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색소옥수수 품종 육성

        박기진,박종열,고병대,장은하,류시환,방순배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2 No.07

        국내 찰옥수수 육종은 검정색을 선호하는 소비자 정서에 맞추어 미흑찰, 흑진주찰, 흑점2호 등을 개발하였으나 좀더 다양한 유색 찰옥수수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퍼플색의 안토시아닌은 대단히 중요한 옥수수 육종 소재로 페루와 중국에서 유전자원 및 육종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강원도 옥수수시험장은 ‘02년부터 퍼플 색소옥수수 육종에 착수하여 2010년 포엽색소 우량 옥수수 「색소1호」를 개발하여 품종출원 중(출원 2011-131)에 있으며 이 품종은 옥수수 포엽에서 손쉽게 색소를 추출하고 이용할 수 있지만 식용사용 근거 미비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색소찰옥수수, 일반 색소알곡옥수수, 색소수염옥수수 등 다양한 색소옥수수 육종소재를 개발중이다. 2011년 육종 모집단 4집단(색소찰 2, 색소포엽 1, 색소알곡 1)과 분리세대(색소찰 0~7세대 1,171계통, 색소포엽 색소알곡 0~5세대 441계통)을 양성하였고, 생산력검정시험(생산력예비 22, 강원지역적응 5교잡계)을 수행하여 색소찰교1호, 색소찰교4호를 선발하여 2012년 2년차 강원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여 품종등록할 예정이다. 육성된 색소찰옥수수는 기존 찰옥수수 미흑찰(검정색) 보다 알곡에서의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은 10배 정도 높아 옥수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강치훈,홍정기,최병곤,방순배,박영학,한종수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3 No.3

        본실험은 울릉도와 오대산 산마늘 자생종의 종자의 특성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종자의 발아 양상과 가온개시기에 따른 종구의 휴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특성에 있어 모양, 색, 탈립성은 2개 자생종이 비슷하였으나 그 외의 형질에서는 달랐다. 천립중는 울릉도 자생종이 14.8g 으로 오대산 자생종에 비해 2.1배였다. 울릉도 자생종은 채종 즉시 파종한 처리에서만 발아하였으며 화학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또한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86%, 평균발아일수 42일, 발아계수 2.05이었으며, 저온유수 및 저온습윤혼용처리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오대산 자생종은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70%,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0이었는데, 저온습윤 처리에서는 명장태에서 발아율 82%,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75로 광에 대한 반응이 달라졌다. 오대산 자생종 종구는 초상후 45일 이후가 되어야 휴면이 타파되어 가온개시시기로써 적합할 것으로 보여진다.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ed germination and the bulb dormancy in Korean-native Allium victorialis L. by the physicochemical treatments. The characteristics of two Allium victorialis seeds was similar in shape, color and threshing but different in other characters. Weight of 1,000 grains in Ullrung-native was 14.8g corresponding to 2.1 times as compared with Odae-native. Seeding immediatly after seed collection of Ullrung-native only germinated and chemicals didn't affect in germination improvement. The germination rate,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coefficient of germination of Ullrung-native was 86%, 42 days and 2.05 at the dark condition of control, respectively. The germination rate,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coefficient of germination of Odae-native was 70%, 47 days and 1.5 at the dark condition of control and 82%, 47 days, 1.75 at the light condition after 5$^{\circ}C$ prechilling for 30 days, respectively. The bedding days to reduce the physiological dormancy in the bulb of Odae-native assumed to be appropriate up to 45 days after the first prechilling.

