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과 참여 평가에 관한 고찰 : 연구경향과 활용 전망

        박다솔(Park, Da Sol),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4

        목적 : 본 연구는 국외/국내 노인 대상 연구 중 현재 사용되고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 있는활동 참여 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 추후 연구에서 의미 있는 활동 참여 개념 확립과 평가의 임상적 적용에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RISS, Google Scholar, Pubmed, DBpia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게재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eaningful activity” OR “의미 있는 활동” 을 사용하였으며182개의 논문 중 최종적으로 10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질적 수준 평가를통해 Level Ⅰ~ Level Ⅴ로 분류되었다. 결과 : 10편 중 5편이 최근 5년 이내에 발표된 연구로 의미 있는 활동 관련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행되었음을알 수 있었다. 연구는 주로 작업치료사에 의해 미국에서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비질환군 노인, 성인과질환군 노인이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의미 있는 활동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고목표를 달성하게 하며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활동’으로 정리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과 평가도구의 방향성은 추후 고령화 사회 노인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의‘의미 있는 활동 참여’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ncepts of current use and meaningful activity in the elderly and provide basic data on establishing concept of participation in meaningful activity and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 Using RISS, Google Scholar, Published and DBpia databases,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journal was collected from January 2010 to July 2019. The main search term used was meaningful activity and 10 of the 182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qualitative level assessment study by Arbesman, Scheer and Lieberman (2008), the selected paper were classified as Level I to Level V. Results : Five out of 10 studies were published within the last 5 years, indicating that meaningful activity-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hrough prior studies, the concept of meaningful activities was summarized as those that enable individuals to realize their values, achieve their goals and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in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 The concepts and direction of assessment tool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the study of ‘meaningful activity participation’ as a solution to the aging society’s elderly problems in the future.

      • KCI등재

        작업균형의 개념과 측정에 관한 고찰 : 경향과 치료적 활용전망

        박상미(Park, Sang-mi),박혜연(Park, Hae-Yean),박지혁(Park, Ji-Hyuk)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균형 관련 연구 경향을 알아보고 작업균형의 속성 파악과 함께 건강 및 건강관련 요소와 작업균형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위해 NDSL, Riss, Pubmed, Google Scholar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0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검색용어로 ‘occupational balance’ OR ‘작업 균형’을 사용하였다. 검색 결과로 얻은 223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경향과 작업균형 평가도구가 측정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10편 모두 처치나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조사연구였으며 10편 중 7편이 최근 5년 이내에 발표된 연구로 나타나 근래에 작업균형 연구가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연구의 대상은 성인과 노인이었고, 특정 질환 군이나 기능제약이 있는 집단에서부터 건강한 일반인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작업균형 평가를 위해 측정한 속성에는 시간적 속성, 개인의 작업 수행능력, 작업 성취도, 작업 간 상호관련성, 작업의 다양성, 개인의 수행 능력이나 작업에 대한 희망 정도와 실제 수행 정도 간의 일치성이 있었다. 작업균형의 회복을 통한 대상자의 건강, 참여와 여가,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속성을 갖는 작업균형의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은 작업균형의 다면적 속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전제할 때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연령이나 학력,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개인 일상의 작업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작업 구성에 대한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작업균형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on occupational balance, analyse attributes of occupational balance and verify a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balance and health and health-related factors. NDSL, Riss, Pubmed, Google Scholar were used for searching articles published from October 2007 to September 2016 and ‘occupational balance’ OR ‘작업균형’ were used as search terms. 10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among 223 articles. All of 10 articles were survey researches and it was founded that 7 researches of 10 were published in recent 5 years.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adults and the elderly. The properties were measured to assess occupational balance were time use, personal ability, achievement, interaction between occupations, diversity of occupations, congruence between abilities or degree of hope for occupations and participants’ present occupations.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is first step to improve the clients’ health, participation, leisure, and quality of life by restoring their occupational balance. This is possible when the measurements could assess various properties of occupational balance. It is needed to develop measurements for occupational balance which could show the result of occupational composi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regardless of age, level of education, or cultural influence.

      • KCI등재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박다솔(Park, DaSol),이은영(Lee, EunYoung),이선희(Lee, SunHee),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포괄적인 설문을 시행하여 놀이 인식을 알아보고 각 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놀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설문요청에 동의한 대상자 700명에게 발송하였다. 미회수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6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이 중 106부가 장애아동 부모의 설문지 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dow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이 시행되었다. 결과 : 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녀와의 놀이에 대한 즐거움 인식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간에 큰 점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3). 자녀와의 놀이 참여시간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 부 보다 모와의 참여시간이 많았다. 모의 경우 장애아동의 모가 놀이참여 시간이 더 많았고, 부의 경우 비장애 아동의 부가 더 많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장난감을 사주는 빈도는 ‘보통’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놀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놀잇감을 살 때 고려사항은 흥미 유발, 발달수준, 안전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할 수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부모들이 놀이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알 수 있고,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한 놀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s play in parent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prior to commencing school. This study aimed to further understanding play recognition and to present a specific direction of play necessary to each parent. Methods : A questionnaire based on prior studies was sent to 700 people who had previously agreed to the take part. A total of 5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ncollected and insincere surveys, of which 106 were questionnaires for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ere exclused from analysis. The SPSS Window 23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Disabled children s parents perceived playing with their children a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p<0.0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p=0,053).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had more time to participate with their mothers than with their fathers. Mothers with disabilities had more time to play however, fathers with no disabilities had more time.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had the most ordinary frequency of buying toys and there was very littele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primarily used the internet to acquire play information, and consideration when buying fun was followed by interest inducement, development level and safety.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status of play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by parents of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is study, parents will be able to find out what they really need to play and will be provided as a basis for future play studies for children.

