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와 색상의 복합형 필터를 이용한 제방 LiDAR 측량 데이터의 식생 영상 제거 기법 연구

        박희성,이두한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2

        Terretial LiDAR surveying is highly useful for maintenance of civil facilities as it can easily detect the temporal deformation of structures or topography. However, for river facilities such as levess,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eformation of the topography or structure under vegetations due to the influence of vegetation. Vegetation filters can be divided into color filters and morphological filters. In this study, combined filters with color and morphology are develop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vegetation filters. 8 color filters, 6 morphological filters, and 4 combined filters are applied to the vegetation removal on the embankment slope, and their accuracy and calculation time are compared. Color filters show a short calculation time, but the accuracy was low in the vegetation area. Morphological filters show high accuracy in the vegetation area, but low accuracy in places with severe local topographical changes such as heavy rocks. Combined filters also show a tendency similar to morphological filters, but in the case of ExGGM, the accuracy is excellent in both the vegetation and rock area. Considering the accuracy and calculation time, the combined filter ExGGM is suitable for general cases, and the shape filter GrMIn or the complex filter ExGISL is suitable for cases where the local topographical change is not severe. 지상 LiDAR 측량은 구조물이나 지형의 시간별 변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토목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제방과 같은 하천시설물은 식생의 영향으로 식생 하부의 지형이나 구조물의 변형을 파악하기 어렵다. 식생 제거 필터는 색상필터와 형태필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필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색상과 지형을 결합한 복합필터를 개발하였다. 8개의 색상필터, 6개의 지형필터, 4개의 복합필터를 제방 비탈면의 식생제거에 적용하여 정확도와 계산시간을 비교하였다. 색상필터는 계산시간은 짧으나 식생 영역에서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형태필터는 식생 영역에서는 정확도가 높으나 거석 등 국부적 지형 변화가 심한 곳에는 정확도 낮게 나타났다. 복합필터도 대체로 지형필터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나 ExGGM의 경우 식생 영역과 거석 영역 모두에서 정확도가 우수하였다. 정확도와 계산시간을 고려하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복합필터인 ExGGM이 적합하며, 국부적인 지형 변화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형태필터인 GrMIn 또는 복합필터인 ExGISL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 Landscape Garden Culture of the Hanyang Kyŏng Hwa Sa Jok (京華士族) of Late Chosŏn, as Exemplified by Kim Cho-sun (金組淳)

        박희성,서영애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3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9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importance of the Capital Hanyang pervaded the late Chosŏn Dynasty. Kyŏng Hwa Sa Jok(京華士族),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llectuals who lived in Hanyang and suburbs, freely exchanged knowledge regardless of political factions and had tendency to pursue practical and rational cause.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various literary tastes and collecting culture, which were related to the taste of the Chinese scholars,were in vogue. Garden culture, prevalent among the Kyŏng Hwa Sa Jok, also parallels that of the Chinese scholars, for it represented the desire to be secluded while remaining to be power elites. However, instead of making artificial gardens, Kyŏng Hwa Sa Jok borrowed natural landscape into the garden and appreciated it.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Hanyang, where beautiful landscape harmonized with cityscape, enabled it. At their residences located at the foot of mountains adjacent to the royal palace, they had chance to appreciate various features of landscape and made a rigorous and simple living space based on the Confucian order. The life of Kim Cho-sun, a representative man of power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s well as a member of Kyŏng Hwa Sa Jok, reveals this characteristic. He was magnanimous and liberal man to make a friendship regardless of age and political factions. Every part of his residence Okhojŏng reflects Confucian dignity and reveals Taoist seclusion culture.

      • KCI등재

        수당(隋唐) 장안성(長安城)의 도성 형식과 수체계에 관한 연구

        박희성,Park, Hee-So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수당의 장안성이 전근대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왕도로서의 권위를 확보한 전통적 이데올로기가 공간에 이상적으로 체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안성의 형성과 도성 형식에 자연환경요소가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살피고, 수로 조성에 대한 제반 고찰을 통해 장안성의 수체계가 도성의 위상 형성과 도시의 기능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알고자 하였다. 수당 양대(兩代)를 거치면서, 장안성 일대는 '거(渠)'라는 수리시설을 통한 정교한 수체계가 구축되었다. 이 수리시설은 원(原)과 하천이 발달한 주변 환경을 적절히 이용한 것으로, 주로 관개용수, 도시생활용수, 원림조성의 기반시설, 저류시설 등의 도시 시설로 세분화하여 계획되었다. 이들은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장안성의 도시 경쟁력에 일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기반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편리하고 윤택한 삶의 질을 보장하였다. 또,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경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수체계의 이러한 도시적 효과는 곧 도성의 위상 제고로 이어졌다. 장안성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수체계 구축을 통해 도시적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수도로서의 위상을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평가받을 만하다. The research described in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elemen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hang'an, how its water system reinforced its status as the capital city, and what role it took for its urban function based on studies of the canal constructions. During the period of Sui and Tang, Chang'an built a sophisticated water system using Qu(渠), the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water system, hills are called Yuan(原), and rivers with the proper environment to be developed plan into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irrigation water, urban living water, the composition of garden-based facility, reservoirs, and others. They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consequently, increase the city's competitivenes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urban infrastructure, serving as a convenient source and ensuring the quality of life was abundant. So, the urban effects of the water system have raised the capital's status. With the contribution of its pragmatic water system, Chang'an not only performed its urban function brilliantly, but also established itself more firmly as a capital city.

