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루키우스 폼페이우스 니게르-로마 제국 군단병의 어긋난 정체성 또는 혼종적 정체성?-

        반기현 한국서양사학회 2019 西洋史論 Vol.0 No.143

        This paper focuses on the identity of a character named Lucius Pompeius Niger, discharged from the Roman army after serving as a legionarius in the province of Egypt during the mid-first century. Pompeius’ life can be reconstructed with a total of 16 documents from the papyrus documents unearthed at Oxyrhynchus(el-Bahnasa), that is ‘The Pompeius Niger archive’. Living under his name Zoilos(Ζωΐλος) in Oxyrhynchus, the young man voluntarily enlisted in the Roman army around 20CE and immediately was given the tria nomina. Pompeius served in the military throughout the reigns of Tiberius(14-37)-Gaius(37-41)-Claudius(41-54), and he was discharged in 44 from the legio XXII Deiotariana at Nicopolis, near Alexandria. As rewards for his military service, he and his sons acquired the Roman citizenship(civitas et civitas liberorum) in the following year 45. His wife, who had de facto married yet because of the soldier’s prohibition of legal marriage, officially earned the legal right of marriage(conubium). Pompeius’ case is the earliest of existing evidence that a local provincial obtained the citizenship through military service. After his discharge from the military, Pompeius as a Roman citizen settled in Oxyryncha, Faiyum,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there. It is believed that he occasionally spent time in Oxyryncha where a share of the mansion inherited from his parents is located. Pompeius’ life at first sight could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of ‘Romanisation’ that a provincial achieves considerable social status and wealth by winning the citizenship through the military service. Conversely, he may be introduced as an example of a provincial who remained as a local from the viewpoint of the ‘discrepant identity’. However, more data from the Pompeius Niger archive provide us with more diverse and complex views of his life and identity. His roles in his family, society, community, career, and imperial province were sometimes superimposed, and sometimes clashing. He emphasised his previous name Zoilos to inherit from his non-citizen father, and used expedient methods to start a family while enjoying his status as a Roman soldier. After his discharge, as a citizen he faithfully reported to the census of citizens across the empire, and struggled to maintain his privileges as a veteran while living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 fact that becomes more obvious after more data analysis of the Pompeius Niger archive is that Pompeius fully lived his life as an individual. It is highly likely that even the demonstration to protect the legal privileges of veterans in 63, in what appears to have been the only effort he initiated to show his identity, had fizzled by the governor’s shrewd handling of the province. As an individual, he was only making an effort to maximise his benefits, based on his multiple affiliations. The life of Lucius Pompeius Niger is a case of illustrating the ‘multiple identity’ or ‘hybrid identity’ of a provincial Roman living in the empire, as an individual and a cosmopolitan. 이 논문은 서기 1세기 중반 이집트 속주에서 군단병 복무 후 제대한 루키우스 폼페이우스 니게르(Lucius Pompeius Niger)라는 인물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폼페이우스의 삶은 옥시린쿠스에서 발굴된 파피루스 문서들 가운데 현재까지 총 16개의 문서들, 즉 ‘폼페이우스 니게르 아카이브(Pompeius Niger archive)’가 전하는 내용들을 토대로 재구성이 가능하다. 옥시린쿠스(Oxyrhynchus/el-Bahnasa)에서 조일로스(Zoilos/Ζωΐλος)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던 이 청년은 서기 20년경 로마군에 입대해서 로마식 이름(tria nomina)을 받았다. 루키우스 폼페이우스 니게르가 되어 티베리우스(14-37)-가이우스(37-41)-클라우디우스(41-54) 시기를 거쳐 군복무를 했고, 44년에 알렉산드리아 인근 니코폴리스에 주둔한 데이오타루스 제22군단(legio XXII Deiotariana)에서 군단병(legionarius)으로 제대했다. 그는 군복무에 대한 보상(dona)으로 이듬해인 45년 아들들과 함께 로마 시민권(civitas et civitas liberorum)을 취득했다. 로마법상 군인의 금혼조항 때문에 사실혼 관계였던 아내는 이제 통혼권(conubium) 획득을 통해 정식으로 시민권자의 아내 신분이 되었다. 폼페이우스의 사례는 속주민이 군복무를 통해 시민권을 얻은 현존하는 증거들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폼페이우스는 제대 후 로마 시민권자 신분으로 파이윰(Faiyum)의 옥시린카(Oxyryncha)에 정착해 여생을 보냈다. 부모님으로부터 상속받은 저택의 지분이 있는 옥시린쿠스와 옥시린카를 때때로 오가면서 지낸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우스의 삶은 일견 한 속주민이 군복무를 통해 시민권을 획득하여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갖추게 된 ‘로마화(Romanisation)’의 모범 사례로 소개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지역사회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한 ‘어긋난 정체성(discrepant identity)’의 시각으로 그의 삶을 조망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폼페이우스 니게르 아카이브’가 제공하는 많은 정보들은 그의 삶과 정체성을 한층 더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그가 속한 가족, 사회, 지역, 직업, 국가 공동체에서의 역할은 때론 중첩되기도 했고 때론 충돌하기도 했다. 그는 비시민권자인 아버지로부터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 이전에 사용하던 조일로스라는 이름을 강조했고, 로마 군인으로서의 지위를 누리면서도 편법을 동원해 가정을 꾸렸으며, 제대 후에는 시민권자로서 제국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민권자 인구조사에 성실히 신고하였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면서도 퇴역군인으로서의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애썼다. 아카이브의 자료들을 분석하면 할수록 더욱더 분명하게 드러나는 한 가지 사실은 폼페이우스가 철저히 개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집단으로서의 정체성을 표출해내려고 한 유일한 시도로 보이는 63년경 퇴역군인들의 법적권리 보호를 위한 단체행동마저도 속주 총독의 기지로 흐지부지되고 말았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는 개인으로서 자신이 속한 여러 소속들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이점들을 최대한 활용하려고 노력한 것일 뿐이었다. 퇴역군인으로서 루키우스 폼페이우스 니게르의 삶은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인 동시에 개인이기도 한, 제국을 살아가던 한 개인의 ‘다중 정체성(multiple identity)’ 또는 ‘혼종적 정체성(hybrid identity)’을 잘 드러내준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기 3~4세기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의 아르메니아 왕국: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아르메니아 왕국의 그리스도교화

