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龍州 趙絅의 대일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Jo Gyeong(趙絅) tried to keep the Jurchens in check with the assistance of Japan, which is the most noteworthy in his perceptions of Japan. He experienced the invasions of both Japan and the Jurchens. While the invasion of Japan was a part of his second-hand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that of the Jurchens had direct impacts on him. He understood the world of his time in relations among Ming Dynasty, Joseon, Japan, and the Jurchens, which was in line with people's view of world order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His perceptions of Japan were thus in line with the idea of Japan as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In his diplomatic mission to Japan, Jo Gyeong criticized Toyotomi Hideyoshi, who invaded Joseon, harshly and exhibited strong distrust in Tsushima as he believed that the main culprits of invasion of Joseon were Hideyoshi and Tsushima. He, on the contrary, had an amicable view of Tokugawa Ieyasu and Tokugawa shogunate. He praised the grand civilization of Japan and even called Japan a friend nation. His diplomatic mission to Japan changed his viewpoint of the country, but the change was restricted to the Tokugawa shogunate. That is, he had a dichotomous viewpoint of Japan between the main culprits of the war, which were Hideyoshi and Tsushima, and the Tokugawa shogunate, which brought Hideyoshi down. The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Japan did not mean that he recognized it as an equal to Joseon. He took pride in Joseon that learned civilization from Gija(箕子) and stood shoulder to shoulder with Samdae(三代) and emphasized that Joseon was superior to Japan. In other words, his view of the world in relations among Ming Dynasty, Joseon, Japan, and the Jurchens continued even though his view of Japan became more positive after his diplomatic mission to the country. 조경은 일본과 여진족의 침략을 모두 경험한 인물이었다. 그에게 일본의 침략은 어린 시절 간접경험에 그친 것이었지만, 여진족의 침략은 국가 뿐 아니라 자신에게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러한 점은 그의 대일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조경의 대일인식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할 점은 일본의 도움으로 여진족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그는 명 - 조선 - 일본 - 여진족이라는 질서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의 군사력이 강하다고 인식했다. 반면 여진족의 군사력은 대단하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에 일본의 도움으로 여진족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은 화이론에 입각한 조선의 전통적 대일인식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1643년 일본사행 중 조경은 일본의 민속이나 민족성, 조선을 침략한 원흉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쓰시마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반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조선의 원수를 갚아 준 것으로 인식했고, 일본의 문물이 발전한 사실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도쿠가와 바쿠후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일본이 조선을 공격할 의사가 없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이기도 한 것이었다. 즉 일본사행을 통해 그는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에 일정한 변화를 보였던 것이다. 조경이 일본사행을 통해 대일인식에 변화를 보였다고 해서, 그가 일본을 조선과 대등한 국가로 여겼던 것은 아니었다. 그에게 조선은 중국과 견줄 수 있는 문화국이었지만, 일본은 조선보다 하위에 위치한 국가였다. 즉 사행을 통해 그의 일본관은 일정한 변화를 보였지만, 여전히 그는 당시 세계를 명 - 조선 - 일본 - 여진족으로 위치지웠던 것이다.