      • KCI등재

        유색칼라 조직배양묘 온실 순화를 위한 차광조건 구명

        고재영,최강준,변선배,방순배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2

        강원도에서 육성한 유색칼라 ‘Lip Glow’와 외국품종인 ‘Captain Safari’ 조직배양묘의 최적 순화 기술 개발로 종구 자 급화 및 농가 실질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 였다. 순화실은 하우스 형태(1.2 × 6 × 1.5m)이며, 차광(0, 50%)과 흑색차광망(50, 90%) + PE 필름으로 밀폐한 것을 비 교하였다. ‘Lip Glow’의 순화는 흑색차광망 90% + PE 필름 처 리에서 23일째부터 초장이 가장 크고 엽수가 많았고 이후 생 육속도도 빨랐다. 정식 후 45일째의 근수가 많고 근장도 길었 으며, 생체중은 무차광의 1.6배, 건조중은 1.4배 무거웠고, 괴 경 생존율은 81.1%로 무차광 34.2%에 비해 우수하였다. 유색 칼라 ‘Captain Safari’의 순화는 흑색차광망 50% + PE 필름과 흑색차광망 90% + PE 필름 처리에서 23일과 30일째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았고 이후 생육속도도 빨랐다. 정식 후 45일째 흑색차광망 50% + PE 필름 처리의 초장이 가장 크고 및 엽장 도 가장 많았다. 정식 후 61일째 차광 50% + PE 필름 처리에 서 근수 8.9개로 가장 많고, 근장 13.1cm로 가장 길고, 생체중 5.6g로 무차광의 1.9배, 건조중 1.0g로 무차광의 2.6배 더 무 거웠다. 수확 후 괴경중은 차광 50% + PE 필름 처리에서 5.6g으로 가장 무겁고, 구주도 6.7cm로 가장 컸으며, 생존율 60.6%로 가장 높았지만 차광 50%와 차광 90% + PE 필름 처 리와 유의차는 없었다. 따라서 유색칼라 조직배양묘의 최적 순화 기술로 국내품종인 ‘Lip Glow’는 차광 90% + PE 필름 처 리가, 외국품종인 ‘Captain Safari’ 는 PE 필름 여부와 관계없 이 차광 50% 이상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on greenhouse acclimatization of the tissue culture plantlets of Zantedeschia spp. ‘Lip Glow’ and ‘Captain Safari’ to contribute to the self-support tubers and increase farmer’s real income. Treatments included shading (0, 50%) and shading (50, 90%) + PE film (polyethylene film) on acclimatization chamber (1.2 × 6 × 1.5 m). The proper acclimatization treatment of ‘Lip Glow’ was 90% shading plus PE film with the highest plant height, the most leaf number and the fastest growth speed on 23 days after planting. On 45 days after planting the treatment resulted in increased root number and root length, fresh weight by 1.6 times and dry weight by 1.4 times compared with non shading treatment. And its tuber survival rate was 81.1% higher than 34.2% of non shading treatment. But the proper acclimatization treatment of ‘Captain Safari’ was 50% shading plus PE film with the highest plant height, the most leaf number and the fastest growth speed on 23 and 30 days after planting. On 61 days after planting, the treatment showed increased root number of 8.9 and root length of 13.1 cm, fresh weight by 1.9 times and dry weight by 2.6 times compared with non shading. And in 50% shading plus PE film treatment, tuber weight and tuber survival rate after harvest were 5.6 g and 60.6%,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50% shading, 50% shading plus PE film and 90% shading plus PE film treatments. So 90% shading plus PE film treatment in ‘Lip Glow’ and more than 50% shading in ‘Captain Safari’ were effective in the proper acclimatization method of the tissue culture plantlets of Zantedeschia spp.

      • KCI등재

        오리엔탈나리 정식 전 싹틔우기 온도 및 기간이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고재영,최강준,변선배,방순배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1

        수출용 오리엔탈나리 ‘시베리아’의 여름철 고랭지 절화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4단계의 대형 구근을 이용하여정식 전 싹틔우기 처리로 시험한 결과, 작은 구근일수록 저온 싹틔우기 기간이 짧은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구근 크기가 클수록 기간이 길 때 효과적이었다. 구주18cm에서는 2οC 0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20cm에서는 2οC 7일+5οC 7-14일+12οC 14일, 구주22cm에서는 2οC 14일+5οC 14일+12οC 14일과 2οC21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 24cm에서는 2οC 14-21일+5οC 7일+12οC 14일 처리했을 때 절화장이 크고, 화수장 비율이 25-27%로 양호하였다. 수확소요일은약 10일 더 빨랐고, 꽃 수는 1개 감소하였고, 블라인드는 0%, 절화등급은 2.2~b1.0로 절화 품질이 향상되는효과를 나타냈다. Three pre-shooting temperature and four durationson four bulb sizes before planting bulbs were studied in aneffort to improve quality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For pre-shooting, bulbs were held at 2, 5, and 12ºC, for 0,7, 14, or 21 days before planting in Gangneung (a high land,600m above sea level). In bulb circumference 18cm, holdingat 5ºC for 7 days and 12ºC for 14 days before plantingresulted in increased length and weight of harvested stems,reduced physiological flower bud blindness by 0%, shorteneddays to harvest by 10 days as compared with controls,and showed 2.2 of cut flower grade. In bulb circumference20cm, holding at 2ºC for 7 days, 5ºC for 7-14 days, and12ºC for 14 days before planting resulted in increasedlength and weight of harvested stems, reduced physiologicalflower bud blindness by 0%, shortened days to harvest by10 days as compared with controls, and showed 1.7 and 1.8of cut flower grade. In bulb circumference 22cm, holdingat 2ºC for 14 days, 5ºC for 14 days and 12ºC for 14 daysand at 2ºC for 21 days, 5οC for 7 days, and 12ºC for 14days before planting resulted in increased length and weightof harvested stems, 25.7~27.4% ratio of flower stalk perstem length, reduced the number of flower by 1.3, reducedphysiological flower bud blindness by 0%, shortened daysto harvest by 10-12 days as compared with controls, andshowed 1.6 and 1.8 of cut flower grade. In bulb circumference24cm, holding at 2ºC for 14 to 21 days, 5ºC for 7 days,and 12ºC for 14 days before planting resulted in increasedlength and weight of harvested stems, 26.4~26.9% ratio offlower stalk per stem length, reduced number of flowerby 1.0, reduced physiological flower bud blindness by0%, shortened days to harvest by 10-11 days as comparedwith controls, and showed 1.0 and 1.2 of cut flowergrade.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cut flower of LiliumOriental Hybrids with big bulbs during high temperatureseason in high land, pre-shooting before planting waseffective to reduce physiological disorder, shortened daysto harvest by 10-12 days, showed 25~27% ratio of flowerstalk per stem length, and improve cut flower quality by 1-2grade compared with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