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에 나타난 儒家思想 연구

        방민화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김동리의 기독교 소설은 작가의 동양적 종교의식으로 말미암아 기독교가 샤머니즘화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동양의 유가사상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날까 하는 의문에서 본연구는 출발하였다. 다양한 종교적 접근으로 김동리의 소설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그러므로 유가사상적 접근은 종교적 색채가 짙은 김동리 소설의 총체적 규명에 일조하리라 전망한다. 따라서 본고는 김동리의 <용>을 텍스트로 유가사상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밝혔다. 이로써 子牙의 일생을 운명론보다는 주체적 자각과 결단에서 비롯된 것임을 증명하였다.사마천의 사기와 주역의 <重天乾>이 <용>의 자아(子牙)의 삶을 소설화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주역의 <重天乾>과의 관련은 작품명이 <용>이라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용>은 유교적 인간관과 김동리의 究竟的 삶이 구현되어 있다. 子牙가 큰 고기를 낚으려는 것은 권좌에 오르는 기회를 탈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큰 고기를 낚을 때가 있듯이 하늘의 때가 있음이요, 그것은 곧 하늘의 흐름을 알고 받아들임을 함의한다. 子牙의 아내인 마씨 부인은 세속적 욕망에 집착하는 小人인데 반해 子牙는 벼슬을 목표로 하지 않는 大人이다. 그에게 立身揚名은 나라가 화평할 때보다 국난에 자신을 던져서 백성을 구하는 것이다. 修己安人의 子牙는 ‘큰 것’에 서 있는 대장부이다.매일 낚시하면서도 욕심껏 고기잡이를 하지 않으며 늘 빈 다래끼를 들고 귀가한다. 이런 모습은 자기의 욕망을 다스리는 修己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하늘의 때를 기다리며 修己安人하는 것은 인간의 주체적인 자각과 결단에서 비롯된 성실함이다. 성실은 修身의 본질이다. 평생 동안 하는 修學과 한결같은 낚시질이 그것을 뒷받침한다. 그 성실함이 天人合一의 경지를 이룬다.子牙는 潛龍의 때와 飛龍의 때, 다시 말하면 有道의 때와 無道의 때를 분별하여 행동한다. 그것은 기회주의적 처세가 아니라, 때(時)의 관계 안에서 道를 실현할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천지의 흐름에 적중하는 행위가 유가의 최고의 덕행이다. 때의 변화에 맞추어 자신의 움직임과 조용함을 잃지 않는 子牙는 天道를 人道에 실현하는 인물이며 유가의 최고의 덕목을 실현한 君子이다. 이는 곧 인간이 천지의 분신으로 천지에 同化함을 함의한다. 따라서 <용>은 유교적 인간과 김동리가 지향하는 究竟的 삶이 구현되어 있다. A Study on Confucianism in "Dragon" Bang, Min-hwa It is not until by seeking to encapsulate Confucianism in "Dragon" written by Kim Dong-ri that I can reveal the connotation of it. Both Sagi(ꡔ史記ꡕ) written by Samachun and "Joongchunkeon"(重天乾) in Iching(ꡔ周易ꡕ) in fictionalizing Jaah's life are based on "Dragon". That leads to giving body to Confucian personality. Jaah would not give way to worldly desire and prefer more valuable to that ; that is to say, he is a great man. His fishing with a rod and line contain catching the time of chance which only God knows and leading his virtuous life. Life learning and fishing is practice items which self choose on his own. Furthermore, he keep practices continuously. Realizing God's will and leading a virtuous life is a sincerity resulting from self consciousness and determination. That lead to state of unifying heaven and man. Jaah determine the rule of his life which can discriminate the time of dragon's dipping into the water from flying into the sky. As the course of time passed, self's motion and stillness keep steady and adjust way of heaven(天道) to way of personality(人道). Therefore Jaah is wise man which realizes the best virtue of Confucianism.

      • KCI등재

        제3 휴머니즘과 ‘화랑(花郞)’의 소설적 변용 연구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방민화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현대소설연구 Vol.- No.24

