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공예비엔날레 디지털 아카이브 필요성에 관한 연구

        방슬기,김연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6

        In recent times, digital archiving has been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Digital archiving is a system that increases the value of the use of record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oviding high-quality information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necessity of a digital archiving for the Cheongju Craft Biennale, which is an important research and data repository in the field of crafts. The Cheongju Craft Biennale needs to build a digital archiving system based on the data it has accumulated over the past 20 years to make it easier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craft experts to access it. To this end,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archives were analyzed,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v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prior research. Then,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heongju Craft Biennale, the necessity of a digital archive system was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archiving in the field of biennales, but also to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crafts. 최근 들어 디지털 아카이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있어 기록물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시스템으로, 문화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시공간의 제약없이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예 분야의 중요한 연구물이자 자료의 보고인 청주공예비엔날레의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근 20년간 쌓아온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공예 전문가의 접근을 수월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를 분석했고, 선행 연구를 통해 디지털 아카이브의 분류 체계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청주공예비엔날레의 현황을 살펴본 뒤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비엔날레 분야의 디지털 아카이브 발전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공예 분야의 이론 형성과 확립에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장기 관찰 결과

        방슬기,김응석,김종우,신재필,이지은,유형곤,허 걸,유승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2

        Purpose: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clinical changes and long-term outcome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drugs recommended by 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2 to patients with intermedi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Methods: This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enrolled 79 eyes of 55 patients taking lutein and zeaxanthin. The primary endpoint was contrast sensitivity; this was checked every 12 months for a total of 36 months after treatment commenced. The secondary endpoints were visual acuity, central macular thickness, and drusen volume; the latter two parameters were assessed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72.46 ± 7.16 years. Contrast sensitivity gradually improved at both three and six cycles per degree.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13 ± 0.14 logMAR an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he 36 months. Neither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nor drusen volume changed significantly. Conclusions: Contrast sensitivity markedly improved after treatment, improving vision and patient satisfaction. Visual acuity, central retinal thickness, and drusen volume did not deteriorate. Therefore, progression of AMD and visual function deterioration were halted. 목적: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3년간의 경과 변화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향적, 다기관 연구로서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55명 79안을 대상으로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복용하게 한 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첫 방문 후 12개월 간격으로 총 36개월간 대비감도검사를 시행하였고, 교정시력 및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를 측정하였다. 중심와 망막두께 및 드루젠 부피는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임상 양상을 분석한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2.46 ± 7.16세였다. 대비감도 검사 결과는 종료 시점에서 최초 시점과 비교하여 호전된 양상을 보였고, 특히 3, 6 cycles per degre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최초 환자들의 교정시력은 0.13 ± 0.14 logMAR로, 이후 36개월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장기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대비감도가 호전되어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교정시력과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에는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항산화영양제의 섭취를 통해 황반 변성의 진행을 감소시키고 시기능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양안 눈꺼풀처짐과 안구운동장애를 동반한 형제에서 조기 발병된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 2예

        방슬기,남상휴,이진산,박성혜,강민석,김태기,진경현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5

        목적: 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병증 의심 하에 경과 관찰 중이던 형제에서, 이후 조기 발병된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으로 진단된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형제 관계인 15세, 13세 남자 환자가 6년 전부터 지속된 복시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형의 경우 내원 당시 교정시력은 양안 0.6이었으며, 프리즘교대가림검사상 25프리즘디옵터의 외편위를 보였다. 전 방향의 안구운동제한과 함께 양안의 눈꺼풀처짐이 관찰되었으며, 안저검사상 양안 황반부종이 관찰되었다. 동생은 내원 당시 교정시력 좌안 1.0이었고, 프리즘교대가림검사상 45프리즘디옵터의 외편위를 보였다. 형과 마찬가지로 전 방향으로 안구운동제한과 양안 눈꺼풀처짐 소견이 관찰되었다. 두 환자 모두 만성진행성 외안근마비병증 의증으로 진단하고 근생검 및 신경학적 평가를 위해 신경과로 의뢰되었다. 신경과에서 시행한 근생검 결과, 형제 모두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눈꺼풀 및 눈운동제한 증상을 가진 젊은 환자에서, 기존의 전형적 양상이 아닌 조기 발병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의 사례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함에 그 의미가 있다.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early onset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which were suspected to be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Case summary: Case 1, a 15-year-old male and Case 2, a 13-year-old male brother, visited the clinic with persistent diplopia 6 years prior. The older brother’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0.6 in both eyes and showed an exodeviation of 25 prism diopters. Bilateral ptosis was observed with ocular muscle movement limitations in all directions, and bilateral macular edema was found on fundus examinations. The younger brother had 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in both eyes and showed exodeviation of 45 prism diopters. Bilateral ptosis and ocular muscle movement limitations were also observed. Both patients were suspected to have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and were referred to a neurologist for a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muscle biopsy. The muscle biopsies showed that both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Conclusions: It is important, initially, to report a case of early onset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that has eyelid and eye movement symptoms, but no other typical symptoms.