        반기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4 No.-

        이 연구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로마 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Sassanid Persia) 제국의 접경지대(contact zone)에 위치했던 아르사케스조 아르메니아 왕국(Arsacid Armenia)을 다룬다. 특히, 아르메니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는 ‘그리스도교화(Christianisation)’의 문제를 기존의 교회사적인 관점이나 민족주의적인 관점이 아닌, 현실정치의 영역인 지정학(Geopolitics)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4세기 초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대왕(Tiridates the Great)은 성 그레고리오스(St. Gregory)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정하여 아르메니아를 최초의 그리스도교 국가로 만들었다. 최초의 아르메니아 역사가인 동시에 교회사가인 아가탄겔로스(Agathangelos), 모세스(Moses of Khorene), 파우스투스(Faustus)는 이 사건을 문학적 수사를 동원하여 신화적으로 묘사했다. 따라서 이들의 기록이 갖는 사료적 한계와 문제점을 바로잡아 3세기 후반 아르메니아의 연대기를 보다 사실에 가깝게 재구성하였고, 티리다테스가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시기와 세례 받은 시기, 국교화를 선언한 시기를 구별함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히 하였으며, 국교화가 그레고리오스에게 감화된 왕의 독자적인 선택이었는지 아니면 로마와 페르시아 간 지정학과 내부 권력구조를 고려한 판단이었는지 고찰하였다. 아르메니아 왕국은 252년 페르시아의 샤푸르 1세(Shapur I)에게 정복당했으나 278년 로마의 프로부스(Probus) 황제의 도움으로 서부 아르메니아를 되찾고 코스로브 2세(Khorsrov II)가 왕위에 올랐다. 이후 298년 사탈라 전투(battle of Satala)에서 로마가 페르시아에 승리하여 니시비스 평화조약(Treaty of Nisibis)을 맺으면서 아르메니아를 완전히 되찾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후원으로 티리다테스 4세(훗날 대왕)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현실적으로 로마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전부터 그레고리오스와의 교류를 통해 그리스도를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갈레리우스(Galerius)의 그리스도교 관용령(Edict of Toleration)이 선포되고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사망한 311년까지는 로마의 반 그리스도교적 정책을 지지하고 협조하는 것처럼 행동해야 했다. 한편 사산조 페르시아에서는 조로아스터교 사제장 카르티르(Kartir)가 황제의 권력을 등에 업고 3세기 내내 공격적인 포교활동을 벌여 마니를 살해하는 등 이교도들을 박해했다. 그 과정에서 많은 그리스도교도들 또한 희생됐다. 티리다테스의 입장에서는 페르시아로부터 반 조로아스터교적인 세력을 흡수하고 로마로부터 그리스도교 세력을 흡수함으로써 독자적인 세력을 키울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고 있었다. 311년 티리다테스 대왕은 친 그리스도교 정책으로 선회했다. 그레고리오스는 그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314년 카이사레아 주교로부터 서임을 받았다. 티리다테스는 더 나아가 그레고리오스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교가 아르메니아의 국교임을 선언했다. 그리스도교도들의 입장에서 로마는 여전히 이교도 제국이었고, 페르시아는 조로아스터교 제국이었다. 티리다테스 대왕은 그리스도교도들의 수호자임을 내세워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지대의 그리스도교 세력과 아직 태도를 명확히 하지 못한 많은 이교의 제후들, 즉 낙사라르(naxarar)들까지 모두 포용했다. 이러한 프로파간다로 아르메니아의 국론을 통합하고 왕권 강화에 성공해 330년까지 로마와 페르시아의 접경지대에서 성... This study explores the late 3rd to early 4th century geopolitics of Arsacid Armenia, which was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Roman empire and Sassanid Persia. From the perspective of geopolitics I try to shed new light on the Christianization of Armenia in particular,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great transition in the history of the Armenians. This has been researched mainly from ecclesiastical and nationalistic viewpoints. Tiridates the Great, king of Armenia, was baptized by St. Gregory and then proclaimed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Armenia