        Kim Donglee advocated a philosophy he called the third humanism and tried to get a sunshine of relief from Korean Shamanism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days. Accordingly his literary spirit and spiritual sources was based on Hwarangdo originating from Shamanism. The text "The Cross of Saban" approaches the origin of the third Humanism and adaption and implication of Hwarangdo. Korean painful history under Japan's colonial rule can be compared with the Jews afflicted by Rome. Saban, Sylvia and Maria have absence of father in common. It symbolizes the loss of nationality and deepened fundamental loneliness. we can regard Saban's enjoying maria's lute-playing as the transformation of Hwarang's refined taste. Saban at the head of a blood pledge band organized voluntarily, is described as a patriotic warrior such as Hwarang in Silla periods which was organised voluntarily. Saban pursued the cave where God could be confronted as Hwarang band toured mountain and river famous for spiritual power. With military arts drilled there he got power from Hadart's prophesy and become a new conversion ontologically. It comes under the experience of spiritual revival in Shamanism. This works conceal the essence of Christian while drawing light on the activity taken by Christ benefiting the enemy. Such results from the author's Oriental way of religion. Saban's ensuring independence of the Jews with the help of Christ is compatible with the Oriental view of the world which emphasize that heaven, land and human being are one. That is to say, the Korean divinity creating our own culture is based on the fact that heaven, land and human being are composed of an organic relationship. The main structure of the work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Saban and Christ. Kim Donglee Failed to lead such confrontation to a victory for humanism. He advocated the third humanism and tried to achieve a creative orientation into both Orientalism and Westernism, but leans towards the former. Kim Donglee realized the relation between the God and human being through Saban but did not get the goal of it owing to his biased outlook. 김동리는 근대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제3 휴머니즘을 주창하고, 그 구원의 광맥을 한국의 巫敎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래서 巫敎에 기원을 둔 花郞道가 김동리의 문학사상의 연원이면서 소설적 胎盤이 되고 있다. 본고는 ≪사반의 십자가≫에서 제3 휴머니즘의 근거를 살펴보고 화랑의 소설적 변용와 그 함의를 밝혔다. 우리나라 식민지의 역사적 현실은 로마의 학정에 시달리는 유대로 환치되어 있다. 사반, 실바아 그리고 마리아에게 아버지 부재라는 공통점은 근원적 고독감을 심화시키며 국권 상실을 상징한다. 사반이 이끄는 혈맹단은 신라의 화랑과 같이 자발적으로 결성된 조직체로서 殉國 武士的 성격을 띤다. 혈맹단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넋에 神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화랑이 하늘의 靈이 임재한 명산대천을 遊娛했던 것처럼 사반은 방랑 중에 神靈이 통하는 동굴을 찾게 된다. 그곳에서 무술을 익히며 하닷의 예언에 힘을 얻어 존재론적 전환을 이룬다. 그것은 巫敎的 降神再生의 체험에 속하는 것이다. 사반이 마리아의 비파소리를 즐기는 것은 화랑의 풍류의 변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기독교의 본질을 누락한 채 예수의 이적 행위만 부각되어 있는데 그것은 김동리의 동양적 종교의식에서 기인된 것이다. 사반의 완강한 현세주의는 巫敎의 현실주의적 성향과도 깊은 관련이 있으며 전편에 편재하는 巫敎的 성향은 근친애, 이적, 운명론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사반이 메시아의 도움으로 유대가 독립한다는 확신은 天地人이 융합하는 동양적 세계관이며 제3 휴머니즘과도 부합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한국인의 문화 창조를 초래하는 영성의 기본구조가 하늘과 땅과 인간의 유기적 원융관계로 되어 있다는 사실에 바탕한 것이다. 이 작품의 굵은 얼개는 地上主義 사반과 天上主義 예수와의 대립이다. 이 대립의 해결을 작가가 의도한 인간주의의 승리로 이끌어내지 못했다. 제3 휴머니즘을 주장하고 동․서의 창조적 지양을 시도했지만 결국 동양적 세계관에 경도되었던 것이다. 김동리가 민족의식과 인간의식을 결부하여 신과 인간의 관계를 사반을 통하여 실현하려 했으나, 편협된 시각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인의 사랑의 미학과 선비 정신 - 김동리의 <강수 선생>을 대상으로 -

