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초·중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인식 비교

        박후휘(Hoo Hwi Park),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으로서 교사 실천사항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초·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학습과 발달, 평가,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학습환경,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계발의 6개 영역과 각 영역별 교사 실천사항에 대해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등교사 모두 학습과 발달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행도는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영역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만큼 실행도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프로그램 운영 영역은 초·중등교사 모두 가장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가장 덜 실행하고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영역 내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순위는 초·중등 교사 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가적 기준이 없는 우리나라 영재교육 상황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practic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ming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more highly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d in six areas(Learning & Development, Assessmen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Learning Environment, Programm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 practices in each area. Second,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greed that Learning & Development was the most important area, but it had lower performance. They also recognized tha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was performed well as much as its importance. Whereas,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Programming had the lowest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areas. Thir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different priorities for teachers’ practices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practic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the absence of national standard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교사 관찰ㆍ추천에 의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 대한 초중등 교원들의 인식

        김일(Eel Kim),박후휘(Hoo Hwi Park),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ㆍ추천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부산지역 초ㆍ중등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ㆍ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ㆍ중등 교원들은 교사 관찰ㆍ추천에 의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식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한계에 대해 우려하는 양가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사 관찰ㆍ추천제를 통해 '영재 선발 신뢰 회복'이 가장 가능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관찰ㆍ추천제 시행시 운영상의 문제'가 가장 한계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재교육기관 관리자들은 교사들보다 교사 관찰ㆍ추천제의 가능성은 높게 평가하고 한계는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교원들은 적절한 영재교육 대상자 비율을 3% 이내로 생각하고 있었고, 이 비율에 대한 의견에 따라 교사 관찰ㆍ추천제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 차이가 있으며, 중등교원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넷째, 영재교육기관 유형별 지도 경험에 따라 교사 관찰ㆍ추천제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경력, 영재교육 직무연수 이수시간 및 영재 지도 경력은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 관찰ㆍ추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방식에 대해 56.1%는 수정ㆍ보완하면서 계속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면 시행에 대한 의견에 따라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교사 관찰ㆍ추천에 의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식을 영재교육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ossibilities as well as limitations regarding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ve ambivalent opinions with regard to their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They believe that 'restoring confidence in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is the highest possibility, and that 'the operational problem in implementing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is the highest limitation. Second, administrators in gifted education institutes estimate the possibilities more highly, but the limitation of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more less for the gifted compared to teachers. Third, most teachers think that the appropriate ratio of the gifted is less than 3%. According to the opinions on this ratio,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regarding the possibilities and the different pattern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result appears prominently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possibilitie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s in various types of gifted education institutes. Further,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ossibilities or limitations and teaching careers, and the training hour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or careers in gifted education. Fifth, 56.1% of teachers believe that the system of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should be continuously implemented through revisions in the entire realm of gifted education institutes. According to the opinions on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Hence,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nsider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election systems for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