in the early 4th century. The first Armenian and Church historians Agathangelos, Moses of Khorene, and Faustus legendized the event in a hagiography with literary topos or rhetoric. I have therefore corrected their accounts and complemented those with the Roman and Persian sources to restructure the late 3rd century-chronology of Armenia as a historical setting for the Christianization. I have classified the times of the conversion, baptism, and establishment to clarify each implication. I have carefully investigated Tiridates’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ization to know whether it was a decision that was deeply influenced by St. Gregory or made in considering external geopolitics and internal power structure. In 252 the kingdom of Armenia was conquered by Shapur I, šāhanšāh(king of kings) of the Sassanid Persia, and annexed to it, but in 278 the Roman emperor Probus restored the western part of Armenia and crowned Khorsrov II as king of Armenia. In 298 the Roman caesar Galerius won the crucial victory over the Persian šāhanšāh Narseh at the battle of Satala, and the treaty of Nisibis between the augustus Diocletian and Narseh ended the war and restored the entire kingdom of Armenia. Diocletian crowned his cliens Tiridates IV(later the Great) as king of Armenia. Despite his acknowledgment of Gregory and of the god of Christianity, the client king of Rome had to have supported and cooperated with the anti-Christian policy of his patronus by 311, when the Edict of Toleration was issued by now augustus Galerius and the retired emperor Diocletian had passed away. In the meanwhile the Zoroastrian priest Kartir in Sassanid Persia ambitiously reformed Zoroastrianism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it as state religion and aggressively persecuted other religions there such as Manichae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He even killed Mani and many Christians. The favourable geopolitical situations were ripening for Tiridates to consolidate his independent and sovereign position by accepting the anti-Zoroastrians from Persia and the pro-Christians from Rome. In 311 Tiridates the Great embraced a pro-Christian policy. In 314 St. Gregory was consecrated by Leontius of Caesarea due to his successful missionary work in Armenia. Tiridates the Great went further to be baptized by St. Gregory and he proclaimed Christianity as state religion of Armenia. Still, in the view of Christians, the Roman empire stayed pagan, and Persia was the empire of Zoroastrianism. Tiridates propagating himself as guardian of Christianity, attempted to embrace all the local Christian authorities who resided in the contact zones between Rome and Persia, as well as the pagan naxarars(lords, princes, vassals and local elites etc.). He succeeded in enhancing national consolidation and royal authority, and his kingdom was prospering by 330 between the two super powers. His establishment of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Armenia was the paramount geostrategic decision in terms of geopolitics.