        방민화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0 No.-

        김동리의 문학에는 종교적 색채가 깊게 드리워져 있다. 그래서 종교적인 방법으로 그의 문학 세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의 문학 세계는 폭 넓은 종교적 수용을 보이나 유가사상을 수용한 작품이 희소하고 그에 대한 연구도 전무하다. 이런 점에서 그의 작품 <용>, <왕거인>, <강수 선생>은 관심을 요구한다. 그 중 <강수 선생>은 개인의 일대기를 통해 유학자의 삶을 온전히 보여주고 있다. 김동리 역사소설에서 신라인의 삶과 역사를 토대로 新羅魂을 탐구하고 재현하고자 했다고 작가는 밝히고 있다. 그것이 유학자의 삶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는지 김동리의 <강수 선생>에서 살펴보았다. 김동리의 <강수 선생>은 三國史記列傳 强首條를 토대로 완성되었다. 史料를 근간으로 한 허구적 서사이므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여 신라의 역사적 현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서사의 거리는 작가의 이념과 소설적 기획이 투영되어 발생된 것이므로 그 소설적 변용에 중점을 두고 의미를 살펴보았다. 삼국사기에 강수의 아버지가 유학과 불교 중 어느 쪽 공부를 하겠느냐는 물음에 강수는 유학을 선택하겠다고 대답했는데 그것은 당시 진골귀족들에 대한 비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이 부분은 소설 <강수 선생>에 수용되어 있지 않다. 정치사회적 현실을 무화시키는 대신 강수와 대장간 딸의 연애와 결혼, 그리고 학과 함께 노니는 유유자적한 말년을 형상화하여 선비적인 삶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형되어 있다. 물의 상징은 세계의 존재론적 구성과 새로운 인간의 탄생이라는 종교적 변화의 주제를 포괄하며 종교 전통마다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물의 상징 탐구에서 물의 보편적 상징만 강조되어 왔고 유교 부문에 대한 물의 상징 연구가 빠져있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유교의 관점에서 물의 이미지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달심이와 강수 사이에는 쪽박으로 샘물을 떠주고 그 물을 받아 마시는 단순한 사건만 있다. 그들이 만나는 ‘산골짜기의 샘’에서 ‘물의 발원처- 흐름’이 ‘선한 본성 -선한 마음’에 상응한다. 달심이가 쪽박으로 물을 떠주는 행위는 하늘(天)이 부여한 인간의 선한 본성이 발현되는 상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강수가 미천한출신의 달심을 아내로 맞이한 것은 ‘야합을 사랑으로 완성하는 신라인의 사랑의 미학’이다. 이후에 그의 아버지가 권하는 재혼을 거부하는데 그것은 골품제에 입각한 신분제를 배격함을 의미하며 미천한 출신의 아내에 대해 신의와 의리를 지키는 知行一致의 유학자의 태도이다. 강수가 벼슬한 후에 鶴과 더불어 노니는 생활은 史料와 무관하게 창작된 내용이다. 문장가로서 위력적인 大功을 세웠지만 정치적 욕망과 세속적 가치를 추구하지 않는 강수의 선비다움이 鶴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그런데 학을 무리하게 의인화하여 소설적 리얼리티를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 소설 <강수 선생>은 야합을 사랑으로 승화시키는 신라인의 사랑과 道에 뜻을 두고 德을 실현하며 藝에 노니는 선비정신을 신라 유학자 강수의 삶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김동리가 자신의 역사소설에서 신라인의 삶과 사랑, 지혜와 이상을 그리며 탐구하고 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의 魂이다. It is hard to find works that accommodate Confucianism among Kim Dong-ri’s literary work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him.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focused on figuring how Kim Dong-ri portrayed a Confucian scholar’s life in his work titled “Sir, Gangsu”. Kim Dong-ri’s “Sir, Gangsu” was written based on Samguksagi biography Gangsu. Since it is a fictional narration based on historical records,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historical facts. It was examined with an emphasis on novelistic alteration of a historical fiction. Gangsu realized Confucian value without any hesitation at the moment when he had to make an important decision on choosing a spouse. When his father asked him what he wants to stud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Gangsu chose Confucianism. His decision was based on criticism against Jingol aristocrats at that time. However the historical literature was not reflected in the story and just Gangsu' love story came to the fore. Dalsim gave Gansu a bowl of water, and it signifies the revelation of virtuous character given by the heaven. To Gangsu, she was an ideal woman who realizes Confucian principles and clear fountain water itself. Gansu who married a woman from a lower class and who refused to remarry was a Confucian scholar who acts up to what he knows. Gangsu who did not pursue secular value was a proud scholar who led a humble life while concentrating his whole mind upon study. It is expressed as the image of a crane. Kim Dong-ri reenacted the soul of a Silla person through a Silla Confucian scholar’s life.

