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주요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구상나무, 분비나무) 고사현황 조사 : 설악, 덕유,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김진원(Jin-Won Kim),전자영(Ja-Young Jeon),박홍철(Hong-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우리나라 구상나무 및 분비나무군락은 한라산을 제외하면 백두대간 마루금을 중심으로 국립공원 고지대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구상나무는 지리산과 덕유산국립공원, 분비나무는 설악산국립공원에 비교적 넓은 면적이 분포한다. 따라서 두 수종에 대한 생육상태를 파악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국립공원 자연자원의 보전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국립공원 내 서식 중인 구상나무와 분비나무군락에 대한 수년간의 고사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아고산생태계의 과학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상록침엽수 고사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의 구상나무 고사 및 쇠퇴현상은 매년 나타나고 있으며, 2014년과 2015년에 상대적으로 높은 고사율을 나타냈다.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역시 편차는 있지만 구상나무와 마찬가지로 고사현상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관모능선과 설악폭포 지역의 고사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설악산 또한 2012년와 2014년에 상대적으로 사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정 연도에 고사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인으로는 태풍, 가뭄, 홍수, 강풍 등과 같은 기상이벤트에 의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이벤트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욱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Excluding Halla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communitie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high elevation of the National Park on Baekdudaegan mountain. Abies koreana is distributed in Jirisan and Deogyusan National Park, and Abies nephrolepis is distributed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refore, grasping and monitoring the growth status of both species is important in terms of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Korea National Park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rtality of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inhabitant. The mortality and decay of Abies korean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Deogyusan National Park occur every year, with relatively high mortality rates in 2014 and 2015. 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are also different, but the death phenomenon has been confirmed like Abies koreana. In particular, the death phenomena in the Gwanmo Ridge and Seorak Falls continue to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2012 and 201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s a factor in which the mortality rate was relatively high in a specific year, it is assumed that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typhoons, droughts, floods, and strong wind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grasp the relationship with the meteorological event, and longer-term monitoring data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is assumption.

      • KCI등재

        한국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수목 탄소저장량 평가

        이상진,박홍철,박관수,김현숙,이창민,김진원,심규원,최승운,Lee, Sang-Jin,Park, Hong-Chul,Park, Gwan-Soo,Kim, Hyoun-Sook,Lee, Chang-Min,Kim, Jin-Won,Sim, Gyu-Won,Choi, Seung-Woon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for trees in forest ecosystem to support the foundation for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Korea National Park. It targeted 22 national parks designated and managed as national parks in Korea, and conducted research on forest trees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among various natural and ecological carbon sink. The survey and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IPCC guidelines and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Korea. The amount of tree carbon storage in the forest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was confirmed to be about 218,505 thousand CO<sub>2</sub>-ton and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was 570.8 CO<sub>2</sub>-ton per hectare. Compared to 299.7 CO<sub>2</sub>-ton per hectare, the average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of the entire Korean forest, it was found that about twice as much carbon was stored when assuming the same area.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the national park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averag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entire Korean forest. It has great implications in Korea National Park not only provides biodiversity promotion and exploration services as a national protected area, but also performs excellent functions as a carbon sink.

      • SCOPUSKCI등재

        액체의 과열한계 측정과 과열한계에 달한 액적의 거동

        박홍철,변기택,곽호영,Park, Hong-Chul,Byun, Gi-Taek,Kwak, Ho-Young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7 No.9

        The maximum temperature limit at which liquid boils explosively is called the superheat limit of liquids. The superheat limits of hydrocarbon liquids and their mixtures were measured by the droplet explosion technique. Also the fully evaporated droplet at the superheat limit and subsequent bubble evolution from the fully evaporated droplet were visualized. The pressure wave emanating from the evaporating droplet and subsequent bubble evolution process were measured by a piezoelectric transducer.

      • SCOPUSKCI등재

        용액환원법에 의한 Sn0<sub>2</sub> 2차원 나노구조의 합성과 가스 감응 특성

        박홍철,김해룡,이종흔,Park, Hong-Chul,Kim, Hae-Ryong,Lee, Jong-Heun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8

        SnO nanosheets wer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through a reaction between an aqueous solution of $SnCl_2$, $N_2F_4$, and NaOH and were converted into $SnO_2$ nanosheets without a morphological change. The SnO nanosheets were formed through a dissolution-recrystallization mechanism. Uniform and well-dispersed SnO nanosheets with the round-shape morphology were attained when the solution was treated by ultrasonic sound immediately after the addition of NaOH. The $SnO_2$ nanosheets prepared by means of solution reduction under the ultrasonic treatment, and subsequent oxidation at $600^{\circ}C$ showed a high level of gas sensitivity to $C_2H_5OH$ and $CH_3COCH_3$.

