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NG 버스의 연비 측정 및 산정방법에 대한 연구

        박현창(Hyunchang Park),정장호(Jangho Jung),김다은(Daeun Kim),노경완(Kyungwna R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2 No.11

        Recently, foreign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solve energy saving and high-efficiency technology development,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measures to streamline energy demand announced by Korea government are part of the new energy policy defined as raising energy efficiency 25 percent in 2027. The main content is a new fuel economy policy will be introduced for heavy-duty vehicles(HDV) of over 3.5 tons in capacity. In order to implement the fuel economy policy for HDV,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fuel economy of the target vehicle. But it is the fuel economy measurement and calculation method of HDV has not yet been defined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is no method for calculating the fuel economy of CNG buse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city buses. In this study,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fuel economy of CNG bus, which is not defined in the vehicle fuel economy test, was developed. CNG bus was tested on a chassis dynamometer, and the measured fuel economy and real driving fuel economy were compared and analyzed.

      • 공동체의 성장을 고려한 복음 선포의 과제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0 No.-

        본고는 우리 시대에 더는 유보할 수 없는 ‘공동체 성장’을 위한 복음 선포의 과제를 깊이 있게 제시하고 있다. 전례의 상황 안에서 이루어지는 복음 선포인 강론은 하느님에게 드리는 봉헌의 일부이고, 전례 거행 중에 그리스도가 선사하는 은총을 전달해준다. 강론은 삶을 변화시키는 성찬례 안에서 회중과 설교자를 그리스도와 이루는 친교로 이끈다. 강론은 하느님이 설교자를 통해 다른 이들에게 다가가고, 하느님이 인간의 언어를 통하여 그의 능력을 드러낸다는 확신에 바탕을 둔다. 또한 강론은 성사적인 친교에 앞서 하느님과 그의 백성이 나누는 최고의 ‘대화’이다. 이처럼 강론 준비는 중요한 책무이기에 창의적인 사목을 위하여 연구와 기도와 묵상에 오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그 만큼 강론 준비에는 사랑이 필요하다. 중요한 준비과정 가운데 하나는 말씀의 핵심 메시지, 곧 본문에 구조와 일관성을 부여하는 메시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강론을 하고자 하는 이는 누구나 먼저 하느님의 말씀으로 깊이 감화되어 그 말씀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한다. 강론은 자신이 관상한 것을 다른 이들에게 전달하는 매우 강력하고 효과적인 활동이 된다. 이는 사목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획득한다. 또한 설교자는 백성의 말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강론은 성경 본문의 메시지를 인간 상황에, 하느님 말씀의 빛을 갈구하는 경험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종교적이고 사목적인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represents deep insight into the important challenge of preaching for 'growth of community', which can not be moved in our time. When preaching as declaration of the Gaspel takes place within the context of the liturgy, it is part of the offering made to the Father and a mediation of the grace which Christ pours out during the celebration. This context demands that preaching should guide the assembly, and the preacher, to a life-changing communion with Christ in the Eucharist. It is God who seeks to reach out to others through the preacher, and that he displays his power through human words. The homily is the supreme moment in the ‘dialogue' between God and his people. Preparation for preaching is so important a task that a prolonged time of study, prayer, reflection and pastoral creativity should be devoted to it. Preparation for preaching requires love. Our most important goal is to discover its principal message, the message which gives structure and unity to the text. Whoever wants to preach must be the first to let the word of God move him deeply and become incarnate in his daily life. In this way preaching will consist in that activity, so intense and fruitful, which is communicating to others what one has contemplated. This has great pastoral importance. The preacher also needs to keep his ear to the people and to discover what it is that the faithful need to hear. He needs to be able to link the message of a biblical text to a human situation, to an experience which cries out for the light of God’s word. It is profoundly religious and pastoral.