      • 한우 체외수정란의 배양조건이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희성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6 農業技術硏究所報 Vol.9 No.-

        본 연구에서는 도살장에서 도살되는 한우의 난소를 적출하여 난소로부터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여 체외성숙 및 체외수정을 시킨 후 TCM-199 및 Hams-10 배양액에 FCS와 OECM을 첨가하여 한수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기 4-세포기까지의 발달율은 Hams-F10 배양액에 10% FCS를 첨가하여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을 때가 83.8%의 발달율을 보여 TCM-199 배양액에 10% FCS 첨가, TCM-199 배양액에 10% FCS 첨가하여 난관상피세포피와 공배양 및 Hams-F10 배양액에 10% FCS를 첨가하였을 때 각각 70.2, 73.5, 78.9%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배반포기 단계까지 발달한 체외수정란은 TCM-199 및 Hams-F10 배양액에 10% FCS 만 첨가하였을 때에는 전혀 없었으며,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을 때는 각각 18.6 및 15.4%의 발달율을 보였으나 기본배양액간에는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TCM-199 및 Hams-F10 배양액에 10% FCS를 첨가하여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각각 97.6±1.3 및 96.2±1.7개의 할구수를 보여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체외수정란의 배반포기로의 발달을 위한 배양조건은 TCM-199 또는 hams-F10 배양액에 10% FCS를 첨가한 배양액으로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 the effects of culture condition and cell numbers of Korean native cows and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1VF bovine embryos. The fertilized oocyts were in vitro cultured with media(TCM-199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s or Hams-F10) for 7∼9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developmental rates(18.6 and 15.4%) of embryos cultured in TCM-199+10% FCS+OECM and Hams-F10+0% FCS+OECM up to blastocyst stage were higher(P<0.05) than the other culture condition. The total cell numbers of embryos cultured in TCM-199_10% FCS+OECM and Hams-F10+10% FCS+OECM were 97.6±1.7,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 건설엔지니어링 해외진출 지원조직 비교분석

        박희성,환표 한밭대학교 건설안전기술연구소 2004 건설안전기술논문집 Vol.4 No.-

        This paper aiIDS to derive and analysis for rational hydrograph and design flood discharge by relating of the rainfall-runoff model and flooding routing at small watershed in urban region. HEC-HMS (Hydrologic Modeling System) was applied to study area as a derived devices of the optimum design discharge from precipitation-runoff model through small urban catchment of the SIWHA reservoir upper drainages. Rational analysis of rainfall-runoff and flood routing that must be determined and selected in order to design for exactly hydraulic structural as the conditions precedent a optimal design-rainfall and a precipitation-runoff model and a rainfall-distribution pattern. This study area also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ized design discharge for rationa1 countermeasure on flood and draught control of reservoir as the drainage area with a inf10w from around catchment of the SIWHA reservoir. Cumulative rainfall-distributions in duration were examined with the analysis method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chara teristics using a long term data by the precipitation measured stations. As a result, the optimal pattem for cumulative rainfall-distribution in duration was determined by the HUFF method have got maximum precipitation. And rational design flood discharge also can be calculated for the cumulative rainfall of duration by carrying out to a runoff-analysis and a flood routing in study drainage.

      • KCI등재

        K번째 최근접 표본 재추출 방법에 의한 일 강우량의 추계학적 분해에 대한 연구

        박희성,정건희,Park, HeeSeong,Chung, GunHui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4

        산업의 발전에 따라 기반시설 및 인구 등이 대도시에 밀집되어, 도시홍수방어는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재산피해 저감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요즘은 이러한 도시유역의 유출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시강우나 분단위의 강우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같은 미래 강우시나리오는 현재 일단위 수준으로 제공되므로 미래 강우에 대한 확률빈도 해석에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 기법을 이용해 일강우 자료를 시강우 자료로 분해하고자 하였다. 일자료를 시자료로 분해하기 위해 과거 시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Gram Schmidt 변환과 K개의 최근접 표본 중 하나를 재추출하는 비모수적인 기법(KNNR)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연유출량을 월유출량으로 분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강우자료는 유출량 자료와 달리 확률밀도가 작아 일강우를 시강우로 분해하는 데 직접 적용하는 경우 결과가 실제와 유사한 통계 패턴을 갖는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해하고자 하는 일자의 전일과 후일을 포함한 3일 강우패턴을 7개로 구분하고 동일 패턴을 가진 자료들만 분해에 이용하도록 하여 강우자료에 대한 적용성을 높였다. 과거 52년간의 서울기상관측소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자료의 분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분해된 시강우 자료가 관측된 시강우자료와 통계적으로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자료의 시강우 분해 등에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도시유출에 대한 빈도해석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infrastructures and populations are the condensed in the mega city, urban flood management becomes very important due to the severe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For the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runoff from the urban catchment, hourly or even minute rainfall data have been utilized. However, the time steps of the measured or forecasted dat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longer than hourly, which causes the difficulty on the application. In this study, daily rainfall data was disaggregated into hourly using the stochastic method. Based on the historical hourly precipitation data, Gram Schmidt orthonormalization process and K-Nearest Neighbor Resampling (KNNR) method were applied to disaggregate daily precipitation into hourly. This method was originally developed to disaggregate yearly runoff data into monthly. Precipitation data has smaller probability density than runoff data, therefore, rainfall patterns considering the previous and next days were proposed as 7 different types. Disaggregated rainfall was resampled from the only same rainfall patterns to improve applicability.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rainfall data observed at Seoul weather station where has 52 years hourly rainfall data and the disaggregated hourly data were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The proposed method might be applied to disaggregate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 KCI등재