      • KCI등재후보

        헤르페스 각막염 치료 중 발생한 홍채 후면 칸디다 진균구

        방슬기(Seul Ki Bang),강민석(Min Seok Kang),김태기(Tae Gi Kim),진경현(Kyung Hyun Jin) 대한검안학회 2018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7 No.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fungal infection in posterior iris during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of herpetic keratitis. Case summary: A 44-year-old women diagnosed with a dilated cardiomyopathy was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05 in the left eye and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peripheral ulcerative dendritic keratitis with stromal infiltration. The anti-viral agents and steroid eye drops were initiated under impression of herpetic keratitis and corneal endothelitis. The inflammatory reactions in anterior chamber were increased and the thinning of ulcerative lesion was aggravated at 6 months after treatment. The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AMT) was done in the left eye. Despite the continuous medical management, ulcerative thinning readily progressed and the hypopyon in anterior chamber with anterior protrusion of iris in inferonasal portion was observed at 3 months after AMT. The corneal perforation occurred during secondary AMT and iris exposure was observed as perforated region enlarged. The primary closure with conjunctival flap was performed and the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was done at 3 days later. The whitish abscess pocket with 1 to 2 mm diameter was found in the posterior portion of protruded iris and the fungal keratitis was confirmed following biopsy. The intravitreal amphotericin B injection was done and fortified voriconazole eye drops were maintained for 4 months after PKP. Both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 showed no inflammatory reaction and recurrence for 20 months follow-up period after PKP. Conclusions: Infective keratitis that do not respond to treatment after long-term use of anti-viral agents and steroids in immune-suppressed patients may also be accompanied by fungal infection and abscess in posterior iris.

      • KCI등재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박종범,남상휴,방슬기,진경현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

        Purpose: We report a case of xeroderma pigmentosum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Case summary: A 2-year-old girl with photophobia and localized, scattered, small, round brownish macules on skin areas exposed to the sun visited hospital. During follow-up, at the age of 7, she was diagnosed with xeroderma pigmentosum in Japan, and pigmented freckles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both eyes were observed. At the age of 11, a possible medial limbal pingueculum and lower lid telangiectasis of the right eye were observed via slit-lamp examination, and one year later, a pterygium- like lesion and gradual fibrovascular tissue growth were found in the same location of the right eye. At the last visit, the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and, lower lid telangiectasis of the right eye, and lid pigmentations of both eyes (xeroderma pigmentosum) were observed. The size of pterygium-like lesion continues to increase, but the patient remains under observation because the lesion was too small to remove. Conclusions: We report the first case of xeroderma pigmentosum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that showed age-related degeneration. We suggest that the pterygium-like lesion may reflect the photosensitivity to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tic of xeroderma pigmentosum. 목적: 색소건피증 환아에서 경과 관찰 중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세 여아가 자주 눈을 깜빡거리는 증상과 피부에 발생한 갈색 반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과 관찰 중 7세 때 일본에서색소건피증으로 확진 받았고, 양안 상하안검의 색소침착이 확인되었다. 11세 때 세극등검사에서 우안 내측 윤부 주변에서 검열반 유사병변과 함께 아래 눈꺼풀 모세혈관확장증이 발견되었으며, 1년 후 같은 위치에서 군날개 유사 병변과 점진적인 섬유혈관조직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마지막 내원 시, 진행하고 있는 우안 군날개 유사 병변과 아래 눈꺼풀 모세혈관확장증, 양안 상하안검의 색소건피증에의한 색소침착이 관찰되었다. 이전에 비해 우안 군날개 유사 병변의 크기가 증가되었지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아 경과 관찰중이다. 결론: 소아 색소건피증 환자에서 연령관련 변성의 특징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양상의 군날개 유사 병변이 동반될 수 있음을확인하였다. 군날개 유사 병변이 색소건피증 환자의 특징인 자외선에 대한 광민감도와 연관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안저검사상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의 시력예후와 술 후 만족도