      • KCI등재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ICT-리빙랩(Living lab) 기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박다솔(Park, Da Sol),이혜식(Lee, Hey Sig),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3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ICT-리빙랩(Living lab) 기반 프로그램의효과성을 검증하고 이에 따라 현대사회가 직면한 노인 건강과 삶의 질 문제 해결에 대한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에 걸쳐 강원도 W시에 소재한 경로당을 이용하는 고령자14명을 대상으로 ICT-리빙랩 기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노인 관련 전문가 4명, ICT 전문가 1명의 자문과 대상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 평가 10분, 준비활동 10분, 주활동 30분, 마무리 10분으로, 총 60분의 구성을 주 1회씩 2개월간,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대상자들은 사전평가에 비해 사후평가에서 삶의 질 점수(EQ-5D)가 0.76에서 0.84로 증가하였고(p=.009*), 주관적 건강상태(EQ-VAS)는 36.43에서 65.71로 증가하였다(p=.001*). 인지능력(MMSE-DS) 은 21.21에서 24.14로 증가하였고(p=.000*), 우울감(SGDS-K)에서는 3.36에서 3.21로 평균점수가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854). 결론 : 본 연구의 ICT-리빙랩 프로그램은 현대사회가 직면한 노인문제를 예방 및 개선하여 건강과 삶의질을 증진시키는 방안 중 하나로써 추후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CT-Living Lab-based programs to promote the health of elderly res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us, providing basic data for solving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problems faced by modern society. Methods : The tow-month program included 14 elderly individuals visiting senior center located in W City, from October to November 2019.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consulting four senior experts and one ICT expert. The program consisted of 10 min for advance assessment, 10 min for preparation activities, 30 min for main activities, and 10 min for finishing, and 60 min for eight sessions over two months, once a week. Results : EQ-5D increased from 0.76 to 0.84, compared to pre-assessment(p=.009*). EQ-VAS scores increased from 36.43 to 65.71 (p=.001*). MMSE-DS increased from 21.21 to 24.14 (p=.000*). SGDS-K decreased from 3.36 to 3.21,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854). Conclusion : The ICT·Living Lab-based program could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future research as one of the ways to impro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and addressing the problems faced by the elderly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질적연구 중심

        이하민,박혜연,임영명,Lee, Hamin,Park, Hae Yean,Lim, Young-Myou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social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the society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PubMed, Embase, Cochrane, data from 2012 to 2022 were collected. The main search keywords were 'elderly',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engagement', 'motiv<sup>*</sup>', 'barrier', 'facilitat<sup>*</sup>'. 7 articles that satisfy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Facilitators and barriers of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e analyzed factors were assorted into 'personal/ inter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network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not only logistical factors, but also motivation, desire, social context of older adults' as factors to social participation. To prevent older adults' social isolation, a broad understanding of what promotes and inhibits the participation of the older adults is needed.

      • KCI등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 연구 : 체계적 고찰

        박다솔(Park Da Sol),신가인(Shin Ga In),우예신(Woo Ye Shin),박혜연(Park Hae Yea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about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herapy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omestic clinical fiel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types and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us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Research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7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and Pubmed database.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Effect’. Finally, 10 foreign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studies were organized using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form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types, stroke, brain tumor, Parkinson s disease, and kidney disease. The tools used for arbitration were three IREX (30 %), two X-box Kinect (20 %), two Nintendo Wii (20 %), one [Existing tool + VR] (10 %), one [Mobile application + VR] (10 %).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improvement of function was observed in all 10 studies from overseas, and physical function was 24 times (66 %), mental function 6 times (17 %), cognitive function 5 times (14 %), Activity of daily living 1 time (10 %).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expand the scope by organizing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and its effects.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임상현장에서 재활치료에 종사하는 의료인, 의료기사 및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와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가 임상에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AND Effec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해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10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총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종류는 뇌졸중, 뇌종양, 파킨슨병, 신장질환이었다. 중재에 사용한 가상현실 기반 도구들은 IREX 3건(30%), X-box Kinect 2건(20%), Nintendo Wii 2건(20%), [Existing tool + VR]이 1건(10%), [Mobile application + VR]이 1건(10%)이었다. 중재 결과 10개의 논문 모두 기능향상이 나타났으며 신체기능이 24회(66%), 정신기능 6회(17%), 인지기능 5회(14%), 일상생활활동이 1회(3%)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와 그 효과를 정리하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고, 영역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활용 전망

