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문화의 지속성장을 위한 문화콘텐츠 : 강남구 일원에코파크를 중심으로

        방미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최근 강남구 일원동에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새로운 문화시설이 건립되었다. 일원에코파크는 1999년부터 4단계로 나눠 진행된 서울시 탄천물재생센터 복개공원화 사업을 마무리 하고 2017년 6월 19일 개장된 문화시설이다. 일원에코파크에는 다육식물원과 다목적 돔 및 체육시설 등이 갖춰져 있어 자연과 함께 주민 문화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 강남구 일원동의 혐오시설이었던 탄천물재생센터와 강남자원회수시설이 지역주민들에게 새롭게 각광받게 된 데에는 지역주민공동체의 문화적 접근이 한 요인이 되었다. 주거지역에 편입되어 있어 지역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골칫덩어리를 역발상으로 가장 중요한 문화자원으로 변화시키자는 새로운 문화마케팅을 수용한 것이다. 도시문화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문화자원의 발굴과 연계가 중요하다. 그러나 일부 도시들은 시에서 보유한 문화자원과의 연대성이 미흡한 관계로 도시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도시문화의 지속성장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를 통해 도시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안을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사회지표가 지닌 한계점과 지역문화지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방미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광범위한 공간적 범위에서 킬러키워드를 유출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 사회지표를 통해 그 지역을 진단하는 것이 통념화 되어 있다. 잘 알다시피 사회지표는 하드웨어적 통계로 지역민들의 내면 깊숙한 문화에 대한 니즈를 충분히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도시재생의 일한으로 진행되는 지역문화 개발 시에도 하드웨어 중심으로의 한계점에 다다르게 된다. 본 논문은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시 지역민들의 지속적인 문화향유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있어 사회지표가 지닌 한계점과 지역문화지표 개발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콘텐츠 개발 시 뉴미디어시대 소비 행태 및 소비자 니즈의 빠른 변화를 반영하여 기초자치단체가 지니고 있는 문화의 고유성을 유지한 지역문화의 변별력을 찾고자 한다. 지역문화지표는 문화의 정보화와 정보의 문화화를 위한 기초 수립체계로 사회지표와 함께 기초자치단체마다 접근성과 활용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통한 유휴지 및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활용 방안

        방미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0

        As a means to revitalize the industry from the devastated Korea in the past,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designate the us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from the individuals who owned the land and a lot of land has not been developed yet. Upon July 1, 2020, the right of individuals to the long-term unplanned city planning facilities may become legally possible to reclaim. And the government may become a subject to be claimed or has to re-designate the properties to the same again or extend the us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Therefore, the government or municipalities are expected to enforce many land or buildings that were not enforced before the due date. In the meantime, due to the time for the event to recover the property rights of the individuals who have been sacrific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many real estate that have been tied up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have been lifte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was either forced to legislate the bill to redirect itself or to exercise the right to buy it. Nevertheless, the former is highly likely to infringe the basic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latter is a burden to the government to find and implement a solution within three years with a budget that is too short to cover the costs. Therefore, it is the best way for the government or municipal government to execute necessary facilities that have been planned yet not been implemented in the meantime. That is,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ecame more urgent than ever.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will examine the related systems and actual conditions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facilities, and discuss how to utilize unused spaces and long-term undevelope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facilities through cultural content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과거 한국은 폐허로부터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개인 소유의 토지에 대해 도시계획시설 용도로 지정하여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해왔다. 그러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도시계획시설의 실효성이 상실되는 2020년 7월1일 이후에는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개인들의 권리를 되찾기 위한 각종 민원이 봇물이 터지듯이 발생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 기한일이 도래되기 전에 집행이 되지 않았던 많은 토지나 건물에 대한 집행이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 국가의 발전 및 공익을 위하여 희생을 감수하여 왔던 개인의 재산권을 되찾기 위한 행사를 할 수 있는 기일이 다가옴에 따라서 국가의 발전을 위하여 묶여왔던 많은 시설들이 동시에 해제가 된다. 따라서 정부는 장기미집행시설 중 꼭 필요한 곳만을 정하여 재지정을 할 수 있는 법안을 조속히 입법을 하던지, 아니면 정부가 나서서 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는 국민의 기본적 재산권을 침해할 소지가 매우 크고, 후자는 정부가 그 비용을 모두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으로 3년 내에 해결책을 찾아서 집행을 해야 한다는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장기미집행시설과 관련 제도 및 실태를 점검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유휴지 및 장기미집행 도시·군 계획시설의 지속성장 가능한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자체와 대학 간의 지속적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사례 연구 – 서울 성북구를 중심으로 -

