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과 표현활동의 교수역량 구조화 및 교사교육전략 탐색

        박혜연(Hyeyo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체육과 표현활동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사교육관점의 연구로, 표현활동 교수역량을 구조화하고 교사교육전략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델파이 방법에 근거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현활동 교육경력 및 연구경력을 지닌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표현활동 교수역량과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전략에 대해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표현활동 교수역량은 ‘기본역량군’, ‘설계역량군’, ‘실행역량군’, ‘관리역량군’으로 구조화되었다. 둘째,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교육전략 및 현직교사교육전략은 ‘목표적 차원’, ‘내용적 차원’, ‘방법적 차원’, ‘평가적 차원’, ‘환경적 차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표현활동 교수역량은 총체적, 실천적, 특수한 자질로서 독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체계적이며, 차별적인 전략적 접근이 요구됨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표현활동 교수역량 검사지 개발’,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 멘토링 사업 시행’, ‘표현활동 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 개편 및 재정비’의 이론적, 실천적 사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eek a plan for normalization of expression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e the teaching competency of expression activities and explore the strategies of teacher education for promoting this. For this,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0 experts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expression activities, and three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teaching competence of expression activities, the strategi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first, the teaching competence of expression activities was structured into ‘group of basic competence’, ‘group of design competence’, ‘group of execution competence’, and ‘group of management competence’. Second, the strategi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o cultivate this were derived in ‘dimension of goal’, ‘dimension of content’, ‘dimension of method’, ‘dimension of evaluation’, and ‘dimension of environ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competence of expression activities has an distinctive structure as comprehensive, practical, and specific qualities. Based on this study, I propose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such as ‘development of a test sheet for teaching competency in expression activities’, ‘implement of a mentoring program to promote teaching competency in expression activities’, and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for expression activiti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박혜연(Hyeyo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 경험에 대한 이야기는 ‘싹틔움(표현활동과 인연 맺기)’, ‘꽃피움(표현활동 전문가로 성장하기)’, ‘영글음(표현활동 전문가로 살아가기)’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각 주제마다 세부적인 소재가 발견되었다. 둘째, 표현활동 교수역량 함양은 ‘입문 및 형성’, ‘심화 및 적용’, ‘전문 및 확산’의 단계적 성장 과정을 거치며, ‘내적요인(재능, 관심)’과 ‘외적 요인(학습경험, 실천경험, 인적자원)’이 총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에서 표현활동 관련 강좌 개발 및 교육이수 필수화’,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실전 경험 축적 및 현장 수업 사례 공유’, ‘교사 멘토링, 교사 공동체 등의 인적자원의 네트워크와 관련 정책 마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cultivating teaching competence of expression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based on the narrative stud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the experience of cultivating teaching competence are Sprouting(making relationships with expression activities), Blooming(growing as a professional of expression activities), and Ripening(living as a professional of expression activities). And the sub-topics of these stories were discovered. Second, the cultivation of teaching competence goes through the stages of introduction and formation, deepening and application, and specialization and expansion, and is influenced internal factors(talent, interest) and external factors(learning experience, practice experience, human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development of lectures related to expression activities in teacher education and completion of essential education, accumulation of practical experience using micro-teaching and sharing of field teaching cases, and preparation of human resource network such as teacher mentoring, community and related policies.

      • KCI등재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표현활동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사례연구

