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용액하에서의 Methylene Blue와 Aerosol OT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박희억 牧園大學校 1990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18 No.-

        The metachromatic behaviors of methyene blue(MB) in the presence of sodium bits(2-ethylhexyl) sulfosuccinate (Aerosol OT or AOT) have been studied by means of the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scopies.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bsorption spectra observed in the MB-AOT systems with the AOT concentration are analyzed. 1 suggest that the following four seguential steps are occuring : (1) the formation of the MB-AOT complex (2) the stacking of the MB molecules arrising from the aggregation of the MB-AOT complex (3) breaking of the dye stacking due to formation of the nicelles (4) redistribution of the dye molecules in the surface of micelles at high AOT concentration. The studies on the changes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B-AOT systems with title AOT concentration lead to the sam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absorption spectroscopic studies.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has been also measured by the changes of the absorption and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B-AOT systems with the AOT concentrations.

      • KCI등재

        Serratia marcescens 균주로부터 추출한 Prodigiosin의 흡수분광학적 연구

        박희억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1

        The red pigment extracted from Serratia marcescens 2354 (ATCC 25419) was prodigiosin (PG), which was dissolved in methanol and measured for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absorption spectra. It was the typical absorption spectrum of PG in an acid solution with λmax = 537 nm. When the concentration of PG was increased from 1.0 × 10 -5 M to 9.0 × 10 -5 M in the methanol solution, the absorption intensity at 537 nm was increased, the absorption intensity at 467 nm was decreased, and the isosbestic point at 500 nm was observed. This phenomenon can be regarded as a result of reversible acid-base equilibrium reaction considering 537 nm and 467 nm of PG absorption band in acid and base solution respectively and isosbestic point of 500 nm.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PG was reduced from 6.0 × 10-4 to 1.0 × 10-4 M in acetic acid buffer solution at pH 4.75, a new absorption band with λ max at 500 nm appeared. This absorption band appears only in the aqueous solution of pH 4.75 and does not appear in the pure methanol solution of the same pH. This is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PG molecule from the α-isomer to the β-isomer by H 2 O.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change of the PG can be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vent. Serratia marcescens 2354(ATCC 25419) 균주로부터 추출한 붉은 색소는 prodigiosin (PG) 이었고, 이를 methanol에 녹여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라를 측정한 결과 537 nm의 최대흡수파장 (λ max )을 갖는 산성용액에서의 전형적인 PG의 흡수 스펙트라이었다. 또한 methanol 용액에서 PG의 농도를 1.0 × 10-5 M에서 9.0 × 10-5 M로 증가시키면, 537 nm의 흡수강도는 증가하고 467 nm의 흡수강도는 감소하였으며, 500 nm에서 isosbestic point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537 nm와 467 nm가 각각 산과 염기용액에서의 PG 흡수대이고, 500 nm의 isosbestic point 등을 고려하면 가역적 산-염기 평형반응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pH, 4.75의 acetic acid 완충용액에서 PG의 농도를 6.0 × 10 -4 M에서 1.0 × 10 -4 M로 감소시키면 500 nm에서 λmax를 가지는 새로운 흡수대가 나타 난다. 이 흡수대는 pH 4.75의 수용액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같은 pH의 순수한 methanol 용액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PG 분자가 H 2 O에 의해 α-이성질체에서 β-이성질체로의 전환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PG의 색변화는 용액의 농도 및 용매의 특성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Reversed micelle 내에서의 Methylene Blue의 Metachromasy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박희억 牧園大學校 1991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19 No.-

        The metachromatic behaviors of methylene blue (MB) with different water concentrations in AOT/H20/hexane solutions have been studied by the absorption spectroscopy. I suggest that the MB is soluilized in aqueous core of reversed micelles since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bsorption spectra observed are similar that of MB in aqueous systems.

      • 유기색소분자와 Chondroitin Sulfate A의 상호작용에 대한 용매효과

        박희억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8 No.-

        Ethanol 첨가에 따른 methylene blue(MB) 및 acridine orange(AO)와 chondroitin sulfate A(CSA)의 metachromasy(meta) 현상을 흡수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MB 및 AO의 농도는 4.0 X 10^-6 M과 2.0 X 10^-5 M로 각각 고정시켰으며 ethanol은 부피비(V/V)로 첨가하였다. P/D = 2에서 ethanol의 농도비가 증가되어지면 meta-band는 감소되어지고 α-band는 증가되어진다. 이러한 meta 현상은 CSA의 음이온 자리에 색소분자와 CSA의 짝이온인 Na^+ 사이의 경쟁반응과 더불어 bound 색소분자 주위의 물구조의 교란에 의한 색소분자 간의 stacking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CS 분자의 전체적 골격구조는 유기용매 첨가시 extended 형에서 나선형으로 변화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 수용액내에서의 Methylene Blue 및 Acridine Orange를 이용한 Chondroitin Sulfate의 구조에 대한 흡수분공학적 연구

        박희억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4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3 No.1

        Chondroitin sulfate A (CSA)와 chondroitin sulfate C (CSC)의 존재하에서 methylene blue (MB)와 acridine orange (AO)의 metachromatic 현상이 흡수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연구되어졌다. P/D 값의 변화에 따른 meta-band의 특성적 변화가 발견되어졌고, stacking 이론으로 설명되어졌다. 수용액내에서 CSA의 가장 안정한 구조와 CSA에 binding 된 MB 및 AO의 stacking 모형과 dimension을 제안하였다. The metachromatic behaviour of methylene blue (MB) and acridine orange (AO) in the presence of chondrotin sulfate A (CSA) and chondroitin sulfate C (CSC) has been studied by means of absorption spectroscopy.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meta-band with the changes of P/D value are found and the discussions are made of stacking theory. A stacking model and the dimension of bound dyes on the surface of the CSA are proposed the basis of dimer model of planar aromatic dyes and the most stable conformation of the CSA chain.