      • ‘가상현실’에 직면한 미래 사목의 자화상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4 No.-

        사제 양성의 교육과정 안에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징표에 맞춰 미래의 패러다임이 함의하고 있는 사상과 세계관을 미리 살펴보고 사목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는 엄습해오는 새로운 문명의 세태에 교회도 결국 편승할 수밖에 없다는 자조 섞인 담론이 아니다. 미래담론을 통해 교회가 동시대인의 희로애락에 동고동락하기 위해서라도 사목자와 협력자들은 현시점에서 알파요 오메가이신 그리스도의 내밀한 신비 안으로 더욱 깊이 들어가야 한다. 정보와 고감도 인식이 발달한 시대에도 하느님 인식의 신비가 더욱 깊어질 때 인류는 변함없이 절대자의 초대에 응답하는 여정을 걷게 될 것이다. 그 동행에 교회 역시 전 인격으로 그리스도의 신비에 사람들을 초대하고 환대하는 몫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It is very encouraging to discuss the future of pastoral in advance of idea and world view of the future-paradigm in accordance with sign of the tim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riest training course. It is not a desperate discourse that the church take a ride on a sudden new civilization. Through future discourse, the church to be together with the joy and sorrow of our contemporaries, the pastors and their collaborators are now deeply deeper into the mystery of the Alpha and Omega Christ must enter. When the mystery of God's awareness is deepened even in the age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high-sensitivity perception, mankind will continue to walk on the path to responding to the invitation of the Absolute. The Church will also invite and devote people to the mystery of Christ as a whole person in accompanying.

      • 자동차 연비 시험을 위한 로봇드라이버 적용 타당성 연구

        박현창(Hyunchang Park),노만수(Mansu Noh),노경완(Kyung Wan R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2 No.6

        The number of countries in the world are active in distributing eco-friendly vehicl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utomobile manufacturers have been increasing the launch of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due to the transition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o electrification. Recently, electric vehicles have an increased mileage due to improving battery system technology. It is good to have news for consumers, on the other hand, others are not always. The problem is that electric vehicles with the longer range need more time to test the energy efficiency. Therefor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accepted to use the mechanical device like a robot driver instead of a human driver to test the vehicle energy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easibility to use a robot driver for the vehicle energy efficiency test. An electric vehicl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were tested. And the study shows the proper test results with the drive quality evaluation index(ER, DR, EER, ASR, RMSSE, IWR) to verify the feasibility on using a robot driver.

      • 공동체 사목의 재활 가능태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3 No.-

        본고는 칼 라너의 신학적 통찰을 빌려 교회의 본질과 공동체 사목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는 제도와 은사의 균형 잡힌 체제의 복원을 의미하며 개방된 체제로서의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전망한다. 제도 중심의 교계와 비등한 은사 중심의 공동체 사목은 결국 지체들의 영적 쇄신을 통한 공동체의 자기정체성 확립에 그 진면목이 있다. This article outlines what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community-pastoral is actually, with the help of the theological insight of Karl Rahner. This not only means a renovation of the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 and charism, but also anticipate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hurch as an open system. The charismatic community-pastoral in comparable proportion to the institution centered hierarchy is in position of self-identity of the community through spiritual renewal of membership.

      • ‘유기적 통합 사목’의 실천신학적 가용성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5 No.-

        본고는 ‘유기적 통합 사목’을 논의로 삼고 있다. 신학적으로 삼위일체 신비의 원리에 원천을 둔 통합 사목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하느님 백성-교회론’과 ‘친교-교회론’에 의지해 있다. 교회는 이러한 사목을 통해 성직자 의존적인 옛 사목 방식을 보완하고 교회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사제, 평신도, 실무 및 명예 위원들로 이루어진 이들 ‘구성원의 유기적 협력을 통한 교회 성장’을 지향하는 사목을 장려한다. 한 본당 공동체든 지역 중심의 속지주의 사목이든 속인주의의 다양한 개별사목이든 통합 사목의 실체는 다름 아닌 그 기저에 ‘유기적 협력’을 자신의 동력으로 삼는다. This article focuses on ‘organic integrative pastoral’. The integrative pastoral, which theological rooted in the principle of trinity mystery, is dependent on the ‘people of God-ecclesiology’ and ‘communion-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rough this, the Church encourages pastoral ministries to complement past pastoral practices that have relied on priests and to “Church growth through organic cooperation among members,” consisting of priest, layperson, practitioner, and honorary commissioners in all areas of the Church's activities. Whether it is a parish community, a regional centered pastoral, or a variety of individual pastoral care, the reality of the integrative pastoral is based on ‘organic cooperation’ as its motive power.