        박혜연(Hyeyoun Park),조미혜(Mihye J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표현활동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의 설계와 효과를 공유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함으로써 표현활동 교사교육의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학교체육 내에서 표현활동수업을 정상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나대학교 체육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전공필수 강좌 〈표현활동교수법〉 을 수강하는 남녀 3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질적사례연구에 기초하여 참여관찰, 심층면담, 자기보고서, 전문가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준비하기는 ‘수업목표 설정하기’, ‘수업내용 구조화하기’, ‘수업방법 구축하기’로 이루어졌다. 둘째, 수업 돌아보기를 통해 학생들의 변화양상은 ‘표현활동을 이해하기’의 인지적 만남의 단계, ‘표현활동과 친해지기’의 감정적 동요의 단계, ‘표현활동에 스며들기’의 실천적 체화의 단계로 나타났다.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사례를 실천해본 결과, 수업설계와 수업효과 측면에서 가능성을 확인하였지만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구조적 측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 개선 및 수업 설계 방안 검토, 현직교사교육과의 연계 및 의무연수의 시행,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및 실천과 성찰에 기반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 systematically manag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o normalize expression activity class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by sharing the case of university class to enhance teaching activity capac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0 male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ression Activity Pedagogy〉 course, which was opened as a mandatory course for students at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Hana University, as a research participant. Based on case stud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self-reports, and expert meet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paring the lessons was done in three stages. "Setting the goal of the lesson" is a step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ve activity teaching ability. "Structuring the contents of the lesson" is a step of setting up the class stage and composing the contents. "Building a teaching method" is a step in exploring core teaching principles. Second, by looking back on the class, students" change patterns appeared in three stages. The stage of the cognitive meeting of "understanding expressive activity", the stage of emotional fluctuation of "being close to expressive activity", and the stage of practically embodied in "permeating in expressive activity". As a result of practicing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class to strengthen the teaching capacity,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in terms of teaching effect and teaching design, but the limit point was revealed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I proposed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review of instructional design plan, linkag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training, and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소매틱(Somatics) 기반 움직임 교육원리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박혜연 ( Park Hyeyoun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2 No.-

        인간은 몸(soma)으로 세상에 왔고, 몸을 통해 감각하고 사고하며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몸의 감각을 잃고 몸의 지성을 상실하며 병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몸의 생명력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 방안으로, 소매틱스(Somatics)에 관한 이론적 업적 분석을 통해 움직임 교육원리를 탐색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의 실행과 평가는 후속연구로 남긴다. 첫째, 소매틱 기반 움직임 교육원리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교육목표는 `이완, 각성, 깨어있음, 풍성한 삶`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교육내용은 `몸` 그 자체와 몸이 시간, 공간, 관계의 요소로 어우러져 나타나는 `움직임`이 될 수 있다. 교육방법은 학습자의 직접체험에 근거한 일자 체험을 유도하기 위해 묘사, 비유, 설명, 질문 등의 `언어적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체험할 수 없는 부분을 타인을 통해 경험하는 이자 체험을 인도하기 위해 접촉 등의 `비언어적 방법`이 동반될 수 있다. 둘째, 소매틱 기반 움직임 교육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우선 위에서 도출된 움직임 교육 원리를 반영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인 `Soma 4A Program`을 개발하였다. 특히 몸의 총체성, 수직성과 전면성, 균형성과 수평성의 특성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3가지 세부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로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다양한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실천을 위해 사회적 인식의 확산 및 다양한 기관의 공조, 무용교육과의 연계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소매틱 기반 움직임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 되고, 무용인과 일반인들이 자신의 몸을 알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 Human beings think, study, and develop creativity and character somatically. However, at present, many people are pressured and stressed; as a result, they have lost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develop a program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somatics as a practice plan for the recovery of the vitality of soma. First, the principles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are as follows: The goals of education are atony, awareness, awakeness, and abundance.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soma and movement responding to temporal, spatial, and relational factors. The methods of education are composed of verbal methods leading to first-person experience, including description, comparison, explanation, and questions, and non-verbal methods leading to second-person experience, including touch. Second, the program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was as follows: The “Soma 4A program”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principles described above. Specially, three programs were actualized with a focus on characteristics like totality, verticality and confrontation, balance and horizontality, and movement. Finally, we recommend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is program, developing various programs, expanding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and connecting this to dance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represent a small steppingstone in movement research-based somatics, and that it will help dancers and ordinary person to understand the soma through the provision of valuabl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