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박혜진(Hyejin B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7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 운영의 근간이 되는 국립국어원이 기획한 “표준 한국어”에서의 다문화교육 요소의 반영 양상을학습 내용 및 활동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내용 분석 기준이 되는 다문화교육 요소는 규칙/예절, 상호문화 이해, 도구로써 문화 사용, 한국문화 중심, 기타이다. “표준 한국어”는 한국 문화적 배경의 이해를 강조한 내용적 요소를 크게 반영하고 있었다. 활동 분석은 내용 분석에서 도출한 요소가 어떠한다문화교육 활동으로 반영되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그 기준은 이해 활동, 체험 활동, 내면화 활동이다. “표준 한국어”에 반영된 대다수의 활동은 이해적 측면이었으며, 내면화적 요소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않았다. 따라서 교재 대상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소통을 비롯한 체험 활동을 더욱 반영하여야할 것이다. 교재의 다문화교육 반영적 양상은 전체적으로는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못한것으로 보였다. 이에 “표준 한국어”가 ‘다양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교재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incorpo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 elements in the content and objectives of “Standard Korean”, a textbook series for primary students in the 2017 Korean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 analysis of ME include rules/etiquett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utilisation of culture as a tool; Korean culture-centred; and others. The textbook strongly emphasises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s a key content element. Ac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ree criteria derived from content analysis: comprehension, experiential learning, and internalisation. The activities predominantly leaned towards a comprehensive aspect. To better address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of the learner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incorporated. The reflective aspects of ME in “Standard Korean” appear to fall short of adopting a predominantly intercultural perspective overall.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uld evolve into customized resource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diverse cultures of a variety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