        박다솔(Park, Da Sol),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 Shin),이혜식(Lee, Hey Sig),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에서 9월까지 전국 5개 지역(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의 읍, 면, 리에 개설된 소규모의 경로당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대인면접 설문조사 형태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로당 이용자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친구들이 있어서’이며 55.0%의 이용자가 일주일에 4-5회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용자들의 45.9%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20.2%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비이용자의 43.5%가 ‘마땅히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46.5%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운동, 취미와 오락, 건강 프로그램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중소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여부, 이용 목적,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개선점과 제한점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로당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enior center programs to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cities. Methods :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visited small and medium cities (Gyeonggi, Gyeongsang, Chungcheong, Jeolla and Gangwon)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19 and conducted interpersonal surveys. The study involved 183 people. Results : The users mainly used senior centers‘because they of their friends’ 55% indicated that they used centers four to five times a week. 45.9% were satisfied with their center, and 20.2%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were need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Of the non-users, 43.5% indicated that they did not use the centers for their lack of‘enjoyable’activities, and 46.5%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Programs favored by both users and non-users included exercise,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health programs. Conclusion : The study show that the general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senior centers by senior citizen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include the purpose of us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mprovement point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enter programs will be identified, and the finding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grams.

      • KCI등재

        국내 지역사회 거주 만성질환 노인 대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신가인(Ga-In Shin),박혜연(Hae Yean Park)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사용하는 측정도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Google Scholar, RISS, Dbpia였으며, PICO 기준틀을 기반으로 연구질문을 선정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여 포함기준과 배재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문헌은 Level 1-2의 질적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간호사가 가장 많이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노인 50명 이하를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주로 보건소와 노인정, 경로당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고혈압을 가진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문헌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종속변수는 모든 문헌에서 인지적 영역을 다루었고, 그 뒤로 신체적 영역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문헌이 많았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자기관리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노인의 다양한 인지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삶의 질의 영역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제시하며 다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used for elderly people with chronic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Databases used for study search were Google Scholar, RISS, and Dbpia.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ICO framework. We searched the study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9 and selected the final six studies by applying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the selected study had qualitative level of Level 1-2.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nurses conducted the most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operated for 50 elderly people or les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mainly in public health centers, senior centers. The subjects were the most studies for chronic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gram covered the cognitive domains in all the studies, and many of the studies measured the physical dom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highligh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chronic diseas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asuring tools related to various cognitive, physical, mental, social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구슬기(Koo, Seul-Gi),박혜연(Park, Hae-Yean),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for the past 10 years, and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dementia expert in clinical practice. We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the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and Scopus databases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16. The main keywords used 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total of 9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om 974 searched articles. The level of evidence were belonged to 3 each studies in Ⅰ~Ⅲ level. The mostly provid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ere exercise, the study field was variety of areas including rehabilitation(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nursing, and psychology. The Barthel Index(BI) was most frequently used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on was most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with the ADL.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evidence for the understanding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helpful intervention needed for ADL training.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 논문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 중인 치매 전문 인력에게 비약물 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과 효과 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개제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는“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을 사용하였고, 검색된 974편의 논문 중본 연구에 적합한 9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은 Ⅰ~Ⅲ에 각각 3편씩 속하였다. 운동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는 재활분야(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간호학,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BI)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동시에 가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인은‘인지기 능’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비약물 중재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있을 것이며,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 훈련을 목표로 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산소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병행한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종성(Kim, Jong-Seung),박혜연(Park, Hae Yean),홍익표(Hong, Ickpyo),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병행하였을 때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에 소재한 M 병원의 입원한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병행한 중재를 시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모두 동일하게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1회 30분, 주 3회, 총 8주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에는 유산소운동을 1회 40분, 주 3회, 총 8주간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인지기능 평가도구로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와 서울신경심리검사-Ⅱ(SNSB-Ⅱ)의 집중력(Digit Span Test), 기억력(SVLT-E), 전두엽 집행기능(Contrasting program, Go-no-Go, Fist-Edge-Palm)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유산소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병행한 실험군에서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K-MMSE, K-MBI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고 SNSB의 기억력, 집중력, 전두엽 기능을 평가한 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군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기능적인 회복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유산소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병행한 중재 방법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다.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aerobic exercise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stroke patients with cognitive function problems. Methods : Twenty stroke patients with cognitive function problems at M Hospital in Seoul were treated with aerobic exercise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8 weeks. As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ool, we used K-MMSE and SNSB-II s Digit Span Test, Memory (SVLT-E), Contrasting program, Go-no-Go, Fist-Edge-Palm, and K-MBI to correlate cognitive and daily life performance. Results : K-MMSE and K-MBI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erobic exercise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his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concentration, and frontal lobe fun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unctional recovery of daily life behavior. Conclusion :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ombines aerobic exercise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