Protestant Christian. Secondly, in confrontation, one believes that one’s system of beliefs is correct and other’s is incorrect so a conflict is inevitable. Wijeongcheoksa(衛正斥邪) theory belongs to the case of confrontation. The root of Wijeongcheoksa theory lies in the Horak(湖洛) debate. Thirdly, the case of consilience is found in Wonhyo(元曉), a Buddhist thinker of Silla. Hwajaeng(和諍=harmonization of disputes) was Wonhyo's method of integrating the theories of other lineage within Buddhism, but it was also applied to theories outside of Buddhism. Western philosophy is the other that Koreans confronted for the la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hilosophy, Korean philosophy suffered a serious crisis of identity confus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raditional subject-other or host-guest relationship is reversed. This situation is a very uncomfortable truth for Eastern or Korean philosophers to accept. Now, what is the direction Korean philosophy should go in the future, and where is the identity to be newly formed? In the global wor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not fixed and is constantly evolving. In the global knowledge field, the subject and the other will exchange information more actively than ever before, forming a new amalgam. 타자는 주체에게 낯선 존재이다. 정체성이 확인되지 않은 미지의 낯선 존재는 주체에게 위협의 대상인 동시에 매혹의 대상이다. 단군신화는 곰이 웅녀로 변화하는 메타모르포시스의 과정을 통하여 타자가 주체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신화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개인의 정체성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되듯이, 철학의 정체성도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형성된다. 하나의 철학 전통이 다른 문화권의 철학과 만나는 방식에는 전향(轉向, conversion), 대결(對決, confrontation), 통섭(統攝, consilience)의 세 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 전향의 방식에서는 상대의 체계가 자기의 것보다 탁월하다는 것을 전적으로 인정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완전히 포기한다. 전향의 방식에서는 집단적 전향과 개인적 전향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집단적 전향의 사례로는 신라의 왕족이 집단적으로 불교에 귀의한 경우가 있고, 개인적 전향의 사례로는 최병헌의 경우가 있다. 두 번째 대결의 방식에서는 자기의 이론체계의 옳음을 믿으며, 상대의 이론은 잘못된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충돌이 불가피하다. 위정척사론은 두 번째 대결의 대표적 사례이다. 세 번째 통섭의 방식에서는 자기 이론의 우월성을 믿지만, 상대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장점을 수용함으로써 자기 정체성에 변화를 부분적으로 허용한다. 세 번째 통섭의 방식은 신라의 불교 사상가 원효(元曉)의 화쟁(和諍)에서 발견된다. 서양철학의 등장은 한국철학사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맞닥트린 타자이다. 서양철학의 유입 이후로 한국철학은 심각한 정체성 혼란의 위기를 겪었다. 일제 강점기 시대 이후로 전통적인 주체-타자 혹은 주인-손님의 관계는 이제 역전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동양철학자 혹은 한국철학자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진실이다. 이제 앞으로 한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이며, 새롭게 형성해야 할 정체성은 어디에 있는가? 글로벌한 세계에서 주체-타자의 관계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항상 새롭게 진화해 나간다. 앞으로 새롭게 지식체계를 만들어갈 때, 우리는 전통적 지식을 활용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거기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 글로벌 지식장에서 주체와 타자는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활발하게 정보를 교환해 나가며, 새로운 아말감(amalgam)을 형성해 나가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SCOPUS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Near-field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Near-surface LILW Disposal

        제헌,박주완,정강일,Bang, Je Heon,Park, Joo-Wan,Jung, Kang Il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201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2 No.4

        월성원자력환경센터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처분시설이 혼재하고, 월성 원자력발전소와도 인접해있다. 이와 같은 높은 복잡성으로 인해 처분시설 안전성 평가 시 보다 면밀한 현상이해가 필요하다. 기존 1단계 사일로 처분시설의 성능평가모델들에 포함된 불필요한 보수성을 줄이고 복합처분시설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차원 수리/핵종이동 모델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향후 복합처분시스템의 특성에 기인한 다양한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많은 계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위해 보다 효율적인 성능평가 모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두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리성능 모델과 핵종이동 모델을 연계한 2단계 천층처분시설의 근계영역 2차원 통합성능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수리 및 핵종이동은 PORFLOW와 GoldSim 전산 코드를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GoldSim 핵종이동 모델은 PORFLOW 핵종이동 모델과의 벤치마크를 통해 검증하였다. GoldSim 모델은 계산효율이 뛰어났으며 기존의 모델에 비해 핵종이동거동을 이해하는데 용이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의 소옹 비판

        방인(方仁)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이 논문의 목적은 정약용의 역학평론집인『역학서언』가운데 한 편인 「소자선천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의미를 해명하는데 있다. 「소자선천론」은 모두 팔론八論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앞의 삼론三論에 한정된다. 필자는 원래 「소자선천론」의 전체 내용을 다룰 예정이었으나, 지면의 한계로 말미암아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은 차후의 논문에서 다루기로 한다. 「소자선천론」의 제일론第一論과 제이론第二論은 소옹의 「팔괘차서도」와 「팔괘방위도」에 관련된 것이며, 제삼론第三論도 역시 앞의 두 도상의 의미를 부연한 것이다. 「소자선천론」의 중심 주제는 송대의 역학자인 소옹邵雍의 선천역학에 대한 비판이다. 소옹은 왕필과 더불어 다산역학의 대척점에 서있는 대표적 인물이다. 따라서 소옹의 선천역학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다산역의 역학사적 지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다산역의 특성을 해명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다산역의 역학사적 지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송대의 도상학圖象學을 비판하는 정약용의 관점에 영향을 준 명말청초의 고증학적 학풍에 대한 고찰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정약용의 소옹 비판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행해지고 있다. 첫째는 문헌적 타당성의 관점에서 선천역학의 주장을 확증해주는 전거典據를 선진先秦의 유가경전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는 논리적 타당성의 관점에서 선천역학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meanings of Jeong Yag-yong"s “Treatise on Shaozi"s Earlier Heaven” which is a part of Yixuexuyan(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some Major Theories about the Classic of Chang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preceding three chapters that consist of eight chapters of the Treatise. The first chapter is concerned with Shao Yung"s Diagram of the Sequence of the Eight Trigrams and the second is related to the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Eight Trigrams. In addition, the third chapter is involved in elaborating again on the meanings of the previous two diagrams. The main topic of Jeong Yag-yong"s Treatise is to make a critical assessment of Shao Yung"s theory of the Earlier Heaven. First of all, it is to be noted that Jeong Yag-yong"s point of view is diametrically opposed to Shao Yung"s perspective. Jeong Yag-yong"s critical view toward Shao Yung was formulated by the influence of the Kaozheng(考證) Movement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Ching dynasty that put emphasis on the evidential research. Especially, Mao Jiling(毛奇齡) is presumed to have exercised a direct influence on Jeong Yag-yong"s view. Jeong Yag-yong"s criticism on Shao Yung is conducted in two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e difficulty of finding the evidence of corresponding literature that supports Shao Yung"s assertion of the Earlier Heaven. The second is the unreasonable way in which Shao Yung set forth his arg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