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ression of Clusterin in the Salivary Gland under Restraint Stress

        박희경,전양현,홍정표,어규식,Park, Hee-Kyung,Chun, Yang-Hyun,Hong, Jung-Pyo,Auh, Q-Schick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2008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3 No.3

        The belief that stress leads to illness has a long history. A number of the orofacial disease are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stress. Despite research in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the orofacial diseases leading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pathology remains vague.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 of clusterin, a stress protein responsible for antiapoptosis and cytoprotection, under restraint stress condition was observed in the submandibular gland, one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normal group and restraint stress group. The rats of restraint stress group were placed in the stress cages and then sacrificed at day 0, 3 and 5 day of the experiment. After that, the submandibular glands of all the rats were excised immediately. The levels of clusterin proteins and mRNA in the tissues wer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Northern blot analys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immunohistochemistry, clusterin protein was detected only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of restraint stress. 2. In the restraint stress group, at day 3 and 5, histologically apoptosis was induced with karyorrhectic and pyknotic changes. 3. By the restraint stress, acinic cells were destructed earlier than ductal cells. 4. In the Northern blot, mRNA of clusterin was expressed only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of restraint stres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as an early response to stress, clusterin is expressed in the glands to protect the glandular cells from the stress. But if stress is so strong and prolonged that it can exceed the stress adaptability of the cells, then the cells may undergo apoptosis instead of producing clusterin.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복막투석 중인 소아에서 발생한 서혜부 탈장의 임상상

        박희경,정규환,문석배,정성은,박귀원,Park, Hee-Kyung,Jung, Kyu-Whan,Moon, Suk-Bae,Jung, Sung-Eun,Park, Kwi-Won 대한소아외과학회 2009 소아외과 Vol.15 No.2

        Peritoneal dialysis (PD) has been utilized for the children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Nevertheless, it is thought to promote inguinal hernia by increasing intraabdominal pressur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guinal hernia in children on PD, 155 cases of PD in children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7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guinal hernia developed in 16 cases (10.3 %, M:F=8:8). Hernia occurrence was not correlated to age. Eleven cases (69 %) of inguinal hernia developed in first 6 months after initiation of PD. All inguinal hernias were surgically repaired. No complications occurred related to inguinal hernia or surgery. Recurrent hernia developed in 1 patient (6.3 %) of 2 cases who had PD postoperatively on the day of surgery. In conclusion, inguinal hernia developed more frequently with children on PD than general population (3.5~5 %). The rate of hernia development was highest within the first 6 months following initiation of PD. After repair of hernia, we recommend to discontinue PD immediate postoperatively to prevent recurrence.

      • KCI등재

        The Application of the Forensic Dental Identification to Unidentified Individual Remains in Korea

        박희경,Park, Hee-Kyung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2006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1 No.1

        The cases of unidentified individual remains submitted to Forensic dentistry section in National Institut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Korea were analyzed to study the application of forensic dental identification into individual identification in the period 2002-2005. The identification cases of unidentified remains were 405 out of 493, which accounted about 82% of whole cases. The incidence of submission of skeletons at least including the skull was increased from 58% in 2002 to 80% in 2005. The numbers of cases for the full examinations were 4 times more than that for age estimation in 2005. Twenty-four cases were submitted for skull to photographic superimposition and 15 out of 24 cases were examined, and the other 9 cases were examined by DNA analysis only. The submitted cases for dental comparison were 23 cases, 9 cases were positively identified, 4 cases were possible, 7 cases were excluded, and 3 cases ended up with insufficient evidences. The proportion of positive identification by dental methods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9% in 2002 to 46% in 2005. Forensic dental identification has become important and useful because the availability of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has been increasing. Compared to DNA analysis, forensic dental identification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no needs for high cost equipments and low expenses. And the interpretation of results is straightforward and speedy. These advantages are based on using primary their own dental records of the individuals rather than secondary DNA reference samples from family members. The application of the forensic dental identification to unidentified individual remains will be increased because the dental comparison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DNA analysis and skull to photographic superimposition in many cases. In order to obtain positive identifications of unidentified remains, a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forensic scientists is important. The systemic approach including legislation to preserve dental records of unidentified remains and missing persons for the identification of unidentified remain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유량의 변화에 따른 탈산소계수 및 재폭기계수가 임계용존산소량에 주는 영향

