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협업능력 증진을 위한 협력적 음악활동 모형의 구성 및 효과 탐색

        방은영(EunYoung Bang)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5

        본 연구는 미래 유아교육현장의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요구되는 협업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협력적 음악활동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 64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협력적 음악활동 모형은 자율적 팀 빌딩(주제선정, 팀 구성 및 역할분담), 교수자의 학습주제 안내, 모둠별 탐구활동(개별학습 및 준비), 모둠별 발표, 동료평가와 학습 성찰의 5가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적용효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력적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며 협업능력 발달정도는 6.00 (7-Likert scale)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적 음악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 및 기능의 습득 뿐 아니라 협업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자 중심 교과운영 및 협업 환경의 제공을 위한 교육정책의 필요성,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협업능력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cooperative music activity model geared toward improving collaborative skills, which are requir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ill play a vital role as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he future. And it s also meant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model after applying it to 6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10 weeks. The cooperative music activity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autonomous team building(selecting the theme, organizing teams and role division), introduction by the teacher on the selected learning theme, inquiry activities by each group(individual learning and preparation), group presentation, peer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learning.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ooperative music activity model, the sel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tested on academic achievement. Preference for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developmental level of collaborative skills and reflection on cooperative music activities as learn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y got 6.00 or higher in developmental level of cooperative skills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Also, it s ascertained that the activities effectively served not only to step up the acquisition of the musical knowledge and skill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to enhance their collaborative skill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manageme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of an educational policy about providing cooperative environments were discussed, and the great importance of teacher roles was discussed as well as a way to improve the collaborative skil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교회학교 영아부 초임 교사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방은영 ( Eunyoung Ba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영아부 초임 교사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함 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J교회의 2021년도 영아부 교사로 지원한 5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11월 4일부터 2020년 12월 16일까지 원격화상회의시스템(Zoom)을 활용한 각 40분 씩 총 2회의 개별 심층면담과 각 1시간 30분씩 총 6회차의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사교육의 주요 내용은 ‘기독교 세계관’, ‘교사의 영성훈련’, ‘기독교 교사론’, ‘영아발달의 이해(ⅠⅡ)’, ‘교사-영아-학 부모 관계와 소통법’이다. 심층면담과 반성적 저널쓰기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영아부 초임교사들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부 초임교사들은 ‘영아부 교사자격 에 대한 반성적 사고’, ‘처음 접해보는 영아발달에 대한 이해와 놀라움’, ‘봉사와 헌신을 넘는 전문가로서의 교사되기, ‘전문가 협업의 실제적 도움에 대한 필요’, ‘항상 배우고 기꺼이 섬기는 교사 되기의 다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회학교 교사선발과 양성,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함양 지원을 위한 전문가 협업과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s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beginning teacher education in the nursery department of a church school. From November 4 through December 16, 2020, five beginning teachers who had volunteered to serve in the nursery department of a church located in a district of the city of Seoul were respectively interviewed in depth twice, 40 minutes each, via Zoom that is a video communications app, and they received teacher education six times, one and a half hours each. The teacher education revolved around "Christian world view," "spiritual training for teachers," "Christian teacher theory,"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Ⅰ,Ⅱ)" and "teacher-child-parent relationship building and communications." The data that were gathered by the in-depth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ing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manner to explore what changes the beginning nursery teachers underwent. As a result, their chang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reflective thinking on nursery teacher qualification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for the first time and feeling wonder," "becoming a teacher as a specialist, not just as a volunteer or dedicator," "being in need of practical cooperation and help from experts," and "resolving to become a teacher trying to learn all the time and serve glad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operation from experts and sustained and systemized teacher education are both necessary to select and nurture church school teachers and to help them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방은영(Eunyoung Bang)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taught by teacher educators with field expertise. Thirt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in S City and tak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15 weeks, from August 31, 2023, to December 14, 2023. Data for analysis included unstructured interview notes from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ekly expectations reports on learning topics, and reflection reports.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earcher's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experiences reported by th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ing the beauty of music in an easy and fun way’, ‘Escaping from preconceptions about children’s music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Feeling anticipation and pride in the possibility of being practitioner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earning from a teacher educator with field expertise’, ‘Appreciation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lasses in other subjects’, and 'Expecting similar experienc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necessity of offering music classes based on field application-oriented theory and practice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C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으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0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8월 31일부터 12월 14일까지 총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비구조화된 예비유아교사 면담노트, 매주 학습주제에 대한 기대보고서, 성찰보고서(2회/중간고사 기간, 종강 후), 연구자 노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음악의 아름다움을 쉽고도 재미있게 느끼기’. ‘노래 부르기 위주의 유아 음악활동에 대한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유아음악교육 실행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자부심 느끼기’,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의 배움에 대한 만족감’, ‘타 교과목 수업에도 동일한 경험을 기대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 현장적용 중심의 이론과 실제에 바탕을 둔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에서의 교과목 담당 교수의 배정에서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경우, 특히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에게 수업을 배정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질 높은 수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 3D 영상과 휴먼팩트 연구 : 2D와 3D 영상 수용 뇌파 측정을 중심으로

        권상희(Sanghee Kweon),방은영(Eunyoung Bang)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는 3D 영상의 휴먼팩트(human facts)에 대한 연구로, 3D 임체영상과 2D 평면영상의 뇌파측정을 통한 수용자 인식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 설계되었다. 2D와 3D콘텐츠 영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 2D와 3D TV 입체영상 콘텐츠의 뇌파 인식을 통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실증자료를 통해 3D영상과 영상의 알파파와 베타파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2D와 입체 영상의 차원(dimension)이 가지는 인식의 차이를 통한 일반영상과 입체영상 인식에 미치는 휴먼팩트 차이를 기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3D 입체영상과 2D영상의 뇌파를 측정하기 위여 실험연구로 2×3 연구로 설계되었다. 실험연구는 총 20명의 피험자측정을 통하여 통계 처리되었다. 2D와 3D영상을 각각 스포츠, 애니메이션, 홍보영상 등 3개의 구성방식이 다른 영상을 통하여 장을 별 뇌파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3D영상의 뇌파 중 베타파(β)가 2D영상에 비하여 뇌파진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스포츠와 같이 입체감과 동적(dynamic)움직임이 큰 영상에서 전두엽의 베타파(β)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hich centers on 3D pictures and human facts, has been designed to observe the differences in receivers' cognition of three-dimensional (3D) stereoscopic and flat images through brainwaves tests. We attempt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2D) and 3D pictures and comparing the brainwave patterns of receivers when exposed to 2D and 3DTV content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uman facts that affect cognition of stereoscopic and flat images in regards to their dimensional distinction by gathering concrete empirical data and comparing the alpha(α) and beta (β) wave patterns observed when watching 3D and 2D images. To this end, we adopted a 2×3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results gathered from 20 subjects. The 2D and 3D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sports, animations, and promotional images-that have distinct structures. We exposed our subjects to these images and measured the differences in brainwaves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material. As a result, we found that β wave vibrations observed during subjects' exposure to 3D pict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when subjects were watching 2D images. In addition, subjects showed stronger β waves in the frontal lobe when watching pictures with higher degree of stereoscopic effect and dynamic movements such as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