      • KCI등재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2 No.-

        This study examined how Jo Shik, the intellectual who chose not to hold any government position, perceived Japan in the 16th century. Jo Shik thought that Japanese people were causing riots repeatedly because Joseon's national defense was weakened due to inappropriate handling of national affair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he ardently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conduct political reform. He, however, strongly opposed the Joseon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Japan which intended to prevent Japanese pirates(倭寇) by allowing trade with Tsushima Island(對馬島). He thought the Tsushima government was masterminding Japanese pirates, so in the end Japan would invade Joseon following the Tsushima government's scheme. Therefore, he insisted that Joseon should attack Tsushima. Jo Shik took a very tough stance against Japan. That was because he valued military power and enforcing strict discipline according to the law more than virtuous behaviors that might move people, though he was a Neo-Confucian scholar. Moreover, historically Gyeongsanwudo(慶尙右道), the region where he lived and worked, tended to be aggressive and direct. Besides, the region was often invaded by Japan, suffered from problems caused by Japanese residents living there and had the increasing financial burden of entertaining Japanese envoys. Furthermore, as he had not held any government position, he developed a different view of Japan from the government. 이 글은 16세기 재야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南冥 曺植이 일본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구명한 것이다. 그의 대일정책의 특징은 조선 정부와는 달리 적극적 대책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조식은 이 시기 거듭되는 일본인의 소요사태의 원인을 국정문란으로 인한 국방력 약화 때문으로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치개혁이 필요함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특히 譯官과 內侍들에 의해 대일정책의 기밀사항이 누출되는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였다. 쓰시마(對馬島)에 대한 통상허가로 왜구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선 정부의 대일정책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그 이유는 倭寇의 배후 세력은 쓰시마인 만큼, 결국 쓰시마의 책략으로 일본이 조선을 침략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쓰시마를 공격하자는 주장을 펼쳤던 것이다. 조식의 대일인식의 특징은 華夷論에 근거하여 일본을 夷狄視하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쓰시마와의 통상단절, 일본에 대한 군사행동의 주장 등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매우 강경하였다는 데 있다. 그가 이처럼 대일강경론을 펼쳤던 배경은 덕에 의한 감화보다는 형벌과 위엄에 의한 기강의 확립을 강조하는 학문적 경향, 성리학자이면서도 武를 중요시 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가 활약했던 慶尙右道가 역사적으로 저돌적이며 직선적인 경향을 가졌다는 점 역시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그가 거주했던 지역이 일본의 침략이 빈발했고, 일본인의 거주로 인한 폐해가 컸으며, 일본 사신의 접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었다는 점 등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그가 관직에 진출하지 않았던 만큼 일본에 대한 시각 자체가 중앙 정부의 입장과는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白沙 李恒福의 전쟁경험과 일본 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이항복은 일본의 침략을 맞아 병조판서를 5차례나 역임하는 등 국난극복의 전면에서 활약한 일물이다. 그는 일본은 충분한 준비를 한 후 조선을 침략한 것으로 여겼고, 일본의 조선침략은 명을 침략하기 위한 방편으로 여겼다. 때문에 명이 조선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과정에서 선조의 명으로의 망명도 주장했다. 한편 그의 이러한 주장은 도승지로서 선조의 뜻을 반영한 것이기도 했다. 벽제관전투에서 패한 후 명이 강화를 통해 전쟁을 끝내려 할 때 이항복은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지만, 곧 명의 강화안을 받아들였다. 조선이 명의 제안을 거절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명과 일본의 강화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여겼다. 이항복은 일본군이 철수한 후에도 소규모 왜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했고, 일본군의 재침을 염려하기도 했다. 때문에 그는 전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방 강화를 주장했다. 전후 일본이 국교재개를 요청해 왔을 때 이항복은 왜구행위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쓰시마에 대한 통상을 허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일본과의 국교재개도 반대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민생의 안정을 위해서였다. 하지만 국교재개는 조선이 우월한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항복은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였다. 때문에 일본의 언어와 풍속 등이 조선에 영향을 준 것을 안타까워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인의 성품이 강하다는 사실, 군령이 엄하다는 사실 등을 통해 일본의 군사력이 조선보다 우월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즉 그는 군사적인 부분에 한정된 것이지만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에 일정한 변화를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항복은 쓰시마나 일본을 다녀오지 않았고, 대일외교 전면에서 활약한 경험도 없다. 그가 대일정보를 얻은 경로는 대부분 명 사신의 접대를 통한 간접적인 것이었다. 또 다른 경로는 이덕형을 통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일본의 조선 침략이 쓰시마에 의해 이루어 진 것으로 여긴 점, 쓰시마와 조선을 분리하여 바라본 점, 일본의 군사력이 조선 보다 우월하다는 사실을 인정한 점, 일본과의 국교재개를 반대하지 않은 점 등은 이덕형의 대일인식과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이항복의 대일인식은 이덕형의 일본관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거나 상호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Japan of Lee Hang-bok, Who served the nation in the front line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relation to his war experiences. Lee believed that Japan invaded Joseon in order to secure a route to Ming Dynasty to invade it, thus maintaining that Joseon should make a request on relief to Ming and that King Seonjo should defect to Ming. His arguments reflected the intention of King Seonjo, as well. After losing the Byeokjegwanbattle(碧蹄館戰鬪), Ming tried to end the war through peace negotiations. Although Lee opposed its peace negotiations, he knew that Joseon could not refuse Ming's proposal and accordingly accepted it. He, however, did not believe that Ming and Japan would reach an agreement on peace. After the war ended, Lee made ongoing arguments to reinforce the national defense out of his concern with the possibilities of Japan invading Joseon again. When Japan requested the diplomatic relations to be resumed between the two nations, he insisted on a trade permit for Tsushima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Japanese pirates. He was also for the idea of resum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to stabilize public welfare. Based on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Lee regarded Japan as an enemy of Joseon, thus feeling sorry that the Japanese language and customs had influences on Joseon. He, however, showed some changes to his viewpoint of Japan even though they were restricted to the military sector. Lee did not visit Japan or was not active in the front line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it. He obtained information about Japan usually when entertaining envoys from Ming. Another route is estimated to have been Lee Deok-hyeong(李德馨), Who shared many perceptions of Japan with him including that Japan invaded Joseon via Tsushima, that Tsushima was viewed separate from Joseon, that he recognized Japan's military force was superior to Joseon, and that he did not oppose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It thus appears that Lee Hang-bok's perceptions of Japan were influenced by Lee Deok-hyeong's views of Japan to certain degree or exchanged mutual influences with them.