        유종인(Jong In You),방슬기(Seul Ki Bang),강민석(Min Seok Kang),진경현(Kyung Hyun Jin)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환자의 수술 예후와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백내장수술을 받은 480명 748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요인과 백내장의 진행 정도, 수술 방법, 수술 1개월 및 6개월 후 최대교정시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중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환자 78명 91안의 술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고혈압은 수술 6개월 후 시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4). 낮은 각막 내피세포 수, 원발개방각녹내장, 섬유주절제술, 각막이상증 혹은 각막혼탁, 안저검사상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 과숙백내장, 백내장 낭외적출술 및 낭내적출술, 수술 1개월 후 시력이 0.5 미만인 경우는 수술 6개월 후 시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p=0.019, p=0.002, p=0.037, p=0.001, p=0.004, p=0.012, p=0.00, p=0.00).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은 수술 후 6개월 후 시력 0.5 미만의 위험도가 3.18배(p=0.003) 높았다.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환자 중,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어 수술을 미룬 환자 10명 10안 중 6안(60%)의 최종시력은 0.5 미만이었다. 하지만, 6명(60%)이 수술 후 만족한다고 답하였으며 수술 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망막이 관찰되지 않는 진행 백내장환자의 수술 후 최종 시력은 낮다. 그러나 진행 백내장환자 중 좋지 않은 예후가 기대되었던 환자의 술 후 만족도는 시력예후에 비해 높다. Purpose: We evaluated the surgical prognoses of patients with advanced cataract who were unable to be evaluated by fundus imaging and their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48 eyes of 480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Preoperative factors, surgical technique, degree of cataract, an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for 1 and 6 months after surgery were analyzed. Among 91 eyes of 78 patients with advanced cataract who were unable to be evaluated by fundus imaging, the degree of discomfort before surgery and postoperative satisfaction were evaluated. Results: Hyperten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sual acuity after cataract surgery (p = 0.004). Low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 primary open-angle glaucoma, a history of trabeculectomy due to glaucoma, corneal dystrophy or corneal opacity, advanced cataract unable to be evaluated by fundus imaging, hypermature cataract,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in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visual acuity <0.5 after 1 month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visual outcomes after 6 months (p = 0.019, p = 0.002, p = 0.037, p = 0.001, p = 0.004, p = 0.012, p = 0.00, and p = 0.00, respectively). The risk of a final visual acuity <0.5 after cataract surgery was 3.18-fold higher in cases of advanced cataract, unable to be evaluated by fundus imaging (p = 0.003). Ten patients with 10 eyes postponed surgery due to poor prognoses, which was expected, and six patients (60%) had 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0.5 after 6 months. Six patients (60%), expected to have a poor prognosis were satisfied after surgery and the postoperative satisfaction was high when compared with a poor visual outcome. Conclusions: Poor surgical prognoses were expected in advanced cataract patients unable to be evaluated by fundus imaging. However, advanced cataract patients, who postponed surgery due to an unfavorable visual prognosis, showed a higher subjective satisfaction when compared with the postoperative visual acuity.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각막의 형태학적 분석