      • KCI등재

        <水路夫人> 설화의 소설적 변용 연구 -김동리의 <水路夫人>을 중심으로-

        방민화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현대시에서는 설화를 활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생성하고 있는 데 반해 현대소설은 그렇지 못하다. 이런 점에서 설화를 적극 활용한 김동리 역사소설은 연구 텍스트로서 가치가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미미하다. 이 영역까지 온전히 구명되어야만 김동리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했다. 巫敎를 소설에 수용하여 天人合一의 세계를 추구한 김동리에게 설화를 허구화하는 작업은 자연스러운 문학적 경로이다. 특히 소설 <수로부인>은 김동리가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한 花郞의 실체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어서 주목을 끈다. 본고에서는 설화 <수로부인>을 詩歌와 敍事文脈을 祈雨祭관점에서 조명하고 그 설화의 소설적 변용을 花郞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김동리에게 화랑은 문학적 사상의 연원이면서 소설적 태반이다. 그것은 백씨 김범부의 영향이 컸지만 그 인식에는 차이를 있었다. 김범부는 화랑을 현세적이고 풍류적인 인간으로 이해한 반면 김동리는 화랑의 제의적 속성을 강조하여 화랑정신을 巫敎로 이해했다. 그에게 巫敎는 민속적 차원의 巫俗이 아니라 神靈과 인간이 교류하는 종교적 차원을 말한다. <성덕왕>조의 역사적 사실과 <수로부인>조의 신이한 내용이 교직되어 <수로부인>조는 역사적으로 편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로부인>조의 <헌화가>와 <해가>를 역사적 맥락에서 祈雨祭와 관련된 노래로 볼 수 있는 입론의 근거를 제시하고 논의를 전개했다. <수로부인>조에 두 사건이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기에는 순정공과 수로 부인 그리고 그 주위사람들이 바닷가에서 점심(晝饍)을 하다가 문제에 직면하고 그 문제를 노인이 나타나해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바닷가는 제의 공간이며 晝饍은 제의에 올리는 음식이므로 <헌화가>와 <해가>는 祭儀에서 부른 노래이다. 소설 <수로부인>의 수로는 재취로 등장한다. 수로가 순정공의 청혼을 수락하여 재취가 되는 것은 자신의 운명 수용의 밑그림이 되며 그것은 곧 수로와 花郞應信郞과의 절제된 사랑을 보여주는 토대가 된다. 수려한 미모와 탁월한 歌舞능력을 가진 수로는 美로 응축된 존재로서 源花를 환기시키며 神宮의 神官으로 귀결된다. 수로와 應信郞과의 만남은 源花와 花郞의 만남이며, 그들이 만나즐기는 가락과 歌舞는 神明과의 교류를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화랑의 제의적 속성은 현대의 굿에서 근친성을 볼 수 있다. 그들은 훗날 자신들의 피리소리와 가무를 꽃피우기 위해 헤어진 다. 세월이 흐른 후 이효 거사의 부름에 따라 그들은 기우제에 참례하게 된다. 그들의 가락과 가무는 풍류나 오락적 유희가 아니며, 神明과 교류하는 祭儀행위로써 祈雨祭에서 꽃 피우게 된다. 소설 <수로부인>은 시적으로 응축된 세계이며 김동리가 추구한 神人合一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Madam Suro”, a fiction of a story, is the work in which the world of union with Heaven, Earth, and Man, pursued by Kim Dong-ri, is realized and Hwarangdo, the core of Kim’s literary spirit, is dissolved. Therefore, the story of Madam Suro was studied by the viewpoint of the ritual for rain and metamorphosis of the story to novel was examined in “Madam Suro”, focusing on Hwarang, in this thesis. The story of Madam Suro is historically entered as historical fact in King Sungdeokwang’s contents and mistery tale in Madam Suro’s contents were crossed. Hence, historical background of Madam Suro and the descriptive context become the ground to be considered as the ritual for rain. In Madam Suro’s contents, the story with the same structure is paralleled. The two events are that Sunjeonggong, Madam Suro, and the nearing people were trying to eat Juseon at seashore and faced an issue, and then an old man appeared and solved the issue. “Heonhwaga” and “Haega” are the songs that were sung in the ritual since the seashore is the space of ritual and Juseon is the food for ritual. In “Madam Suro”, Madam Suro is appeared as the second wife, not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title of Madam. It becomes the base to show temperate love with Hwarang Eungsinrang and also becomes the ground of the acceptance of her own destiny. Madam Suro’s outstanding figure, singing and dancing reminds Wonhwa and she finally becomes the augur of sanctuary. Suro and Eungsinrang enjoyed singing and dancing but they separated for the future. Madam Suro and Wolmyeong take part in the ritual for rain by I Hyo’s calling. The sound of a flute by Wolmyeong and Suro’s singing and dancing are not entertainment or enjoyment but the behavior of ritual in Shamanism and they bloom in ritual for rain. The novel of “Madam Suro” shows the world in which Heaven, Earth, and Man are united and condensed as a poem.