        조선 先農壇 훼손과정으로 본 東郊의 도시재편 양상\

        박희성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1

        This paper chronologically examines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prototype and symbolic status of the Donggyo(東郊) and Seonnong-dan(先農壇) included Dongjeokjeon site(東籍田) from the Korean Empire times to the 1970’s. Urban reorganization of the Donggyo by land use change of the Seonnong-dan area is investigated in this paper. Seonnong-dan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 sites in Hanseong(capital of the Joseon) as it held both Seonnong ritual to wish for a good harvest and the Chingyeong ritual(親耕禮) to encourage agriculture. However,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abolition of the ritual, Seonnong-dan and its area lost its symbolic importance. The altar took its complete form in the reign of Seongjong and seemed to be located to the south of the present juniper. Though the ritual was abolished in 1908, Seonnong-dan was well preserved when the Emperor Sunjong held the Chingyeong ritual two times in 1909 and 1910. However, with the construction of roads, tree planting and mulberry field, landscape of neighboring area has chang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ericultural laboratory in 1916,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the Seonnong-dan area. The Altar was abandoned in the mulberry field, and the Seonnong-dan was dama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ormitory of the Gyeongseong Normal School for Girls in 1939.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and College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one after another established on the site of the Gyeongseong Normal School for Girls, and the Seonnong-dan has already lost its original form. It seems that the Seonnong-dan was relocated to the present place in the 1960’s or 1970’s. Students called it ‘Cheongryang-dae’ and remembered it as a good resting place with trees and flowers. Relo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o Gwanak Campus began in 1975, and the Korea Housing Corporation divided it to housing site and sold it to the public sector in 1976. The Seonnong-dan became a children’s park remained so to this day. 이 글은 조선시대 동교와 선농단의 물리적 원형과 상징적 위상이 대한제국기 이후 1970년대까지 어떻게 변형되고 훼손되었는지 시대적으로 고찰하고 동적전을 포함한 선농단 일대의 토지 이용 변화를 통해 동교가 도시로 재편되는 양상을 살펴 본 연구이다. 조선시대 수도 한성의 중요 제사처 가운데 하나인 선농단은 풍년을 기리는 선농제례와 勸農을 제창하는 적전에서의 친경례가 함께 다뤄졌기 때문에 그 장소적 의미는 남달랐다. 그러나 국가의 위상에 기대어 상징적 가치를 부여받은 선농단과 그 일대는 조선 말기의 정치적 상황과 제례의 폐지 등의 과정을 겪으면서 한 순간에 존재의 명분을 잃게 된다. 원래 선농제례를 지내는 제단은 성종대에 완전한 형태를 갖추었고 그 위치는 현존하는 향나무를 기준으로 남쪽에 자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1908년에 제례는 폐지되었지만 1909년과 1910년 순종이 두 차례 친경식을 거행할 때까지만 해도 선농단은 온전히 보존되었다. 그러나 친경식을 위한 도로가 신설되고 식목행사와 동적전 桑園 조성 등으로 주변 경관에 변화가 시작된다. 그러다가 선농단 일대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1916년 原蠶種製造所가 세워지면서 부터이다. 이로 인해 제단은 桑園에 묻혀 방치 되었고 1939년 경성여자사범학교 기숙사 설립으로 선농단은 1차 훼손된다. 해방 이후, 학제 개편으로 경성여자사범학교 자리에 서울사대부고와 서울사범대가 차례로 들어서 한동안 학교 부지로 이용되는데 이때 선농단은 이미 원형을 대부분 상실하였다. 그리고 선농단은 1960~70년대 사이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이곳은 ‘청량대’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학생들에게는 나무와 꽃이 좋은 휴식공간으로 기억된다. 1975년에는 서울사범대가 관악캠퍼스로 이전을 시작하고 대한주택공사가 1976년에 이 일대를 택지로 분할하여 일반에게 매각하였다. 그리고 선농단은 어린이 공원으로 결정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