        방미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8

        This study is about how universities will continue to lead the cultural ecosystem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co-existence with the region. Recently, Korean society is facing a crisis in general due to its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In particular, reports say that many universities will close down in the future due to the reduction of enrollment. The Education Ministry also predicts that 33 universities will close in the next three years. As a result, universities will have no choice but to put themselves at a crossroads if they do not maintain their creativity. In order to survive in the social age, a mass era of information distribution, the universities have to introduce a type of code of convergence, as is the creativeness. University convergence is of cours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together with the regional convergence the universities should create a good virtuous circle. To this, the government is going to look at the status of university and community links, establish cooperation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for universities and regions, and activate cultural contents through university and regional links. Seongbuk-gu will remain in a regional approach, but we hope that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integration of the communities with universit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이 지역사회와 상생을 통해 문화생태계의 지속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어떻게 지속적으로 이끌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한국 사회는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입학정원의 축소로 향후 많은 대학이 문을 닫을 것이라는 보도가 연일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앞으로 3년 안에 33개의 대학이 문을 닫는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앞으로 대학이 독창성을 유지하지 않는다면 생존의 갈림길에 놓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보의 대량 유통 시대인 소셜미디어 시대의 생존은 융합을 통한 독창성에 있다. 대학 또한 융합의 코드를 도입하고, 독창성을 창출하지 않는다면 생존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대학의 융합은 학제 간의 융합은 물론이며, 지역사회와의 융합을 통해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체 수립 현황과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하게 할 요소를 살펴본다. 해외 사례를 기반으로 서울시와 성북구라는 특수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연계를 통한 지속성 문제를 통시적으로 분석했다.

      • KCI등재

        향교·서원의 관광체험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국내 세계유산을 중심으로 -

        방미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World Heritage is a very important heritage that is worth protecting and handing down to future generations. In Korea,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e of 5,000 years, Seowon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can develop tangible and intangible Neo-Confucian ideas shared in China and East Asia, and preserve and experience them as a unique cultural resource of Korea until the present day. In order to encourage the direct experience of this long-standing cultural heritage, the government supports the national treasury and seeks to expand the demand for tourism.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program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pla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lue to see and value to experience must coexist in order for our world heritage, which requires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lacks accessibility, to become a tourist attraction. Also, for this purpos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tourism experience contents should be carried out first. 세계유산은 인류가 보호하고 후대에 물려 주어야 할 가치가 있는 매우 중요한 유산으로, 5천 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한국에 있어서 서원은 중국과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는 성리학 사상을 유무형으로 발전시켜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자원으로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간직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구한 문화유산의 직접 체험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국고를 지원하며 관광 수요층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만족도와 참여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운영이 필요하며, 접근성이 부족한 우리의 세계유산이 관광명소로 자리잡기 위하여 볼만한 가치, 체험할만한 가치가 공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위하여 홍보 및 차별화된 관광체험 콘텐츠 개발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를 짊어질 MZ세대들을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옛것을 옛것 그대로 전달한다면 소통의 부재를 겪을 수 있기에 향교·서원의 관광체험에는 트렌드 반영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개발 시 전통과 역사적 관점에 머무르지 말고 스마트폰에 익숙한 MZ세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구축이 필요하다. MZ세대는 유튜브, 넷플릭스, 메타버스가 놀이터이며 콘텐츠다. 이를 위해 지역의 청소년 및 청년단체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전국 단위의 청년단체들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언론미디어의 신어(新語) 사용 문제와 개선 방안

        방미영,이건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survey of the general public on the problems of a neologism(new word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media media, and derives improvement measure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data. 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the creed is exposed and used indiscriminately through media,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are positive for the use of new words and those in their 50s and 60s are relatively negative. The biggest problem is that excessive use of creed can cause conflict and alien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e need for correct Korean use is recognized overall as it can enhance Hangeul destruction and inappropriate social awareness. However, media outlets often use new words in a positive way to induce interest and enrich content by using them in the right place for the latest trends, such as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self-purification of media workers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is recommended to encourage proper use of Korean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campaigns.