      • KCI등재

        오정희의 <유년의 뜰> 연구― 여성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

        방민화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현대소설연구 Vol.- No.20

        A Study on Oh, Jeonghee's The Garden of childhood- In the Light the Bildungsroman 본고는 오정희의 <유년의 뜰>을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성장기의 개인이 어떤 경험으로 성 정체성에 이르며 성장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주인공이 겪는 경험적 사실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어떻게 수용하고 변화하는가에 주목하였다.<유년의 뜰>의 여자들은 가부장제의 성규율로 통제되는 전근대적 세계를 이탈하여, 근대 자본주의 세계로 진출하고자 한다. 주인공 노랑눈이도 반모성적 육체와 도시세계를 동경하며 근대세계로 출분하고자 한다. 그러나 노랑눈이는 여성의 개인적 의지와 자유가 박탈당한 부네의 삶과 죽음을 보면서 가부장제의 전근대 세계의 탈주 욕망을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여성으로서 미래의 자신의 삶도 부정적으로 전망하게 된다.노랑눈이는 아버지 부재로 인한 고통을 위무하듯 허구적 아버지를 만들어 그것으로 기대와 위로로 삼는다. 그러나 긴 기다림 끝에 거렁뱅이로 돌아온 아버지를 보게 된다. 아버지의 귀환에 따른 구토는 더욱 강화될 가부장제의 거부를 의미한다. 환상적 기대 속의 강건한 아버지와 현실의 비천하고 남루한 아버지와의 거리를 통해서 주인공의 꿈과 환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존재로서의 아버지라는 허구적 이념이 무너지게 한다. 환상과 실제의 간극, 혹은 그 엇갈림은 우리의 삶과 존재의 근원적 상실감과 공허감을 의미한다.<유년의 뜰>은 주인공이 여성적 욕망의 깊이, 삶과 죽음, 기대와 좌절을 경험하면서 성 정체성 에 이르며 세계인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성장과정을 담고 있다.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의 환대의 윤리 고찰 - 서성란의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

        방민화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5 No.-

        Multiculturalism is already an established trend in South Korean society. Studying immigrant marriage must involve an extensiv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sire and economic demand. This study does not rule out a romantic perspective in investigating the marriage of Chuyen, the protagonist of Seo Seong-ran’s Paprika. Influenced by her romantic motive, Chuyen comes to marry a Korean man but fails to settle herself in the country of marriage. As a liminal being, caught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culture, she explains her difficulties only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because of her limited linguistic capability, but her family immediately rejects it. No social membership is allowed for Chuyen due to the insurmountable threshold of mainstream society. The female immigrants in the boundary situation like Chuyen have a right to speak, but their expressions are vulnerable to being muted. In the same way, they are given a right to be welcomed but become othered instead. According to Levinas, the notion of subjectivity depends on one’s ethical relation with others, the relation he frames as “the face of the other.” In this regard, my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e” of female immigrants, systematically marginalized in mainstream society without any legitimate membership. Specifically, it calls for the necessity of appreciating their faces as a means of restoring their voice and identity, vulnerable to oblivion. The ethics of hospitality attempts to cure the precariousness of their subjectivity beyond the estimate of economic logic and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ves and the immigrants. 오늘날 이주의 시대에 한국은 다문화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이주 결혼은 사랑과 친밀성 그리고 경제적 필요가 상호 결합된 방식이지만 낭만적 관점을 배제하고 경제적 관점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이 일정 정도 추인되고 있다. 본고는 서성란의 <파프리카>의 츄옌의 결혼을 낭만적 관점을 배제하지 않았다. 츄옌은 이주국의 교환가치에 포획당한 채 다중적 역할과 책무가 부과된 결혼생활이 녹록하지 않다.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이중적 존재인 츄옌은 한글 사용만 가능하므로 자신의 언어는 박탈되고 입은 봉인된다. 가정 밖에서도 이주민으로서 사회적 성원권을 인정받지 못한다. 가장자리에 있는 이주 여성은 말할 권리가 있지만 말할 수 없고 환대받을 권리가 있지만 환대받지 못하고 타자화된다. 레비나스는 타인과의 윤리적 관계를 얼굴로 접근하여 타자를 받아들임으로써 주체의 주체성이 드러난다고 본다. 본고는 사회 안으로 편입되었지만 성원권을 부여받지 못하고 가장자리에 있는 이주 여성의 얼굴을 주목한다. 이주 여성의 얼굴과 목소리, 이름이 지워진다. 그것을 복원하기 위해 이주 여성의 얼굴을 마주하고 그들의 말을 들으려는 윤리가 필요하다. 토착민과 이주민의 비대칭적 관계에서 참된 인간성의 차원을 열어 서로를 환대하는 삶의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서이다. 그것은 플랫폼 물신주의 시대에 의미 있는 접근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