      • KCI등재

        아그리콜라의 칼레도니아 원정과 몬스 그라우피우스(Mons Graupius) 전투

        반기현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49 No.-

        Gnaeus Iulius Agricola assumed governorship in the province of Britannia for the duration of 77 to 84. The military accomplishments of Agricola were meticulously documented in De Vita Iulii Agricolae, written by his son-in-law Tacitus. The literature culminates with a detailed account of Agricola's military campaign in Caledonia, which includes the significant battle at Mons Graupius. This article utilizes both literary and archaeological sources to elucidate the strategic purpose of Agricola’s military expedition and the contribution of his victory in the battle to that objective. Strategically, Agricola's primary aim was to attain complete control over Britannia by means of his expedition and subsequent occupation of Caledonia. He believed that this would ultimately facilitate future expedition into Hibernia. In his geographical perception, Agricola saw Hibernia as possessing strategic importance due to its location between Hispania, Gaul, and Britannia. Subduing Hibernia would effectively pacify the northwestern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Operationally, Agricola's expedition to Caledonia was conducted as an amphibious operation, driving as many Caledonii as possible in the pursuit of a decisive battle. In that context, the battle of Mons Graupius proved decisive and ended with a complete tactical victory for the Roman army. Furthermore, Agricola demonstrated a clear awareness of the concepts of exploitation and propaganda. Immediately after his triumph, Agricola conducted a circumnavigation of the adjacent coasts to consolidate Roman control over the occupied territories of Caledonia. Moreover, the presence of Roman garrisons and forts found along the border between the Highlands and the Lowlands in Scotland serve as corroborative evidence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he sought to establish a division the those two regions, with the aim of maintaining control and safeguarding the relatively habitable Lowlands. 아그리콜라는 77-84년 브리타니아 속주 총독을 지냈다. 그의 업적은 사위인 타키투스가 쓴 『아그리콜라의 생애』에 잘 서술되어 있다. 이 작품은 아그리콜라의 칼레도니아 원정과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묘사에서 절정을 이룬다. 이 논문은 그가 수행한 원정의 목적과 전투에서의 승리가 그 목적 달성에 기여한 바를 문헌사료와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밝혀낸다. 전략적으로 아그리콜라의 목적은 칼레도니아 원정과 정복을 통해 브리타니아를 완벽하게 장악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것이 궁극적으로 히베르니아 원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그의 지리적 인식에서 히베르니아는 히스파니아, 갈리아, 브리타니아 사이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히베르니아까지 정복하면 제국의 북서쪽 변경은 완벽하게 평정되는 것이었다. 작전적으로 아그리콜라는 칼레도니아 원정을 진행하면서 단기 결전을 목표로 가급적 많은 적들을 몰아넣기 위해 수륙 병진 작전을 펼쳤다. 이러한 맥락에서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는 결정적 전투였으며 로마군의 완벽한 전술적 승리로 끝났다. 아그리콜라는 전과 확대 및 선전 개념도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다. 승리 직후 함대를 동원한 인근 연안 순행으로 칼레도니아를 완벽하게 장악하려 했다. 게다가 오늘날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드와 로우랜드 경계에서 발견되는 당시 로마군 주둔지와 요새의 흔적들은 그가 두 지역을 구분해서 통제하고 상대적으로 거주 가능한 로우랜드 일대를 보호하려고 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바르 코크바 전쟁과 하드리아누스의 동방 정책

