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조선시대와 일본의 화조화에 나타난 식물류와 조형성 비교

        박혜성 한국꽃예술학회 2008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1

        일본과 조선 화조화에 나타난 꽃들을 조사한 결과 모란, 매화 그리고 국화 순으로 많이 등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등장하는 20가지 생물 중, 조선시대 화조화에는 10가지 관목류가, 그리고 일본의 화조화에는 6가지 만에 그치는 것으로 보아, 각국의 다른 취향을 보여준다. 조선의 전통 화조화는 상세한 묘사와 형태를 강조하는 구상을 보인반면, 조선 민화에서는 자연적이고 실질적인 묘사를 통하여 추상적인 아름다음을 표현한다. 일본의 화조화는 이와 다르게 정교하고 정확한 기법을 구사, 공백의 미를 추구하여 시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그리하며 조선의 자유분방하고 역동적인 미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By evaluating the flower paintings of Japan and Joseon Dynasty, the following flowers were depicted in order of preference; Peony, Japanese Apricot tree, and Chrysanthmum. However out of top 20 ornamental plants appearing in the paintings, 10 shrub kinds for Joseon Dynasty and only 6 kinds for Japan were depicted accordingly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Whilst traditional paintings of Joseon period placed great emphasis on the detailed soft expression or the stiff and formative expression as appeared in The Four Gracious Plants, the folk paintings illustrated natural and real effect which gave a sense of incomplete abstract beauty. Conversely Japanese painting showed elaborate and accurate technique which maximized the use of blank space giving poetic beauty. Nevertheless one can sense that they lack the kinetic and free formative nature of the painting of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한 식도 아스페르길루스증 1예

        박혜성,이재범,박지영,심기남,성연아,구혜수,최희정 대한감염학회 2007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9 No.6

        Invasive fungal infections contribute substantially to death and illness. Invasive aspergillosis usually occur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Primary infection usually involves the respiratory tract following environmental exposure to Aspergillus and may, in severely immunocompromised patients, disseminate to other organs. A 35-year-old woman with history of rheumatoid arthritis for more than 10 years, developed dysphagia for 2 months following the combination therapy with prednisolone and etanercept.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and diagnosed as esophageal aspergillosis by gastroduodenoscopic biopsy. Fourteen days after initiation of itraconazole, dysphagia recovered completely. It is very rare case to develop only esophageal aspergillosis without invasion of any other organs. We report here, the case of localized aspergillosis in patient who took immunosuppressants for rheumatoid arthritis. 아스페르길루스증은 주로 상기도 감염이나 부비동염을 일으키지만 드물게 식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게다가 아스페르길루스증이 다른 장기로의 침범없이 식도염 단독으로 발현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아스페르길루스증의 호발인자로는 백혈병 같은 혈액종양 질환, 골수 혹은 장기이식, 면역억제제의 장기복용 등이 알려져 있다. 우리는 다른 장기로의 침범은 전혀 없이 식도염만 단독으로 발생한 환자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35세 여자 환자가 2-3개월 전부터 발생한 연하곤란으로 내원하였고 내시경하 조직검사를 통하여 식도 아스페르길루스증이 추정되었다. 본 환자는 당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etanercept와 스테로이드를 복용했었다. 환자는 itraconazole (400 mg/일, 경구, capsule) 2주 동안 복용하였고 증상은 호전되었다. 이처럼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 식도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칸디다증 외에도 아스페르길루스증의 가능성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KCI등재

        강점인식이 은퇴 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장인을 대상으로

        박혜성,박우진,배병윤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dentify how office worker’s recognition of strength affects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when it is used as a medium for utilizing strength.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January 17, 2019 to March 8, 2019.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a significant number of employees have been collected nationwide, and 287 office worker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300 questionaires, excluding 13 office workers who were not sincere. The significant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by verifying the conformity of structural model and measurement model an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e’s perception of strength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tilizing of strength. Second, the use of workers’ strength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e’s perception of strength and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e recognition of streng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only through the use of strength. Most office workers are nervous about the future and make various plans. The time to live after retirement is getting longer and jobs and working hours are shrinking at an alarming r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mid-term of 2017 data, the average monthly operating profit of small business owners across the country is decreasing over the years, and most start-ups are subsistence-type start-ups, and they decide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because they have no other choice than start-ups. As the number of small business owners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has increas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and insecurity of job is pushing thos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retirement to the battleground of the start-up mark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workers need to recognize their own strength and enhance the importance of utilizing the strength.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강점인식이 강점 활용을 매개로 하였을 때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기간은 2019년 1월 17일부터 3월 8일 까지 2개월간 진행했으며 이런 내용의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전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유의 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300 부의 설문지를 회수 후 성실하지 못한 13부를 제외한 287 명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 표집 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기술 통계분석을 활용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측정모형의 적합 도를 확인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한다. 첫째 강점인식은 강점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강점 활용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미래에 대하여 불안해하며 다양한 계획들을 세운다. 은퇴 후 살아가야 할 시간은 길어지는데 일자리와 근무 시간은 너무나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2017 중기 부 자료중 소상공인 실태 분석 자료에 의하면 전국 소상공인들의 월평균 영업 이익은 해가 거듭 될수록 줄어들고 있으며 창업자의 대부분은 생계형 창업으로 창업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어 창업을 결심한다. 금융위기 이후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직장인의 고용불안은 은퇴 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창업시장의 전쟁터로 내몰고 있음에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선제적인 본인 스스로의 강점을 인식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은퇴 후의 직장인들의 창업의지에 강정인식과 강점 활용의 중요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