      • KCI등재

        『月峯海上錄』을 통해 본 鄭希得의 일본 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This thesis examined how Jeong Hui-deuk, who was taken to Japan as a war prison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later released and came back to Joseon, perceived Japan through his book titled 『Wolbong haesangrok』. Jeong Hui-deuk was captured and taken to Japan during Japan's second invasion and stayed there for about two years. He recorded what he saw and heard in Japan, and after his return to Joseon, published a book titled 『Mansarok(萬死錄)』 based on the records. Later, his great grandchildren, Jeong Deok-rim(鄭德林), changed the title of the book into 『Wolbong haesangrok』, which was printed as a set of two volumes in 1847 by Jeong Yun(鄭潤). Jeong Hui-deuk initially regarded the Japanese as barbarians based on theory of the Chinese and the barbarians. His perception of the Japanese, however, changed over time. In 「Haesangilrok(海上日錄)」 which he seemingly wrote in Japan, he showed efforts to understand Japan by introducing its collection of folk customs and highly evaluating its medicine, though he pointed out Neo-Confucianism teachings had not been widely spread in Japan. After returning to Joseon, he expressed his opinion about the cause of Japan's invasions, the role of Tsushima during the Japan's invasions, and the way to use Japanese and Joseon war prisoners in a letter to the government titled 「Jajeokwaejunghwanbakbusanilbongso(自賊倭中還泊釜山日封疏)」. In the letter, he showed strong hostility against Japan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position of those who once were Joseon war prisoners like himself and to verify the values of utilizing them. In 「Pungtoki(風土記)」, he explained Japan's ancient history and customs. Many parts of 「Pungtoki」 are the same as those of 『Ganyangrok(看羊錄)』, written by Gang Hang(姜沆) who was also a war prisoner. That appears to be because Joseon war prisoners felt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shared information about Japan not only in Japan but also after they returned to Joseon. Furthermore, 「Pungtoki」 shows the view based on theory of the Chinese and the barbarians most strongly.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cold treatment they received after returning to Joseon rekindled their resentment against Japan. 이 글은 ‘조일전쟁’ 당시 강제로 일본에 끌려갔다 귀국한 鄭希得이 일본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를, 그가 남긴 『月峯海上錄』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일본군의 2차침입 당시인 1597년 8월 27일 일본군에게 사로잡혀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1599년 7월 20일 귀국하였다. 약 2년여에 걸친 被虜人 생활을 통해 일본의 문물을 직접 보고 들으면서 기록을 남겼고, 귀국 후 이를 정리하여 1612년 『萬死錄』을 편찬하였다. 이 책을 1723년 증손인 鄭德林이 『月峯海上錄』으로 개칭하였고, 1847년 6대손 鄭潤이 2권 2책의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정희득은 기본적으로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 하였다. 