        반기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1 서양고대사연구 Vol.28 No.-

        After Judaea(a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had been established, three massive wars broke out between the Romans and the Jews. Bar Kokhba war, the last of the three wars, lasted for over 3 years from 132 to 135, when Hadrian ruled the empire. The war costed a great number of casualties on both sides and Hadrian punished the Jews with no mercy. They were expelled from the land and were forbidden to come back, and the name of province was changed from Judaea to Syria Palaestina. Since then, the Jews did not have had an independent political structure in Judaea until 1948, the founding of Israel. This implicates why this war is important in the Jewish history. However, only little has been known about it in contrast with the First Jewish War. Especially,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ause of the war because sources have provided different answ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proper cause of the Bar Kokhba War by checking the sequence of events from the end of First Jewish War to Hadrian's Judaea policy. Flavian Dynasty's emperors used the victorious fruits of First Jewish War for their propaganda which gave political power to those rulers. They collected Fiscus Judaicus (Jewish tax) from all Jews older than 20 who had resided within the empire, leased all lands of Judaea to matzikin (the ruling class in Judaea), and did not allow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Therefore, the Jewish society in Judaea was suppressed by political, religious, and economic measures. The Diasporic War (The Quietus War: 115 117), a repugnance against these conditions, ended in the Diasporic Jews' defeat. So, the pressure against the Jews in Judaea became even more severe than before. Hadrian was acute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Jewish problem. But he took a negative position against it after the Diasporic War and exchanging views with anti Semitic intellectuals. He had a plan, called 'Panhellenion', to consolidate the ean arButegion of the empire within the Greek culture, and expected the Jewish problem to be solved. Thus Hadrian ordered to rebuild the dewiroyed Jerusalem into Aelia Capitolina, the Roman colonia, and prohibited Jewish circftcision. Naturally, h ordered on ansible reanoe theewiablish a defensive syn amegion o protect the working class from can ration. Unfortunately, Hadrian did not ewismate the repulsive movament of the Jews which led to th oruekpuls. After all, h ocould not prevent the Jews from assembling under Shsmoe Bar Kokhba, the Nasi (ruler)egionmiliiary hero of the Jews, who he took resistance against the Roman authority.

      • KCI등재

        원수정기 동방속주에서의 군대 주둔과 도시화

        반기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49 No.-

        The principal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oman army and logistics system on urbanisation and the provincial economy in the eastern provinces. The soldiers stationed in eastern cities are often criticised by ancient authors for their lax discipline and low morale, and numerous complaints are attested about abuses of the requisition system (annona militaris, hospitium, angareia). However, I reconsider the evidence for abuses of the requisition system to re-assess the idea that, unlike in the West, the Roman army in the East had a negative effect on civilians. Besides, I investigate to what extent military bases were located in or by existing cities, and to test the idea that relations in such context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rovinces. In the less urbanised West many cities developed out of the civilian settlements (vici and canabae) which grew up around military camps, and the army is typically seen as a driver of urbanis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e East it made sense to station army units in or near already existing cities in order to facilitate supply. Using the