      •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생권 종다양성 관계 분석

        박홍철 ( Hong-chul Park ),이상진 ( Sang-jin Lee ),이창민 ( Chang-min Lee ),박관수 ( Gwan-su Park ),심규원 ( Gyu-won Sim ),최승운 ( Seung-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우리나라 산림생태계가 흡수하는 대기 중 온실가스는 약 45백만 톤(`18년 기준)으로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인 7억2천8백만 톤의 약 6.3%를 상쇄하고 있다. 특히 보호지역 내 산림생태계는 오랜 기간 동안 보전·관리되어 온 생물 서식지로서, 자연기반해법 접근방식에 따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완화·적응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다는 공감대가 IUCN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산림생태계는 국토 산림면적의 약 6%에 불과하지만, 탄소저장·흡수 효과는 그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국립공원의 토양은 일반산림에 비해 낙엽층이 높고 토심이 깊기 때문에 토양 내 탄소저장량 역시 일반 산림에 비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거나 비교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에서 작성하고 있는 산림분야 온실가스인벤토리가 있지만 토양은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탄소에 대한 국가나 지역적 통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육상 생태계 주요 서식지 유형별 토양권 탄소저장량을 평가하였으며, 나아가 각각의 조사구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종의 다양성과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어떠한 관계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립공원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기반해법 접근 및 기후변화 대응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국립공원(22개 공원, 222개 조사구) 내 육상생태계 중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산림지역은 다시 침엽수군락, 활엽수군락, 침활혼효군락, 인공조림지,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으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각 공원별 자원특성을 고려하여 산지습지와 초지를 추가로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21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토양시료 채취와 식생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와 형태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각각 30m인 정사각형태의 방형구이며, 동일 조사구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위한 매목조사와 토양권 탄소저장량 평가를 위한 토양유기물, 토심별 토양시료 채취를 병행 실시하였다. 시료채취는 방형구 내 대표지점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방형구의 토양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국립공원의 토양깊이와 토양탄소 수직변이도 감소를 감안하여 토심 50㎝ 까지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단, 모재층이 50㎝ 이전에 나타나면 모재층 전까지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후 건조, 석력분리 등 전처리 과정을 거쳐 조사구별 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으며, 각 공원별, 유형별 면적을 고려해 토양권 탄소저장량을 최종 도출하였다. 식물종다양성은 동일 조사구 내 생육하고 있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Shannon 지수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22개 전 국립공원 육상생태계의 토양권(유기물 층 포함)은 128백만 이산화탄소톤으로 분석되었다. 단위면적당 저장량은 ha 당 332.2 이산화탄소톤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산림의 ha 당 토양권 탄소저장량인 173.1 이산화탄소톤보다 약 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22개소 각 조사구별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식물종다양성과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토양권 탄소저장량이 높을수록 식물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탄소저장기능과 생물다양성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 같이 생물다양성이 높은 산림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장·흡수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연구