하지만 그의 대일인식은 시간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즉 일본에서 기록한 것으로 여겨지는 「海上日錄」에서는 일본이 성리학적 교화가 미치지 못했음을 지적하면서도, 세시풍속과 손님접대 예절을 소개하고 의술을 높이 평가하는 등 비교적 일본을 이해하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귀국 직후 조선 정부에 보낸 「自賊倭中還泊釜山日封疏」에서는 일본의 침략 원인, 전쟁에서의 쓰시마 섬(對馬島)의 역할, 降倭와 피로인에 대한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이 글에서 일본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드러내었는데, 이는 자신과 같은 피로인의 입지를 분명히 하고, 활용가치를 확인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風土記」에서는 일본의 고대 역사와 풍속 등을 설명하였는데, 같은 피로인 출신인 姜沆의 『看羊錄』과 상당 부분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일본에서 뿐만 아니라 조선으로 귀국한 후에도 피로인들은 동질감을 가지고 서로 방문하며 일본에서의 정보를 공유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 화이론적 시각이 가장 강한 것 역시 「풍토기」인데, 이는 귀국 후 피로인이었다는 이유만으로 관직에 나갈 수 없는 등 냉대받는 처지에서 일본에 대한 분노가 되살아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方震의 삶과 李舜臣의 관계

        방기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4 민족문화논총 Vol.86 No.-

        이 글은 이순신의 중요한 조력자이면서도 알려지지 않은 인물 방진을 구명한 것이다. 방진의 본관은 온양이며, 1514년 태어났다. 그는 교동도에서 성장하다 양주 송산으로 이주했고, 홍윤필 딸과의 혼인을 계기로 아산에 정착했다. 1535년 1월~1537년 11월 방진은 대정현감을 지냈는데, 유일천거로 관직에 나간 것 같다. 이후 무과에 급제하여 보성군수에 임명되었다. 1565년 8월 방진의 딸과 이순신이 혼인했는데, 의혼을 맡은 인물이 이준경이다. 1522년 생원시에서 이준경은 방진의 부친 방국형, 이순신의 조부 이백록과 함께 합격했다. 방진은 한성에서 이주해 온 이순신을 눈여겨보다가 부친의 동방 이준경에게 중매를 부탁했고, 그 결과 방씨부인과 이순신의 혼인이 이루어진 것 같다. 이순신은 서류부가혼의 풍속에 따라 처가에서 생활했고, 혼인 후 문과에서 무과로 진로를 변경했다. 방진 뿐 아니라 무과에 합격한 방우주・방희민・방응원・황세득 등은 모두 온양방씨와 관련된 인물이다. 이런 점에서 이순신의 진로변경은 처가의 영향이 절대적인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무과출신 방진은 이순신에게 무예 뿐 아니라 병서도 가르쳤다. 무과 준비를 위한 경제적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이순신은 문무를 겸비한 장수로 성장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Bang Jin(方震), who was an important helper of Yi Sun-shin(李舜臣) but is not well-known. Bang Jin had his family clan in Onyang Bang and was born in 1514. After growing up in Gyodong Island, he moved to Songsan and settled in Baekamri, Asan following his marriage to a daughter of Hong Yun-pil(洪胤弼). He served as Daejeong Hyeongam(大靜縣監) between 1535 and 1537. It seems that he entered the world of public offices through the Yu-il recommendation system(遺逸薦擧). Later, he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was appointed as Boseong Gunsu(寶城郡守). His daughter married Yi Sun-Shin in 1565. It was Yi Jun-gyeong(李浚慶) that led a discussion leading to their marriage. He passed the Saengwon examination(生員試) of 1522 along with Bang Guk-hyeong(方國亨), the father of Bang Jin, and Yi Baek-rok(李百祿), the grandfather of Yi Sun-Shin. Bang Jin kept an eye on Yi Sun-Shin who moved from Hanseong and asked Yi Jun-gyeong, one of his father's Dongbangs(同榜), to arrange a match for his daughter. As a result, his daughter married Yi Sun-Shin. Yi Sun-Shin lived at the home of his wife's parents according to the custom of Seoryubuga marriage(婿留婦家婚) and converted his career path from civil service to military service after marriage. In addition to Bang Jin, Bang Woo-ju(方佑周), Bang Hee-min(方希閔), Bang Eung-won(方應元), and Hwang Se-deuk(黃世得) who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were all related to the clan of Onyang Bang. In this sense, the family of his wife had an absolute impact on the career path change of Yi Sun-Shin. Bang Jin, who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aught books on military science to Yi Sun-Shin as well as martial arts. Moreover, he lavished his economic support on him. As a consequence, Yi Sun-Shin was able to grow into a commander in literary and martial arts and become the hero to led the peopl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during Imjin War.

