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과학 관련 정의적․행동적․인지적 영역과 모둠 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박형민,임채성 한국생물교육학회 2018 생물교육 Vol.46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lf-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domains and the perceptions of group activities in science learning. The research subjects are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elf-per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about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in science learning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s. Second, 62.0% of the students were opposed to organizing groups of homogeneous groups with similar levels of achievement. Third, the students wanted to be evaluated for individual (46.0%), although they did group activities. Fourth, students like to do group activities. Students are quite actively involved in group activities and recognize that group activities are quite useful. Fifth, students answered that group activities can be more enjoyable to attend classes than individu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ould fight against their disagreeable friends when doing group activities. Sixth, only two students (2.0%) talked about emergent property as a feature of group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group activities in the school are discussed.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혼입 알칼리 활성 슬래그 복합재료의 열전 에너지 수확 성능평가

        박형민,양범주,Park, Hyeong-Min,Yang, Beomjo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20 도시과학 Vol.9 No.1

        The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alkali activated slag composites contain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ree different MWCNT contents and exposed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and their thermoelectric-related properties and internal structure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alkali activated slag composite with MWCNT 2.0 wt.% and the exposed temperature of 150℃ were the optimal condition to obtain the highest Seebeck coefficient and power factor. Based on the feasibility study, the extended size thermoelectric module with 130 elements was fabricated, and tested the electricity production capacity. Consequently, the present thermoelectric module produced 30.83 ㎼ of electricity at ∆T=178.4℃.

      • KCI등재후보

        연쇄살인 범죄자의 유형과 특징

        박형민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2

        Serial murder falls into one of three categories, 'hedonistic motive type', 'gaining type', 'angeres type'. 'hedonistic motive type serial murder' can be categorized into 'thrill-pursuing type', 'lust-pursuing type', 'power-pursuing type', and 'gaining type serial murder' into 'burglary-murder type' and 'crime suppression type'. The serial murders in 'anger type' can be designated as the repeated ordinary homicide. Serial murderers have a definite motive or specific desire. They select weak victims(elders, women, children, etc.) and suitable time and space for satisfying their desire. Serial murderers take victims as instruments for satisfying their desire. Crimes have developed with time. Type attribute of serial murder is as fallows: 'hedonistic motive type serial murderers' get an inferiority complex because they had failed to make emotional attachment to other; 'gaining type serial murderers' have no support system that relieve them. 연쇄살인은 그 범죄의 동기에 따라 성적 욕구, 지배욕구 등 비가시적인 이득을 추구하기 위한 연쇄살인은 쾌락형과, 금품강취 등 가시적인 이득을 추구하기 위한 것을 이득추구형, 그리고 일반 살인의 반복형태인 분노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쾌락형 연쇄살인은 추구하려는 주된 욕망에 따라서 ‘스릴추구형’, ‘욕정추구형’, ‘권력추구형’ 등으로 세분화가 가능하며, 이득추구형 연쇄살인은 ‘강도살인형’과 ‘범행은폐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욕망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복합형’도 존재하였다. 이들 연쇄살인 범죄자들은 범죄자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명확한 동기, 즉 구체적인 욕구가 있다는 점과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제압하기 쉬운 약자들(노인, 부녀자, 청소년, 어린이 등)을 피해자로 선택하고, 자신의 범행을 저지르기에 용이한 시간과 공간을 선택하여 범행을 저지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연쇄살인 범죄자들은 이상과 같은 공통점과 함께 유형별로 몇가지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쾌락추구형 연쇄살인 범죄자들은 성장기에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는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것이 정서적 열등감의 형태로 드러나고 있었으며, 이득추구형 연쇄살인 범죄자들은 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상황이 닥쳤을 때 이를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지지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 KCI등재

        성폭력 범죄자의 피해자 선택

        박형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8 형사정책연구 Vol.114 No.-

        본 연구는 범죄자의 입장에서 범죄자가 피해자를 선택하는 기준 또는 선택의 순간 고려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회 이상의 성범죄를 저지른 성폭력 범죄자 22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자료 중 피해자 선택을 나타내는 단서들을 추출하여 개방코딩한 후, 이를 추상화하여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피해자에 대한 접근 방법은 ‘술을 통한 상호작용’, ‘놀이 등을 통한 상호작용’, ‘유흥업소 여성 선택’, ‘피해자 집 침입’, ‘무작위 선택’으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유형에서 가장 중요한 피해자 선택의 계기는 외모나 옷차림 등과 같은 피해자의 특성이 아니었다. 그보다는 피해 여성이 혼자 있는 상황, 침입하기 용이한 상황, 피해자를 쉽게 제압할 수 있는 상황 등 범행당시의 상황에 따라 범행대상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가장 심각한 2차 피해중 하나인 성폭력 발생의 책임 일부를 피해자에게 전가하는 현상을 비판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성폭력 범죄 예방 정책, 성폭력 피해자 보호 정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천적 함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criteria that criminals select victims from their perspective, or the factors that consider the moment of selection. For this research, 22 sexual offenders who committed more than one sex crime were interviewed. And among the interview contents, clues indicating the victim selection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type of approaches to victims were ‘interactions through alcohol’, ‘interaction through play’, ‘selecting women in adult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invasion of victims’ house’, ‘random choice’. The most important trigger for selecting victims for each type was not their traits, such as appearance or clothing. The situation at the moment of the crime were more important, such as ‘the victim was alone’, ‘Ease of intrusion’, ‘Ease of controling victims’. These results could be a valid empirical evidence of criticism against the responsibilities on sexual violence victims that one of the most serious secondary injuries for victims. The study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various areas, including policies to prevent sexual crimes and protect victims of sexual violence.

      • 나선형 혼합 신호에 대한 독립 성분 분석을 위한 초과 표본 필터 뱅크 접근 방법

        박형민,이수영 한국뇌학회 2003 한국뇌학회지 Vol.3 No.1

        나선형 혼합 신호에 대해 독립 성분 분석(ICA)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필터 뱅크에 기초하고 있으며, 각 대역에서 몇 표본마다 하나씩 만을 취하여 시간 영역 접근 방법보다 훨씬 적은 계산량과 빠른 수렴 속도를 보인다. 그리고 이 필터 뱅크 접근 방법은 주파수 영역 접근 방법의 성능 한계를 갖고 있지 않다. 또, 반향의 정도에 관계없이 필터 뱅크의 필터 개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병렬 처리(parallel processing)에 적합하다. 게다가, 필터 뱅크 방법에 대한 출력 신호의 순서와 크기를 맞추기 위한 방안이 사용된다.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perform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for convolved mixtures. This approach is based on filter banks, and its decimation provides much less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faster convergence speed than the time domain approach. In addition, the approach does not have a performance limitation unlike the frequency domain approach, One can select the number of Alters in the filter bank regardless of reverberation and implement the method to fit for parallel processing, Furthermore, a method is used to resolve the permutation and scaling problem of the filter bank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