        허학영(Hag Young Heo),조우(Woo Sho),전근철(Geuncheol Jeon),최윤호(Yoonho Choi),유병혁(ByeongHyeok Yu),김미리(Miri Kim),심규원(Kyuwon Shim),장진(Jin Jang),박준효(Joonhyo Park),윤주웅(Juung Yun),박홍철(Hongcheol Park),남승민(Seungmin Na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보전 및 탐방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관련 논의 및 정책 동향 분석, 마루금 통제구간에 대한 현장 조사, 대국민 인식조사 및 관련 사례 고찰을 수행하였다. 대중의 관심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신문기사(1991-2019)와 검색량(2004-2019)을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을 언급한 기사는 총 38,358건이었으며, 종주를 함께 언급한 기사는 1,413건(4%정도)이었다. 검색량에 있어서 2010년 이후 백두대간과 종주에 대한 검색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통제구간을 포함한 연간 종주 인원은 400 여명으로 추정되며,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백두대간에 대한 인지도는 73.5%인반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대한 인지도는 42%로 상대적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69.1%의 응답자가 백두대간에 대한 방문 경험이 있으나 종주 목적의 방문은 15.7%로 상대적으로 낮으며, 향후 백두대간 종주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24.8%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의 보전성⋅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4개 공원 11개 구간 모두 전반적으로 보전성이 우수하며, 안전성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위험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정책으로 ①“백두대간 마루금 종주 탐방문화”의 전환 추진, ②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 보전 수단 강화, ③“고지대능선부 탐방로의 효과적 관리 방향” 도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④통제구역의 효과적 출입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policy measures to effectively conserve and sustainable use the Baekdudaegan in National Park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policy trends, public awareness survey, on-site survey, and so on. As a trend of public concern, From 1991 to 2019, there were a total of 38,358 articles mentioning Baekdudaegan, and 1,413 articles( 4%) mentioning Jongju(successive climbing) together. In terms of search volume, the volume for Baekdudaegan and Jongju has decreased relatively since 2010. The annual number of visitors including the closed section was estimated to be 400. The public awareness survey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was 73.5%, while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Mountains Reserve was 42%. 69.1% have visited Baekdudaegan, however, only 15.7% aim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24.8% of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visit Baekdudaegan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nservation and safety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all 11 sections of the park have excellent conservation values overall, and there are many dangerous areas in terms of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4 policies were suggested; ①to promote the transition of the “Baekdudaegan Visitation Culture”, ②to strengthen the means of conservation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in the National Park, ③to sketch a pilot project to derive “effective management directions of ridge trail” ④to strengthen the legal basis for effective access control of the closed section.

      • KCI등재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 및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박홍철(Park, Hong-Chul),이주형(Lee, Ju-H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를 파악하고, 고용경쟁력 평가지표를 통해 지역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는 지속되거나 심화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으로는 수도권 지역과 주요 광역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청 년층 고용의 지역별 경쟁력은 서울(0.622), 충남(0.592), 울산(0.528), 경북(0.514), 경기(0.50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북은 고용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청년층 고용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 의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를 완화하고 경쟁 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고용위험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 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정부는 이를 통해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고용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gional disparity of the youth employment and to regional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via evaluation criteria for employment competitiveness. Summaries of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it has revealed that the regional disparity of youth employment is deepening. Secondly, after the analysis of employment competitiveness, the strongest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Seoul(0.622), followed by Chungnam(0.592), Ulsan(0.528), Gyeongbuk(0.514), Gyeonggi(0.507) and the region of employment risky is Jeonbuk. Lastly,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re supply factors and demand factors. Therefore, we must create new jobs of good quality,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lso region of employment risky should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And the government should determine priorities of employment policies that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is to say, the government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choice and focus.

      • KCI등재

        스쿠버 다이버 특성에 따른 다이빙 활동 전과 다이빙 활동 중 안전 준수 실태

        박홍철(Park, Hong-Chul),황지영(Hwang, Ji-Young),조근자(Cho, Keun-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스쿠버 다이버의 특성에 따른 다이빙 활동 전과 활동 중 안전 준수 실태를 파악하여, 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2012년 9월 21일부터 2013년 8월 16일까지 스쿠버 다이버 227명을 대상으로 동의를 받은 후 설문조 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X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이빙 활동 전 안전 준수 항목 중 ‘음주’, ‘준비 운동 여부’, ‘호흡기 질병 시 다이빙 여부’의 항목은 주로 경력 또는 자격 수준이 높은 경우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반면에, 다이빙 활동 중 안전 준수 항목 중 ‘신체 이상 시 중단 여부’, ‘상승 시 안전 정지 여부’, ‘상승 시 수면과 주변 확인 여부’ ‘분당 상승 및 하강 속도 인지 여부’, ‘알파 깃발 또는 부표 사용 여부’의 항목은 주로 경력 또는 자격 수준이 낮은 경우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스쿠버 다이버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다이빙 경력과 수준을 고려한 차별적이고 정기적인 교육과 점검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education direction for diving safety through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to diving safety before and during scuba diving. The study subjects were 227 scuba div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1, 2012 to August 16,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higher level divers didn't obey regulations: 'alcohol drinking', 'warming-up exercise', 'to dive even when he/she suffers from respiratory disease' before scuba diving. Many lower level divers didn't obey regulations: 'to stop diving under abnormal physical condition', 'to do safety stop during ascending time', 'to check during ascending time', 'to know ascending and descending speed per minute', 'to use an alpha flag or buoy' during scuba diving.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discriminative safety education and to check actual condition to diving safety periodically in consideration of duration and level of d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