      • KCI등재

        李德馨의 전쟁경험과 일본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This study examines Lee Deok-hyeong(李德馨)'s diplomatic activities toward Japan and perspectives he took to look at the countr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Lee Deok-hyeong began his involvement in Joseon's relations with Japan in 1588 when he entertained the envoys dispatched from Japan as Seonwisa(宣慰使). During the war, he was solely responsible for talks with the Japanese forces. When Japan made a request on peace in the middle of the war, he rejected it because he believed that Ming Dynasty would definitely provide supports to Joseon. However, he had no objection to a peace agreement between Ming and Japan, estimating that Ming would make peace real as long as it wanted peace. Lee Deok-hyeong placed huge importance on Tsushima in the process of Joseon's resuming its relations with Japan after the war ended. That is, he insisted Joseon should conquer Tsushima by force and put it under its influence before resuming its relations with Japan. At the same time, he also argued that Joseon should accept the trade request of Tsushima because he believed Tsushima should return to the pre-war state of being within the perimeter of Joseon. Regarding Japan as an enemy, Lee Deok-hyeong made it clear that Joseon was superior to Japan in all the aspects. He, however, acknowledged that the Japanese forces were strong through the war. In addition, he chose a realistic diplomatic route in making a peace agreement with Japan and resuming Joseon's relations with it and tri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Japan by deploying Joseon's warriors to the camps of Japanese forces. Those changes illustrat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his perspectives of Japan before and after the war. 李德馨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명, 그리고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를 전담한 인물이다. 전쟁 발발 전 일본 사신의 접대를 맡았던 그는 일본의 침략 가능성은 예상하지 못했으며, 華夷論에 근거하여 일본을 夷狄視하였다. 조선을 침략한 일본은 이덕형을 통해 강화협상을 진행시켜 나갔다. 그는 일본의 강화 요청을 거절하였는데, 그 이유는 명의 참전이 이미 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명이 벽제관전투에서 패한 후 강화로 전쟁을 끝내려 할 때는 강화에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명이 강화를 원하는 만큼 이를 피할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 전후 일본이 국교재개를 요청하자 이덕형은 국교재개를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전쟁의 주역으로 여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사망과,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지 여부가 국교재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여겼다. 또 일본 보다 조선이 상위의 입장에서 국교재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덕형은 히데요시와 함께 쓰시마섬(對馬島)을 전쟁의 주역으로 여겼다. 또 조일관계에서 쓰시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전후 쓰시마 공격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국교재개에 앞서 쓰시마를 조선의 藩屛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모습은 조선전기의 조선과 쓰시마의 관계를 복원하려는 것이었다. 전쟁 중 이덕형은 일본군이 강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대일정보를 탐색하였다. 전후 일본과의 국교재개에 있어서는 현실적인 외교노선을 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그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게 있어 일본은 여전히 믿을 수 없는 존재였고, 조선 보다는 아래에 위치하는 국가였다. 즉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 한 대일인식 자체에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 KCI등재

        錦溪 魯認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Roin was one of the kidnapped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o escaped from Japan after 19 months of detention. He considered Toyotomi Hideyoshi, the central figure of the war, as lower class man, and thought the Japan was in mess by his reign. While he gave an accurate description about how Hideyoshi had seized the power and how he died, he showed also an misunderstanding about Japanese family name system. Considered to the question of Tsushima, Roin knew perfectly the problem of this island for both Korea and Japan, but pointed out Tsushima was under the Japanese influence. But to pay Japan back for the invasion, he argued to keep a hold of the island as a spy. I think this perspective shows the influence of beonbyeong(藩屛) in Korea. He, based on the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considered Japanese as barbarian enemy. He thought that Japanese retreat as a strategic withdrawal, and Hideyoshi gave the power to Tokugawa Ieyasu. He was so convinced of Japanese re-invasion that he opposed to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 Escaped before the beginning of reign of Ieyasu, he possibly could not know the situation of Japan. In this regard, the information given by him had a lot of deficiency. Among the kidnapped, there were some Koreans who changed their perception of Japan. But not Roin. For him, Japan was the object of vengeance. His experience of kidnapping, with parents and two sons lost by the war, would have a certain impact. Furthermore the confucian view of Ye theory fortified his foreign policy view by which China must be respected and Barbarians repelled. 