      • 유기색소분자를 이용한 Bovin Serum Albumin의 특성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박희억,김지숙,윤인경,최형묵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11 No.2

        유기색소분자들을 prove로 이용하여 bovin serum albumin(BSA)의 정량분석 및 특성적 변화를 흡수 및 형광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유기색소분자들은 methylene blue(MB), thionine(TH), pyronine G(PG), rhodamine B(RB), cristal violet(CV), 그리고 fluorescein sodium(FS)이었다. BSA 0.075 g을 완충용액(pH=7.15)으로 녹여 100 ㎖로 만든 저장용액을 7.0 × 10 exp (-6) M로 고정시킨 각 색소용액에 0. 5, 10, 20, 40 ㎖색 첨가하여 흡수 및 형광spectra를 측정한 결과 평면형 양이온 색소분자인 MB, TH, PG, 그리고 RB 등은 별다른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평면형 양이온 색소분자인 CV는 BSA와의 상호작용으로 metachromasy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이온 색소분자인 FS는 BSA와의 상호작용으로 착물형성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형광 spectra의 결과는 serum albumin의 정량분석에 매우 유용한 prove로 FS가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Using organic dyes, the quantitive analysis and charactertics of bovin serum albumin were studied by the absorption and the emission spectroscopic methods. The organic dyes used as proves in this study were methylene blue (MB), thonine (TH), pyronine G (PG), rhodamine B (RB), cristal violet (CV), and fluorescein sodium(FS). The absorption and the fluorescence spectra of the cationic planar organic dyes such as MB, TH, PG, and RB, fixed at the concentration at 7.0 × 10 exp (-7) M, respectively, were not changed with the addition of the volume of BSA solution, whereas the metachromasy were observed in case of non planar cationic dye of CV.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interaction between cationic planar dyes and BSA. Remarkably, the anionic organic dyes, FS was shown to an interaction with BSA to form a complex and resulted in the difference at fluorescence intensity. This result provide the possibility that FS can be used as a valuable prob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erum albumin.

      • Methylene Blue 및 Thionine과 Sodium Dodecyl Sulfate 사이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구조론적 연구

        박희억 牧園大學校 1995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27 No.-

        The spectral changes of methylene blue (MB) and thionine (TH)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odium dodecyl sulfate (SDS) have been studied by means of the absorption spectroscopy. The spectral changes of these systems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range of concentration of 3.0~6.0 mM of SDS. In the systems of TH-SDS, the characteristic absorption band is observed at the longer wavelenth than that of α-band. According to the exciton theory, it could be explained that MB is bounded to SDS in the parallel form whereas TH bounded SDS in the oblique form.

      • 피코초 시분해 레이저 분광장치의 구성과 그 특성

        고동섭,박희억 牧園大學校 1998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34 No.-

        모드잠금 Nd:YAG 레이저, 고속전자장비, 그리고 광자검출기로써 single photon avalanche diode(SPAD)를 사용하여 피코초 시간 분해능을 갖는 시간상관 단광자 계수기를 구성하였다. 고속전자장비들의 시간요동 제어 상태에 따라서 기기감응함수가 민감하게 변화함을 관측하였으며, SPAD와 광증배관의 감응 특성을 비교한 결과 SPAD가 보다 안정된 시간감응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장비의 기기감응함수의 반치폭은 548 ps였으며, 이는 SPAD의 고유시간분산인 400ps에 의해서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기감응함수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deconvolution에 의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최소 55ps 정도의 형광수명시간도 계측할 것으로 판단되며, 피코초에서 마이크로초까지 넓은 범위에서 형광 소면 과정을 관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Thionine과 Sodium Dodecyl Sulfate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박희억,고동섭 牧園大學校 1998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34 No.-

        Thinoine(TH)과 sodium dodecyl sulfate(SDS)의 복합수용액에 있어서 TH의 농도는 1.0X10??M로 고정시키고 SDS의 농도를 3.0∼5.4mM 부근 사이로 변화시키면, α-band 보다도 장파장 쪽 인 632 nm에 J-band가 관측된다. 그러나 SDS의 농도를 60 mM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이 흡수대는 없어진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흡수분광학적인 방법과 형광소멸 시간 측정법을 결부시켜 검토한 결과 5.4∼6.0mM 부근 사이에서 SDS의 급격한 구조변화가 일어나 bound TH 분자회합체의 배열구조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그리고 5.4∼6.0mM 사이에서 일어나는 SDS-TH 계의 급격한 구조변화는 SDS-TH 계가 dye-rich induced micelle을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Methylene Blue의 Metachromasy에 관한 흡수 분광학적 연구 : (화학평형과 Dimer의 구조)

        朴鍾會,朴熙億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2 忠南科學硏究誌 Vol.9 No.1

        The special change of methylene blue in aqueous solution with concentration change is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dimerization equilibrium in concentration range 10^-6 to 10^-3 mole·ℓ^-1 and the dimerization constant, K_D, calculated by the method of trial and error is found to be 8.31×10^3. The absorption curves of their monomeric and dimeric states are empirically calculated respectively and these are explained in terms of the molecular exition theory. The spectral shift due to the formation of dinner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expection which is mad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of the dimer has a parallel plane configuration. The dimension of the dinner is also using the excition theor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nomers in dimeric system is calculated with various staggering angle. These results have been found reasonable is comparison with the results in recent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