        박희경,남궁완 ( Hee Kyung Park,Wan Namkoong ) 한국물환경학회 1995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1 No.4

        Wasteload allocations(WLA) and total maximum daliy load(TMDL) determined with the lowest streaflow(e.g., 7Q10) may violate water quality standards as streamflow increases. Traditionally, streamflow increase is considered to monotonically improve the worst water quality (e.g., dissolved oxygen) which occurs at the lowest streamflow. This conventional worst case assumption might not be held because of parameter changes with streamflow increase which include increased non-point source discharges, varying decay (k₁ and reaeration (k₂ coefficients and reduced residence times. These parameter changes were hypothetically tested here to see the possible violation of the as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nless the dependence of decay coefficient on streamflow is high and positive($gt;0.11), the worst case assumption will be valid in most natural channels. However, in highly regulated and polluted streams, the possibility of the violation was also observed. Since some of our major streams are well regulated for many purposes and sometimes observed highly polluted,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use of the lowest streamflow might be inappropriate for wasteload allocations. Rather, a trial and error approach is suggested. The approach develops wasteload allocation plans; tests them for a number of low streamflow conditions; and finds a best one. For this, computer models will be iteratively u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박희경 ( Hee Kyung Park ),최진영 ( Jin Young Choi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가면의 고백 - 한스 울리히 트라이헬의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주해

        박희경 ( Hee Kyung Par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4 獨逸文學 Vol.132 No.-