魯認은 1597년 8월 15일 일본군에게 사로잡혀 일본에 끌려갔다가, 1598년 3월 명의 배를 통해 일본을 탈출한 被虜人이다. 노인은 조선인들이 전쟁의 주역으로 생각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를 미천한 신분 출신으로 소개하고 그가 집권하면서 일본은 혼란에 빠졌다고 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히데요시의 집권과정과 죽음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설명을 했지만, 일본의 성씨제도는 잘 못 이해하기도 했다. 또 다른 전쟁 주역으로 여겨지던 對馬島에 대해서는 조선과 일본 모두에 속한 사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도 쓰시마가 일본의 영향하에 있었음을 설명하였다. 그러면서도 복수를 위해서는 쓰시마를 간첩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는데, 이는 조선인들이 가지고 있던 쓰시마 藩屛意識에 일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노인은 성리학적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였다. 그는 일본군의 철수를 전략적 후퇴로 생각했다. 또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집권은 히데요시의 뜻에 의한 것으로 알고 있었다. 때문에 일본의 재침을 확신했고, 일본과의 국교재개도 반대했던 것이다. 그는 이에야스 집권 이전 일본을 탈출하였던 만큼 일본의 실상을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이런 점에서 그가 제공한 전후 일본의 정세와 이에야스 관련 정보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았던 것이다. 피로인들 중에는 일본에서의 생활을 통해 대일인식의 변화를 보인 인물들도 있다. 하지만 노인에게는 이러한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에게 일본은 오로지 복수의 대상이었을 뿐이다. 이는 전쟁 중 자신은 납치당했고 부모와 두 아들을 잃었다는 개인적 경험이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와 함께 그는 성리학적 예론에 입각하여 조선을 華, 일본을 夷로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睡隱 姜沆의 일본인식

        방기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Gang Hang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soldiers in July, 1597 and lived in Japan as a war prisoner in Japan until May, 1600. Later he wrote Ganyangrok(看羊錄) based on what he saw and experienced.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perspectives he adopted to look at Japan based on his Ganyangrok. He maintained a hostile feeling against Tsushima Island and Toyotomi Hideyoshi as he understood that Hideyoshi invaded Joseon following the Tsushima strategy. As for the overall appearance of Japan, he denied the possibility that an emperor could live in a country other than Ming Dynasty according to the order theory of Sung Confucianism. He understood that Japanese people too had human nature but were hostile and brutal due to laws and ordinances and rewards and punishments. He found the reason behind the spread of Buddhism across Japan in the excessive burdens on common people including military and labor service and blamed the ruling class. He also regarded Japan as his enemy based on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leaving accurate descriptions of its overall aspects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reas, the custom of treating architecture and technology preferentially, and development of foreign trade. At the same time, he informed Joseon people that Japan gave preferential treatments to engineers and thus engaged in active foreign trade and said it was wrong to think Japan was smaller than Joseon. In addition, he stated that Japanese people had their own characters and thought highly of the Japanese fortification technology. Those descriptions and states he made all came from his accurate understanding of Japan and its aspects based on his stay in the country for a while. His views of Japan are not exactly outside Joseon's traditional views of Japan, but they give a peek at the changes to Joseon people's perceptions of Japan after the war in that he accuratel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Japan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his writings were introduced to the world and accordingly must have had certain influences the ways Joseon people looked at Japan. 姜沆은 1597년 7월 일본군에게 사로잡혀 1600년 5월까지 일본에서 생활했던 被虜人으로, 자신의 견문을 바탕으로 看羊錄을 저술했다. 이 글은 간양록을 토대로 그가 일본을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강항은 쓰시마 섬(對馬島)과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게는 적개심으로 일관했다. 그 이유는 일본군의 조선 침략이 쓰시마의 책략을 히데요시까 따른 것으로 이해했기 때문이었다. 일본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성리학적 질서론에 따라 明 이외의 나라에 天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부정적으로 표현하였다. 일본인에게도 人性이 있지만, 법령과 상벌에 의해 일본인들이 호전적이며 잔인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일본에서 불교가 성행하는 것 역시 軍役과 徭役 등의 민들이 과중한 부담을 지기 때문이라고 하여 잘못은 지배층에 있다고 생각했다. 강항은 華夷論에 입각하여 일본을 夷狄視 하였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그는 일본의 자연 환경과 면적, 건축, 기술을 우대하는 풍속, 해외무역의 발달 등 당시 일본의 전반적인 모습에 대해 정확한 기술을 하였다. 한편 그는 일본에서 기술자를 우대하며 대외무역이 활발하다는 사실을 소개하고, 일본이 조선보다 작다는 日本小國觀이 잘못된 것임을 알렸다. 일본인들에게 고유 문자가 있음도 소개하고, 일본의 축성기술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그가 일본에서 직접 생활하였던 만큼 일본의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강항의 일본에 대한 시각은 조선시대 전통적 일본관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가 일본의 실상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정확히 파악했다는 점에서 전쟁직후 대일인식의 변화상을 엿볼 수 있다. 또 그의 글이 세상에 알려졌다는 점에서 조선인의 일본에 대한 시각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1607년 朝 日간 국교재개시 被虜人의 역할