        박종범(Jong Beom Park),방슬기(Seulki Bang),김태기(Tae Gi Kim),진경현(Kyung Hyun Ji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환자에서 각막의 형태학적 인자와 수면다원검사 인자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OSA 환자 중 경면현미경을 시행한 22명의 22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경면현미경으로 중심각막두께(CCT), 각막내피세포밀도(ECD), 육각형세포비율, 세포면적변이계수를 측정하였고, 수면다원검사 결과인 무호흡-저호흡지수(AHI), 호흡장애지수(RDI), 산소탈포화도지수, 최저산소포화도와의 통계적 관련성에 대해 32명의 대조군과 OSA 환자군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환자군신경섬유층(RNFL) 두께를 측정한 12명에 대해 RNFL 두께와 수면다원검사 인자와의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평균 CCT, ECD는 대조군보다 OSA 환자군에서 낮게 측정되었다(각각 p=0.033, p=0.021). OSA가 악화되어 AHI, RDI가 높을수록 CCT가 얇아지며(각각 r=-0.519, p=0.013 그리고 r=-0.542, p=0.009), RDI가 높을수록 ECD가 낮아지는(r=-0.454, p=0.034) 유의미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OSA 증상이 심하여 최저산소포화도가 낮을수록 비측 RNFL 두께가 얇아지는 양의 상관 관계가 확인되었다(r=0.703, p=0.011). 결론: OSA 환자는 정상안에 비해 CCT와 ECD가 더 낮으며 각막의 형태학적 인자와 수면다원검사 인자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SA와 관련된 저산소증과 다양한 안과적 임상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하여, OSA 환자의 안과적 이상 소견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morphological factors and polysomnographic factor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ethods: In all, 22 eyes of 22 patients with OS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under specular microscopy.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endothelial cell density (ECD), hexagonal cell percentage, and cell variation coefficient were measured using specular microscopy, and polysomnographic factors including the apnea-hypopnea index (AH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oxygen desaturation index, and lowest O2 satu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he OSA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32 subj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and the polysomnographic factors for the 12 OSA patients in which the RNFL thickness was measured. Results: The mean CCT and mean EC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SA group than in controls (p = 0.033, p = 0.021, respectively). As the severity of OSA worsen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developed, such that the CCT decreased as the AHI and RDI increased (r = -0.519, p = 0.013 and r = -0.542, p = 0.00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CD decreased as the RDI increased (r = -0.454, p = 0.034). As OSA progressed, the nasal RNFL thickness decreased with the lowest O2 saturation (r = 0.703, p = 0.011). Conclusions: CCT and EC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SA patients than in contro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neal morphological factors and polysomnographic factors. Due to the possibility of hypoxia and various ophthalmic clinical diseases associated with OSA, close observation of ophthalmic abnormalities in OSA patients is required.

      • KCI등재

        양안 시력 저하를 보인 가역적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 1예

        강민석(Min Seok Kang),방슬기(Seul Ki Bang),김태기(Tae Gi Kim),진경현(Kyung Hyun Ji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9

        목적: 양안에서 발생한 피질 시각 장애가 경과 관찰 후 완전히 회복된 가역적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6세 여자 환자가 당일 시작된 갑작스런 양안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일 전 월경과다 및 자궁 탈출증으로 인한 빈혈로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2일 전 자궁근종 절제술 시행 후 과다 출혈 및 빈혈 소견이 보여 수혈을 다시 받은 후에 갑자기 뿌옇게 보이는 증상을 호소하였다. 내원 당시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모두 안전수동 10 cm였고, 양안 모두 동공의 대광반사는 정상이었으며 안저 검사상 좌안 이측에 일부 미세한 점출혈 소견 외에는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빛간섭단층촬영 검사에서도 양안 모두 이상 소견은 없었다. 그러나 섬광 시유발전위 검사상 양안 모두 P100 진폭의 명백한 감소를 보였다.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양측 두정-후두엽에 고신호 병변이 관찰되어 가역적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으로 진단하고,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였다. 양안 시력이 점차 호전되는 양상으로 진단 후 16주째 경과 관찰 시 양안 모두 최대교정시력 1.0으로 회복되었고 시유발전위 검사에서도 양안 모두 P100 진폭이 회복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만성 빈혈 및 수혈 이후 다른 신경학적 증상 없이 양안 시력 저하 증상만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가역적 후두부 뇌병증의 빠른 진단하에 불필요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으로 시력은 완전히 회복되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ecovery of bilateral cortical blindness in a patient with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Case summary: A 46-year-old female visited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due to abrupt visual acuity decrease. Ten days earlier, she had received conservative management due to anemia caused by menorrhagia and uterine prolapse. She underwent a gynecological operation to remove a uterine myoma two days previously, and was given a blood transfusion postoperatively because of excessive bleeding. After the transfusion, she complained of acute blurred vision.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hand motion 10 cm in both eyes. There were no abnormal specific findings except retinal dot hemorrhage at the temporal side in the left eye on fundus examination. Her pupillary light reflex was normal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xamination was unremarkable in both eyes. However,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 findings showed reduced P100 amplitude in both eyes and she was diagnosed with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based 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close observation without any treatment, the symptoms gradually improved. Finally, her BCVA recovered to 1.0 and P1 and P100 amplitudes were restored to normal range in both eyes at 16 weeks from the first diagnosis. Conclusions: A patient complained of bilateral visual loss without other neurological symptoms after chronic blood loss and blood transfusion. She recovered visual acuity completely with prompt diagnosis of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and close observation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