availabl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Cappadocia, Syria, Mesopotamia, Judaea, Arabia and Egypt, I also examine whether the army camps (legionary and auxiliary) wer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city walls, and if they were within it, to what extent the army was encroaching on civilian space. Under the Principate the annona militaris, angareia, and hospitium formed a standing part of the general logistics system to supply the Roman army. These requisitions per se did not mean the institutional exploitation of civilians. It is true that sometimes in emergency situations like military campaigns, imperial visits, or famine, the extraordinary levies of grain, transport and accommodation could impose a heavy burden on civilians. However, at least these requisitions were covered, to a large extent, by the cash compensation arranged by the imperial government. The real problem was the abuse of requisitions committed at the individual level. As regulations and petitions attested, the imperial authorities did not ignore the petitions of provincials, but endeavoured to respond to them. Although these regulations were constantly re-enacted and thus were arguably not very effective in themselves, it was a dynamic situation where the constant re-enactment of regulations was a necessary process which meant that the level of abuses was by and large kept under control, and certainly never became such a chronic and severe problem as to weaken fundamentally the provincial economy. The economy of the Near East constantly developed under Roman rule. The development of the cities was not, it seems, stunted by the military presence near or within them. In normal situations, the Roman army camps did not encroach on civilian areas, but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it. They were stationed close or adjacent to the cities rather than within them. In some cities, which already had appropriate space for the camps, or which had followed the western model of urbanisation, army units occupied a specific corner of them. On the individual level soldiers interacted frequently with civilians, and were major consumers invigorating the local economy. Many cities and towns developed from the settlements around the army camps and forts, as in the western urbanisation model. 본 논문은 원수정기 로마군과 병참제도가 동부속주(카파도키아,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유다이아, 아라비아, 이집트 등)에서의 도시화와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 조사한다. 로마군의 병참제도는, 물론 받아들이는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제도적으로는 서부속주와 동부속주에 별다른 차이 없이 적용되었다. 현금과 현물로 거둬지는 세금은 평시 병참제도의 근간을 이루었고, 군과 민간에 공히 공급되었다. 전시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추가적인 징발이 이뤄졌는데, 균일가이긴 해도 국가가 주도하는 구매 방식을 보여주었다. 강제 착취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식량 징발(annona), 수송수단 징발(angareia), 숙박시설 징발(hospitium) 등은 아우구스투스 시기부터 체계화된 병참제도의 일부였으며, 이러한 징발 요구 자체가 민간에 대한 제도적인 착취를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문제는 사적인 차원에서 벌어지는 제도의 불법적인 남용에 있었다. 그러나 제국 당국은 민간에서 올라오는 탄원을 억압하거나 무시하지 않았고, 그러한 남용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규제방안을 내놓으려 노력했다. 이러한 당국 차원의 규제가 어느 정도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왔는지는 속단할 수 없지만, 적어도 동부속주의 도시와 경제는 로마 지배 하에서 계속적으로 성장해나갔다. 동부속주에서 대부분의 전략적 요충지에는 반드시 도시가 들어서 있었다. 따라서 군부대가 원활한 병참지원을 위해 도시 인근에 주둔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리고 도시 발전은, 부대가 인근에 주둔했다는 사실만으로 특별히 방해받지는 않았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밝혀진 로마군 군영과 요새들의 위치는 절반 이상 도시 성벽 바깥에 존재했고, 도시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기존에 존재하던 주둔지를 재활용해 민간과의 갈등을 최소화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로마 군영이 민간영역을 침범하는 경우는 흔치 않았고, 일정한 거리가 유지됐다. 동부속주에서도 적지 않은 도시가 서부속주에서의 도시화 모델처럼 군영 주변에 생겨나기 시작한 정착지를 중심으로 발전해 도시를 이루었다. 이 도시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해 기존에 있던 속주의 주도와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원수정기 로마군과 병참제도 일체는 기존 주장처럼 동부속주의 도시화와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쳤다기보다는 오히려 일조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란데이아(Rhandeia) 조약