        부모님은 2차 대전 직후 피난길에서 어린 아들을 잃었다. 서독에 정착한 후에 태어난 아들이 있으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부모님은 오랜 시간 실종된 아들을 찾기 위해서 헛되이 애쓴다. 한스 울리히 트라이헬의 소설 실 종자 (1998)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는 과정이 둘째 아들이자 일인칭 화자인 ‘나’의 시점에서 이야기된다. 여기에는 작가의 부모님이 그런 일을 겪었다는 자전적인 체험이 있다. 그러나 작가는 마흔이 되어서야 비로소 임종을 맞이한 노모에게서 형의 실종을 들었고, 노모의 고백이 동기가 되어 자신의 유년기에 ‘없었던 이야기들’을 찾는다. 트라이헬은 후속작인 인간비행 (2005)과 아나 톨린 (2008)에서도 형의 실종을 반복해서 다루는데, 작품들은 실종을 둘러싸고 일어났던 사실적인 팩트와 그것을 재구성하는 허구적인 픽션의 사이에서 독자 와 숨바꼭질을 벌인다. 그는 독자를 끊임없이 ‘자전적인 독서’로 유도하는 한 편 파라텍스트로써 자신의 글쓰기를 완벽한 픽션인 소설로 규정한다. 본 논문 은 국내 트라이헬과 관련한 첫 연구나 다름없는 만큼 그의 자전적이지만 허구 인 글쓰기의 패러독스를 살펴봄으로써 후속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자서전의 장르는 체험의 진정성을 보장하는 고백이며, 이 의미 의 자장 안에서 자전적인 글쓰기는 작가가 허구를 배제하고 체험을 드러내는 글쓰기로 이해된다. 그런데 트라이헬은 개인적인 체험은 ‘아직 의미 없음’이라 는 세계관 및 작가적인 미학의 관점에 근거해서 자신의 자전적 글쓰기를 자서 전적인 고백과 구별한다. 그에 의하면 작가의 현재를 이루는 것은 과거의 실제 경험들뿐 아니라, ‘경험하지 못했던 경험들’이며, 글쓰기의 본성은 ‘상상한 경 험의 재구성’에 있다. 자전적인 글쓰기는 삶의 진실에 이르고자 하는 작가의 목표에서 생겨난 문학의 본질적인 전략으로서, 살아보지 못했기에 고백의 어 휘들 안으로 포획되지 않는 경험들을 추적하고 수색하는 지난한 과정을 가리킨다. 트라이헬은 현실이 아니지만 실재한, 그리고 현실에 지속적으로 작용했던 경험의 정체를 찾기 위해서 ‘가면의 고백’이라고 부를 수 있는 재구성의 방 식을 택한다. 실종자 에서 일인칭 화자인 ‘나’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형 때문에 부모의 관 심을 제대로 받지 못하며 주어온 자식처럼 자란다고 여긴다. 이야기의 표면에 머무른다면, 실종된 형을 찾는 과정은 나를 잃어버리는 과정에 진배없다. 부모 는 보지도 못한 한 고아를 실종된 아들이라고 믿고 친자관계의 증명을 위해서 각종 검사들을 받는다. (친자관계가 증명되어야만 만날 수 있다.) 그런데 검사를 할 때마다 친자관계를 증명하기는커녕 화자인 ‘나’와 고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확률로 형제일 수 있다는 결과들만 나온다. ‘나’는 알지 못하는 형이 자신의 삶을 지배한다고 느끼게 된다. 본 논문은 이를 자아상실로 보지 않고, 그 반대로 일인칭 화자가 형에게 온갖 부정적인 감정들을 투사하는 점에 주목하면서 형(의 부정)을 통한 자아의 구축으로 해석한다. 화자인 ‘나’는 형 때문에 자신 의 삶이 위협받고 형이 없으면 본래의 자신이 될 듯이 여기지만, 그는 형이라 는 부정적인 대립체를 만듦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해서 눈뜨고 알게 된다. 투사 가 반복될수록 형은 점점 ‘나’와 같아지고 마침내 ‘또 다른 나’가 된다. ‘나’가 자신으로부터 배척하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형에게 투사하는 과정은 곧 ‘나’가 자신을 인식하고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에 다름 아닌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은 형을 일인칭 화자의 ‘나’를 드러내는 가면이라고 본다. 나아가 실종자의 일인칭 화자 ‘나’는 작가적 ‘나’의 가면과 같은 역할 한다. 작가는 소설 의 일인칭 화자를 통해서 자신을 보이지만, 일인칭 화자의 뒤에서 찾을 수 없다. 가면의 고백이 자기모순이듯이 트라이헬의 ‘나’는 작가로서 허구의 고백을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박희경 ( Hee Kyu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총론과 각론 개발자들의 숙의 과정으로 보고, 이에 대한개발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발자 11명, 각론 개발자 18명, 교육부 관계자 1명, 총 30명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개발자들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은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설정, 총론과 각론 개발자들 간 의사소통,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의 해석 및 적용 과정, 교과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측면에서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개발 과정의 개선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총론과 각론의 상시적인 소통과 협력적 연구 기회 확대를 통해 공동의 이해 기반을 마련하고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어젠다를 함께 설정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교과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이 설정되기 위해서는 숙의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들이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야 하며 이를 통해 충분한 플랫폼의 공유가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결과에 대해 총론과 각론의 공동 반성이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또한 총론과 각론의 협력 체제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procedure for the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developers of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to analyze perceptions of the deliberation proc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from the general guideline 2015 national curriculum, 18 participants were from subject curricula, and one participant was from the official Ministry of Education to analyze cogn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curricul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basis for common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in the subject by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and by expanding cooperative research opportun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genda. Second, to formulate development guidelines that take into account numerous subjects, various perspectives must be clarified during the deliberation process to share the platform adequately. Thir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combining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 현대 건축공간의 표현특성 및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박희경(Park, Hee-Kyung),공순구(Kong, Soon-K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In this stud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component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and concept, origin and theoretical thought of various scholars being represented in modern history its content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a case study was first progressed based on internal main space of cultural, commercial facilities that are target of general public among various facilities of modern architecture being represented recently. Though the contents being extracted and analyze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how such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e recently selected cases will be analyzed and as its result, how important its role would be in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external architectural space will be verified. In other words, internal, external relationship may be formed either positively or passively depending on an effect of components determining facility of architectural space and light as external component on its contents. by such relationship play an important role in assigning essential meaning of architectur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