      • KCI등재

        서원과 문화콘텐츠 : 한국서원의 현대적 활용방안

        방미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유네스코(UNESCO)는 2019년 ‘2030 의제의 주제별 문화지표’(Thematic Indicators for Culture in the 2030 Agenda)를 발표하였다. 유네스코의 문화지표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가 및 지역 구현에 대한 문화 활성화 기여의 진전을 측정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주제 지표의 틀이다. 유네스코의 2030 문화지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다는 유엔이 정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169개 세부 목표와 맥락이 닿아 있다. 유엔이 정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역할이 중요하면서도 문화 기여에 대한 지표가 존재하지 않다는 것이 유네스코가 문화지표를 개발하게 된 연유이기도 하다. 한국의 서원 또한 유엔이 정한 문화지표를 토대로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한국의 서원의 현대적 활용 방안을 첫째, 9개 서원 통합브랜드 CI, BI 구축; 둘째, 통합브랜드를 통한 관광상품 개발; 셋째, 문화관광 효과를 위한 체험형 콘텐츠 개발; 넷째, 지역연계 관광프로그램 확대; 다섯째, 청년집단지성을 통한 홍보 및 컬쳐마케팅; 여섯째, 후속세대 연구자 배양을 위한 서원교지 제작; 일곱째, 세계유산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운영체계를 구축 등 일곱 가지를 제안한다. UNESCO published‘Thematic Indicators for Culture in the 2030 Agenda’in 2019. UNESCO’s cultural indicators are a framework of thematic indicators that aim to‘measure and monitor progress in the contribution of cultural revitalization to national and regional realiz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s 2030 cultural indicators are in context with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169 detailed goals set by the United Nations that no one is left behind. In order to achieve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set by the UN, the role of culture is important, but the fact that there is no indicator for cultural contribution is also the reason why UNESCO developed cultural indicators. Confucian academies in Korea also need to seek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 cultural indicators set by the UN. A modern utilization plan for Seowon in Korea is proposed. Establish CI and BI of 9 Seowon integrated brands; develop tourism products through integrated brands; develop experiential contents for cultural tourism effects; Seven suggestions were made: expansion of regionally linked tourism programs; publicity and culture marketing through youth collective intelligence, sixth, production of Seowon textbooks for cultivating next-generation researchers, and seventh, establishment of an operating system composed of world heritage-related experts.

      • KCI등재

        한국 서원의 보존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 법률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방미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5

        In Korea, the number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entities to connect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next generations is rapidly decreasing. Building an infrastructure to pass o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the next generation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next generation is important including the ‘Seowon’, a World Cultural Heritage listed by UNESCO. This study is based on the laws that regulates the preservation and support of traditional cultural assets and‘Seowon, through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The main keywords in each law were extracted, schematized, and a mutual Word Network was constructed and policy advice was derived. As policy adv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o nurture and support businesses specialized in the region for the preservation·utilization, preservation·management and preservation·support of Seowons.

      • KCI등재

        콘텐츠 플랫폼 변화에 따른 그래픽 디자인의 ‘움직이는 표현’ 활용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의 무빙 포스터 프로토타입 제안 중심으로 -