        반기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3

        이 논문은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아르메니아가 차지했던 위치를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그 전쟁을 종결지은 63년 란데이아 조약(Treaty of Rhandeia)을 중심으로 살핀다. 첫째로 ‘로마 제국의 전략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했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묵은 논쟁을 간략히 정리한다. 둘째로 기원전후 1세기 동안 아르메니아가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에서 ‘접경화’ 또는 ‘완충지대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로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이 일어나게 된 원인, 과정, 결과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 넷째로 63년 전쟁을 종결지은 란데이아 조약과 그 이행을 위한 66년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의 로마 방문이 갖는 전략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로마 제국에 전략이 존재했는가 여부는 로마 제국 대전략(Grand Strategy)에 관한 러트왁(E. W. Luttwak)의 연구 이후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제국의 중앙에는 분명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의 ‘지속성’을 보장하게 하는 ‘의사 결정 집단(decision-making group)’이 존재했다. 황제 자문위(consilium principis)를 비롯해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군사적으로 중차대한 결정의 순간마다 황제의 최측근 조언자로 기능했다. 또한 당시 로마나 파르티아 같은 대제국들의 변경 및 외교 정책이나 군사 배치, 이동, 보급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그 주변부에 존재했던 왕국이나 부족국가들의 기준에서 볼 때 충분히 ‘전략’적이라 할 만한 것들이었다. 제 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의 결과, 기원전 66년 아르메니아 왕국은 로마의 동쪽 변경이자 파르티아의 서쪽 변경인 접경지대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후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해졌다. 기원전 53년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실패 이후 험악했던 양국 관계는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의 기지로 회복되었다. 아르메니아 문제는 파르티아가 추천한 아르메니아 왕위 후보자를 로마가 임명하는 형식으로 일단락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로마 황제가 아르메니아 주변 왕가들에서 친 로마적인 인사를 임명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황위계승이 걸린 빈번한 내분으로 개입의 기회를 놓치고 있던 파르티아는 서기 54년 같은 아르사케스조의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를 기습적으로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힘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네로가 코르불로를 파견하기로 결정하면서 아르메니아 전쟁이 시작됐다. 코르불로의 작전 수행은 로마의 기본전략이 반영된 것이었다. 동부 속주들의 방위를 재정비하고 아르메니아에서의 로마 우위를 되찾으면서 파르티아와의 전면전은 피했다. 그러나 승기에 고무된 네로가 지휘관을 파이투스로 교체하고 아르메니아 병합을 시도하면서 전면전이 불가피해졌다. 결과는 서기 62년 란데이아에서의 뼈아픈 패배였다. 이듬해 네로가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과 상의한 끝에 지휘권을 코르불로에게 넘기자 다시 상황이 로마에 유리하게 흐르기 시작했고, 코르불로는 사태를 수습하고 아르사케스조 파르티아를 위협하여 란데이아 조약을 이끌어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향후 로마 황제가 파르티가 추천한 아르사케스조 왕족을 아르메니아 왕으로 승인할 것, 그래서 로마에서 네로의 주관으로 티리다테스 1세의 대관식을 갖는 것이었다. 서기 66년 네로는 로마를 방문한 티리다테스 1세에게 왕... This study re-investigates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to highlight the geostrategic importance of Armenia in the context of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Firstly, I will summarize the old debate on the question whether there was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Secondly, I will explain the processes of forcing the kingdom of Armenia to b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or the buffer zone) between the imperial powers of Rome and Parthia, and the crucial phases of Nero’s Armenian War during the first century CE. Thirdly, I discuss the strategic intent to conclude the Treaty of Rhandeia in 63CE, which was followed by the coronation of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Since E. W. Luttwak’s study on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was published, it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whether the Romans had their imperial strategy. There was a certain decision-making group in the Roman imperial court, who were able to ‘establish’ and ‘maintain’ a consistent strategy. The primores civitatis(foremost authorities of the state), the consilium principis(council of the princeps) in particular, acted as the closest advisers of the emperor at times of crucial decisions. Ultimately, it is probable that the military disposition, operation and logistics of the greater empires of Rome and Parthia, along with their frontier and foreign policie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relatively ‘strategic’ by people of the neighbouring kingdoms and tribal states. In 66 BC, as the outcome of the Third Mithridatic War, the kingdom of Armenia was driven into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eastern frontier of Rome and the western frontier of Parthia, and therefore it first became to have the geostrategic importance in the Roman strategy facing against Parthia. Rome’s foreign relations with Parthia, which had been unsecured after Crassus’ defeat and fall at the battle of Carrhae in 53BCE, were restored by Augustus’ peace settlement in 20BCE. The Armenian question was resolved with the agreement that the Roman emperor appoints the king of Armenia whom the Parthian king of kings has recommended, but since then in practice the former would appoint the kings out of non-Armenian royal families while the latter often underwent civil wars of the Parthian succession. In 54CE the Parthian king of kings Vologaeses I raided Armenia and crowned his brother Tiridates I king of Armenia to take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upper Euphrates. Nero decided to begin war against the Arsacid kings and appointed Gnaeus Domitius Corbulo as the dux belli(commander of war). Corbulo conducted military operations based on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He strengthened the defence of the eastern provinces, restored hegemony over Armenia, and tried to evade a full-scale war with Parthia. However, the war became inevitable when Nero had placed Lucius Caesennius Paetus in command to annex Armenia, which was resulted in the serious defeat at Rhandeia in 62CE. Nero after sought advices from the primores civitates replaced Paetus with Corbulo who rectified the urgent situation and managed to draw up the Treaty of Rhandeia with the Arsacid kings in 63CE. The main agreement of the Treaty was that the Roman emperor approves of a Parthian prince as king of Armenia, thereby crowning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Nero spent a huge budget on holding the clamorous coronation for his propaganda purpos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venturing into a full-scaled war to incorporate the kingdom of Armenia into a province of either Rome or Parthia was not any good solution to the Armenian question. The province of Armenia undoubtedly would have required much mo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control and defend the extended borderlands. It was strategically better option for both Rome and Parthia to maintain Armenia as a buffer stat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m. The Treaty of Rhandeia in ...