        방기철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이 글은 1592년 일본의 침략으로 시작된 7년 여에 걸친 전쟁 후, 일본의 국교재개 요청에 대한 조선 정부의 대응과정에서 피로인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 본 것이다. 전쟁 중 일본은 10만여 명 이상의 조선인을 일본으로 납치했고, 전후 6,000~9,000여 명 이상이 조선으로 돌아왔다. 당시 조선은 일본과 국교가 단절된 상태였으므로, 일본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루트가 거의 없는 상태였다. 따라서 대일정보의 상당 부분을 일본에서 생활하다 돌아온 피로인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쓰시마는 종전과 거의 동시에 조선 정부에게 통상재개를 요청했다. 뒤이어 일본 중앙정부와의 국교재개를 요청했다. 조선은 전후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남아 있었지만, 일본과의 화의는 피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과의 국교재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일본의 재침이 있을 것인지의 여부였다. 이 문제는 새로 집권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완전히 장악한 것인지와도 관련된 문제였다. 조선 정부는 대일정보 확보를 위해 쓰시마에 사신을 보내 일본의 정세를 파악하기도 했지만, 이와 함께 조선으로 돌아온 피로인들에게 대일정보의 상당 부분을 의지하기도 했다. 피로인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재침가능성 여부, 쓰시마와의 통상문제, 일본의 정세 등을 조선 정부에 알려 국교재개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 정부는 피로인들을 믿을 수 없는 존재로 규정하고, 국교재개에 적극적인 인물들을 처벌하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 정부의 대일정책은 피로인들이 제시한 바와 같이 쓰시마와의 통상 재개를 허가했고,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여 국교를 재개했다. 이러한 사실들은 조선 정부의 대일정책에 피로인들의 정보 제공이 상당한 부분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후 조선과 일본이 국교를 재개하여 200여 년에 걸쳐 교린우호의 평화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데에는 피로인들의 역할이 상당히 큰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roles of a war prisoner in the process of Joseon government's reactions to Japan's request fo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about seven years of war that started by Japan's invasion in 1592. During the war, Japan abducted more than 100,000 Joseon people to the islands, and 6,000~9,000 of them returned back to Joseon after the war was ended.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Joseon and Japan were severed during the period, Joseon had few routes to secure information about Japan and accordingly had to depend on a war prisoner, who returned back to Joseon after years of staying in Japan, for the majority of information about Japan. Tsushima Island requested the resumption of trade to the Joseon government almost right after the war was over, being followed by Japan's central government that asked fo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untries. Even though Joseon still had antagonism against Japan after the war, it thought it was inevitable to resume interactions with Japan.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esumption of its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Japan were whether Japan would invade Joseon again in future and whether Tokugawa Ieyasu(德川家康), who recently grasped the power in Japan, would completely own the country in his hands. The Joseon government dispatched envoys to Tsushima Island to secure some information about Japan and understand what was going on in the country, while depending on a war prisoner, who returned back to Japan after years of staying in Japan, for the majority of information about Japan. A war Prisoner performed certain roles in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garding whether Japan would invade again, trade with Tsushima Island, and political situations of Japan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inking that a war Piroinser were not to be trusted, the Joseon government even punished some of them who were active with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Japan. Like they suggested, however, it carried out such policies on Japan as allowing for the resumption of trade with Tsushima Island and that of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Japan by dispatching envoys to it. Those measures taken by the Joseon government suggest that its policies on Japan reflected a considerable of information provided by a war prisoner. In that sense, it is safe to say that a war prisoner played very huge roles in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Joseon and Japan after the war and the peaceful state over 200 years or so between the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