        방미영,홍동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3

        Backgroun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Computers, the Internet, AR/VR, Metaverse, and AI, and brought new environments and changes in various fields. Recently,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there was a need for Media Conversion using digital technology for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Print Media. Recently, during the Pandemic,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a transition in the Print Media industry, which is based on emotional communication, to apply digital technology. This has led to various attempts in fields such as Moving Posters, AR content, and Digital Publishing to enhance Visual appeal and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Among them, the expression 'movement' called 'movement' plays a major role in the reproduction of moving posters that form plot structures and deliver information by giving time to the limited and flat space of traditional print media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 platforms, Moving Posters have become more popularized and shared.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this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nimation elements of the ‘movement’ expression that has recently appeared in Graphic Design in response to changes in platforms that everyone can easily access outside of time and space, and proposes a prototype by identifying the ‘untapped domains’. Methods It theoretically explore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latform change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Media, and investigates the use of‘motion’expression elements 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After that, the concept of the Moving Poster, the current trend, unused fields, and ‘movement’ elements are analyzed. In addition, a preliminary surve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of users. By integrally modifying/complementing the pre-survey and extracted‘movement’elements, new ‘movement’elements are derived and re-established for applied to prototypes of Picture Book Moving Posters and verify objectivity through expert preference surveys. The scope of the study is AR Picture Books [Little Bear Mur] and [Are you scared of the dark?] selected by identifying unused fields. Result In order to develop a prototype of the Picture Book Moving Poster, this paper used the cover design of two Picture Books. Moving Posters were produced by selecting three final drafts for each Picture Book’s contents and Design Concept. In addition, through a preference survey of four experts focusing on the atten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efficiency of the Moving Poster, Plan A was finally selected as [Little Bear Mur] and Plan C was selected as [Are you scared of the dark?]. And each Moving Poster was developed around 5s and 10s looping mo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this paper classified changes in content platforms from a media evolutionary perspective into periods of Analog and Digital Revolutions. Second, a Moving Poster’s interface design prototype in an unused field was proposed by extracting the current status and movement elements of domestic Moving Poster. Third, new movement elements were derived by identifying the needs of users. The extracted elements consist of Visual Extension elements (2D, 3D, Video), Temporal and Spatial Extension elements (Scene Conversion, Plot Structure, Motion time), and Auditory Extension element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user's response test process was not included. 연구배경 20세기 중반 이후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인터넷, AR/VR, 메타버스, AI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환경과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팬데믹 시대와 함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하는 환경에서, 감성적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인쇄 미디어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매체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움직이는 포스터, AR 콘텐츠, 디지털 출판 등 여러 분야에서 시각적 주목성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에 대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 무빙이라 불리는‘움직임’ 표현은 전통적인 인쇄 미디어의 제한적이고 평면적인 공간에 시간성을 부여하여 플롯 구조를 형성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무빙 포스터의 재현 방식에 큰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의 발전으로 인해 무빙 포스터가 보다 대중화되고 공유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시공간 제약을 벗어나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움직임을 활용한 그래픽 디자인의 매체 전환에 관한 탐구과정으로‘움직임’ 표현 요소를 시공간 확장의 개념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활용된 분야의 무빙 포스터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로 미디어의 진화적 관점에서 기술 발전과 플랫폼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움직임’ 표현 요소의 활용 현황을 조사한다. 이후 무빙 포스터의 개념과 현재 제작 현황, 미활용 분야 및 움직임 요소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설문 조사를 시행한다. 추출된 움직임 요소와 사전 설문 조사에서 파악된 요소를 통합적으로 수정/보완하여 새로운‘움직임’ 요소를 도출하고 재정립하여 그림책 무빙 포스터의 프로토타입에 적용하고 전문가들의 객관적인 디자인 평가를 통해 프로토타입 제안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구범위는 미활용 분야 파악을 통해 선택된 AR 그림책[ [꼬마곰 무르]와 [깜깜한게 무섭다고, 내가?]이다. 연구결과 그림책 무빙 포스터의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본고에서는 두 가지 그림책의 표지디자인을 활용하였다. 각각의 그림책 내용과 디자인 컨셉에 맞게 3가지의 시안을 최종 선택하여 무빙 포스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무빙 포스터의 주목성, 정보 전달성, 효율성을 중심으로 전문가 4명의 객관적인 디자인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꼬마 곰 무르]는 시안 A가 선택되었고, [깜깜한게 무섭다고 내가?]는 시안 C가 선택되었으며, 각각 8개의 씬으로 구성된 5초와 10초 동안 모션이 루핑되는 무빙 포스터가 개발되었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미디어 진화적 관점에서 콘텐츠 플랫폼 변화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혁명의 시기로 분류하였다. 둘째, 국내 무빙 포스터의 현황과‘움직임’ 요소를 추출하여 미활용 분야의 무빙 포스터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새로운‘움직임’ 요소를 도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는 시각적 확장 요소(2D, 3D, 동영상), 시·공간적 확장 요소(장면전환, 플롯 구조, 재생 시간), 청각적 확장 요소(배경음악, 효과음)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사용자의 반응 연구는 논외로 연구의 한계를 설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