      • KCI등재

        Aurelian’s Military Reforms and the Power Dynamics of the Near East

        반기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50 No.-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how the Roman emperor Aurelian managed to regain and re-establish control over the eastern provinces of the Empire during the short period of his reign, 270-275 CE. My primary focus is on his military reforms. Previously, these reforms have been considered a mere continuation of Gallienus’ policies with few new initiatives. Gallienus’ creation of the mobile field army, combining infantry with cavalry, was originally an ad hoc measure to enhance manoeuvrability and allow the Roman army to confront the Carpi, the Danubian Goths, and the Black Sea Goths simultaneously, and to contain Postumus’ Gallic Empire. I argue that Aurelian modified and reformed this mobile field army to suit his campaigns in the eastern provinces. My secondary focus is on understanding the details of the relations and rivalries between the dominant imperial powers in the Near East. In this period being examined, the territory where Rome and Sassanid Persia competed became the arena of a struggle which grew to involve other regional powers. These included the oasis state of Palmyra and also the Kingdom of Armenia whose existence seems to have been ignored by scholars because of the Persian occupation there which was then followed by an interregnum from 252 to 279. In terms of Aurelian’s military reforms, the Roman emperor innovat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heavy-armed mailed cavalry, while Gallienus restructured his army into a cavalry-centric mobile field army. For Aurelian’s Palmyrene campaign the offensive capability and manoeuvrability of his expeditionary force were paramount because he had to give the Sassanid Persia no room to intervene in his war. Other than the legions, Aurelian also extensively employed the equites, the Roman cataphractarii, and the eastern ethnic clibanarii and cavalry archers. Although the power dynamics of the Near East were unfavourable to him and prevented him from recruiting heavy-armed cavalrymen from the usual areas, he was able to draw on the refugees of the Arsacid Armenians and Parthians to compensate. The employment of the Armenian and Parthian units, clibanarii and mounted archers, was a crucial factor to Aurelian’s success in the Near East. Thanks to the manoeuvrability and tactical superiority of the heavy cavalry units, Aurelian managed to quickly reclaim the eastern provinces from Zenobia’s control.

      • KCI등재

        유럽과 북미에서의 접경지대 연구 동향과 서사의 확장성—『유럽과 북미 지역 접경지대 연구의 세계화』 읽기

        반기현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2

        이 서평논문의 목적은 『유럽과 북미 지역 접경지대 연구의 세계화(Globalizing Borderlands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를 비판적으로 읽음으로써 현재까지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진행된 접경지대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 서사의 확장 가능성과 한계를 논하는 데 있다. 이 책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유럽과 북미 지역의 접경지대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례연구들을 소개한다. 공동연구의 목적과 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한 서론 챕터와 접경연구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다룬 짧은 결론 챕터 외에 총 10개 챕터로 구성된다. 이 챕터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현 접경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첫째, 이제껏 접경연구를 선도해온 유럽과 북미(대개 미국) 학계의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인 지역과 대상들에 대해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접경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축적된 성과들을 발판으로 다른 지역(특히 아시아)에 존재하는 다양한 접경지대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인지, 소위 세계화라는 연구의 확장 가능성 또한 전망한다. 둘째, ‘접경지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물리적(physical)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대를 넘어, 개념적(conceptual)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대를 소개한다. ‘개념적 접경지대’의 사례는 한 개인의 정체성에서부터 통치 방식, 종교, 경제, 사회제도, 가족, 노동, 공중보건, 젠더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공동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일관된 용어 사용의 부재, 유럽과 북미 지역이라는 배경적 한계 때문인지 여전히 제국주의 담론 내에서 접경지대를 이해하려 한다는 점, 따라서 여기서 그리고 있는 접경지대의 대부분이 갈등과 투쟁의 공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여러 접경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과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접경지대에 위치한 한반도의 현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현재적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접경사’의 정의와 연구 방법론의 적용

        반기현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7 중앙사론 Vol.0 No.45

        This article proposes the history of contact zone as a resolution to overcome the current historical disputes between nation states about their borders and frontiers. Prof. Mary Louise Pratt has coined the theory of contact zone to describe the cultural interplay and hybridity that would occur in borderlands where different races, nations, and believers live together. Applying her theory to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opens a new possibility to focus on the history of contact zone itself rather than of a border or frontier of a territorial state. The history of contact zone covers these three broad categories: 1) the contact zone of various races and nations embracing their cultures inside a state; 2) the contact zone between states; 3) a state that is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superpowers. As a sound example, I introduce the study of Roman limes of which European scholars from different countries are undertaking together in sharing the concept that the limes was neither a border nor frontier of the empire, but a borderland where the Roman culture was blended equally and evenly with indigenous cultures. Thus, using the term Romanisation to explain the cultural change in the borderlands has become a controversial topic among the scholars, especially the archaeologists of Roman Britain, who prefer acculturation, creolisation, discrepant identity, or globalisation to Romanisation. The history of the Roman empire is indeed the histories of those European countries. I also suggest that the kingdom of Armenia between Rome and Persia as another good example of the history of contact zone that falls into the third category. Given the current international relations strained by the closed nationalism of Russia, China, Japan, and the States, I expect the history of contact zone could reconcile their different and biased views stemmed from their historical background of imper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