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자연사 연구 1. 북한의 분류학

        박희천 한국통합생물학회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1

        1954년 이후 현재까지 북한의 학술잡지에 발표된 분류 및 자연사에 관련된 논문 319편을 분석한 결과, 동물에 관한 것이 174편이었으며, 식물에 관한 것이 144편, 동식물공통이 7편이었다. 조사한 바에 의하면 북한의 분류학자들에 의하여 87종 6아종 4변종 4변형의 신종이 기재되었으며, 19속 262종 7변종 9변형이 북한 미기록종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백두산의 생물상은 동물이 1,288종, 식물이 약 1,000종이었다.

      • KCI등재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전기방사한 PLGA 부직포의 습윤성 개선

        박희천,길명섭,김학용,이덕래,최경은,Park, Heui-Chon,Khil,, Myung-Seob,Kim, Hak-Yong,Lee, Douk-Rae,Choi, Kyung-Eun 한국섬유공학회 200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2 No.3

        The effects of surfactant on electrospinnability and wettability of electrospun PLGA nonwoven mats were investigated. For PLGA, a mixtured solvent of tetrahydrofuran (THF) and N,N-dimethylformamide (DMF) was used to dissolve the polymer. Sodium dodecyl sulfate(SDS), a surfactant, was added to PLGA solution for electrospinning.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resulting fiber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surfactant increased.

      • 산업계 연구인력현황 및 질적평가에 대한 조사 연구

        박희천,용세중,이황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5 연구보고 Vol.- No.-

        본 연구의 조사결과 과학기술인력이 전반척으로 부족하다기보다는 특정부문의 인력이 부족하고 우수한 인력이 적으며 임금수준이 낮아 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보다 중견 및 중소기업이 연구인력확보에 애로를 더 겪고 있으며, 우수인력의 지방근무 기피로 지방에 입지한 연구소가 인력확보에 어려옵을 더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연구원의 채용시 겪는 애로사항이 중요도에 따라 유능한 인력에 대한 정보부촉, 근무조건 빛 유치조건에 대한 합의의 어려움, 확보 빛 유치에 필요한 자금부족, 확보 ? 유치에 따른 기대성과의 불확실, 내부척 이해 빛 인센티브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어 연구인력의 부축은 기업외부척(인력공급부족)과 기업내부적(연구인력관리) 요인 모두에 의한 결과임이 입증되었다.각 교육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구인력의 질척 수준이 연구소의 입장에서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질적 수준보다 미흡하고 특히 실무경험과 외국어실력 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임 및 경력직 연구원의 경우 실무/능력 뿐만 아니라 전공이론 빛 외국어실력도 미홉하여 연구소들은 년평균 2개월간까지 전공관련 이론교육과 어학교육을 중심으로 한 사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이 부실하다는 것을 말해 주는 한 단변이 된다.배출되는 인력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교육체계의 다원화, 기술교육기관의 운영 및 관리 개선, 교육재정의 개선 및 교육의 현장성 강화 퉁과 같은 공학교육의 개선방안을 통하여 교육을 현실화해야 한다. 대기업선호 풍토는 사회 전반적인 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이며 이를 위하여 기업 및 정부의 노력이 특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중소기업의 인력수급을 원활화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인력개발비 동에 대한 세제상의 혜택과 중소기업 근무 인력에 대한 특례보충역 면입자격의 완화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정책건의본 연구는 연구인력 수급불균형(연구인력의 부족)을 기업외부적(인력공급부족)과 기업내부적(연구인력관리)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의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살펴본다.1.우수인력공급 확충공학계 대학은 정원을 산업체 수요변화에 맞추어 신축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며 실험실습(산업체 현장실습) 및 어학교육 중심으로 연구 · 기술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일부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사학과간의 통합에 의한 학부제 운영을 전체 공과대학으로 확산시켜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현실에 비추어 기초지식이 폭넓게 습득될 수 볼 때 사립대학의 경우에도 국가나 기업이 공학계 대학 또는 적어도 성장산업부문의 공학계 학과 예산의 상당부문을 부담함으로써 내설있는 공학교육의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대학이 값비싼 실험실습장비를 기업과 탈리 단독으로 마련하거나 대학내에서 산업체 현장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산업체의 실험실습 장비를 “공유”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스위스, 독일과 같은 선진국들이 시행하고 있는 현장실습제도의 도입이 한- 예가 될 수 있다. 스위스와 독일의 경우 학과에 따라 6 - 9개월 간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에 한하여 대학졸업시험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다한 공학계 대학생수가 문제가 된다변, 이 제도를 점진적으로 도입하며 정부가 초기의 과다한 산업체 현장실습비용의 일부를 세제나 예산지원브로 흡수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2.연구인력 개선교육 빛 훈련투자를 통한 연구소의 인력개발은 보유이력의 녹력음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줌으로써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생산성을 높히는 역활을 한다. 기업연구소의 교육훈련예산이 그 동안 많이 증액되었지만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기업의 과감한 인력개발투자가 요청되고 있는 바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액 경비처리할 수 있어야 하겠다.기업연구소들은 인력개발을 위해 대학과의 공동연구나 위탁연구와 같은 산학협동연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연구소들의 약 9% 만이 대학과 산학협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은 상당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우수 기술인력을 유치하기 위하여 중소기업부설연구소들은 중소기업 공동의 기업설명회 또는 공동기술교육센타 운영 등을 시도하여야 한다. 중소기업의 경우 산학협동 연구단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필요한 요소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아고 빠른 기술개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우리나라 기업연구소들은 국제화를 통하여 부족한 연구인력의 확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현재 극히 일부분의 기업연구소들 만이 외국의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 KCI등재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효율 향상 평가

        박희천 韓獨經商學會 2001 經商論叢 Vol.19 No.2

        Diese Studie versucht die Verbesserungen der Energieefnzienz energieintensiver Industrien in Korea mit Hilfe einer auf einem physikalischen Produktionsindex basierenden Dekomposi-tionsmethode zu analysieren. Die Energieeffizienz der Zement-, petrochernischen und Papierindustrie verbesserte sich fur die Periode von 1992 bis 2000 jahrlich um etwa 1~3%, so dass sie viel zur Minderung der Zunahme des Energieverbrauches beitrug. Hingegen war die Effizienzverbesserung in der Eisen- und Stahlindustrie sehr klein. EbenfBlls veranderte sich die Produktions- bzw. Prozessuuktur der betrachteten Industrien ausser der petrochernischen Industrie zu einer kleineren Energieintensitat, was auch zur Minderung der Zunahme des Energieverbrauchs beitrug. Trotzdem war eine jahrliche Energieverbrauchszunahme von etwa 6.7% in der verarbreitenden Industrie su hock, was eine Anderung der Industriestruktur zu einer kleineren Energieintensitat und erhohte Massnahmen zur Energieeffizienzverbesferung und zum Energiesparen velangt. Diese Dekompositionsmethode kann auf die Analyse der Grunde uber die Energieverbrau-chszunahme nicht nor fur die Subsektoren anderer Wirtsuhaftssektoren und die Wirtschaft als Ganzes angewandt werden. Solche Analysen sollen in der Lage sein, zukiinftige Energlever-brauche besser zu prognostzie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