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섹터 주도 지역개발에 대한 연구: 강원도 화천군 관광개발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윤정원 ( Jung Won Yoon ),박다현 ( Da Hyoun Park ),반장식 ( Jahng Shick Bah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地方行政硏究 Vol.27 No.3

        지역개발에 있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협력하여 합동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제3섹터가 각광받아 왔으나 운영에 한계점을 드러내면서 대안적인 지역개발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부문과 지역주민의 협력방식인 제4섹터를 대안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관광개발을 성공적으로 도모한 강원도 화천군 사례를 분석하였다. 관민합동조직으로 운영되는 화천군 나라축제조직위원회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제4섹터 주도 지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건과 제약요건을 도출하였다. 제4섹터 실현화가 가능했던 조건으로는 지역문제의 크기와 분포 및 사업의 타당성,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참여주체들과 조직목표의 적합성, 관민의 협력 분위기, 참여주민의 자율성, 개방적인 의사소통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운영자원 조달과 초기 자발적인 주민참여는 제4섹터가 설립되고 운영되는데 제약조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제3섹터 주도의 개발방식에 의존했던 기존의 지역개발 패러다임을 확장함으로써 지역개발 방법론에 대한 연구 지평을 넓힌다는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자생적 지역개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상향식 개발전략과 지역주민 주도형 개발방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proposes the fourth sector approach as a new alternative method of the third sector in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Recently, the fourth sector appears as either a non-profit organization or a public work operated in collaborations with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As a community-led development approach, the fourth sector becomes recognized as effective strategie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is essential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th sector. In order to stress the importance of citizen engagement in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the success case of the fourth sector driven local tourism development in Hwacheon County. The case analysis focuses on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emerging fourth sector organization, the Hwacheon County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which aims to implement a local festival project through government-citizen collaborations. The analy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magnitude and range of regional problems and project feasibility, local government leadership, local government-citizen cooperative atmosphere, concerted goals of organization and participants, citizen participant`s autonomy, and open communication are the main factors leading to the success of the fourth sector. However, insufficient resources and challenges of inducing initial citizen participation restrict the growth of the fourth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