      • 본당 사목의 ‘무형자산’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본고는 칼 라너의 신학적 통찰을 빌려 오늘날 본당 사목의 ‘무형자산’이 무엇인지 소묘하고 있다. 지난 세기, 제2차 바티칸 공의회(하느님 백성의 신학, 친교의 신학, 평신도 사도직 등)와 여러 지역 교회의 시노드는 본당의 존재 방식과 관련 깊은 ‘공동체’ 신학과 실천을 조성하기 위해 길을 닦아놓았다. 이를 통해 본당은 지역 사회 안에 존립하면서 생기를 불어넣은 공동체로 체험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의 끊임없는 변화와 교회의 발전은 우리로 하여금 새 물음을 던지게 한다. 종래 본당의 구조가 현대 사회 속에서 과연 지역 교회로서 합당하며 효과적인 존재로 기능하겠는가? 본당은 공동체 건설과 공동체 쇄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본당은 ‘신앙을 위한 삶의 자리’ 그리고 ‘삶을 위한 신앙의 자리’를 형성하고 있는가? 본당은 ‘교회 내 움직임’일 뿐만 아니라 주변 여러 사회의 조직들과 비판적이고 혁신적인 교류를 통해 ‘움직이는 교회’일 수 있는가? 과연 본당은 ‘항상 쇄신해가는 교회(ecclesia semper reformanda)’를 위해 기여할 수 있겠는가? 이는 현 시대 징표와 관련하여 우리 시대에 더 이상 유보할 수 없는 사목의 사명이 그 밑바탕에 놓여 있는 것이다. Mit Hilfe der theologischen Einsicht Karl Rahners skizziert diese Abhandlung das, was ‘immaterielle Vermögenswerte’ der Pfarrei-Pastoral von heute eigentlichist. Das II. Vatikanische Konzil(Theologie des Volkes Gottes, Commnio- Theologie, Laienapostolat usw.) und die Synoden der Ortskirchen im letzten Jahrhundert breitenten den Weg zum Rezeption von Theologie und Praxis der ‘Gemeinde’ als Lebensform der Pfarrei. Dadurch wurde Pfarrei als verlebendigte Territorialgemeinde erfahren. Aber neue gesellschaftlichen Veränderungen und kirchliche Entwicklungen stellen vor die Frage. Ermöglicht die bisherige Struktur der Pfarrei als Territorialgemeinde eine angemessene und wirksame Präsenz in der Gesellschaft ? Bewirkt sie Gemeindeaufbau und Gemeindeerneuerung ? Bildet sie ‘Lebensräume zum Glauben’ und ‘Glaubensräume zum Leben’ ? Ermöglicht sie nicht nur ‘Bewegung innerhalb der Kirche’, sondern auch ‘Kirche in Bewegung’ in einem kritisch-innovativen Austausch mit gesellschaftlichen Initiativgruppen und Bewegungen ? Kann Pfarrei einen Beitrag leisten zu einer ‘ecclesia semper reformanda’ ? Es liegt darin der Auftrag der Pastoral, welcher in Bezug auf das Zeichen der Zeit von heute nicht mehr verschoben werden kann.

      • 말씀 선포의 내적 형질 변환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4 이성과 신앙 Vol.57 No.-

        교회의 강론은 사목자가 자신에게 맡겨진 백성에게 다가가 ‘대화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우리는 신자들이 강론을 매우 중히 여긴다는 것을 알고 있고, 신자들이 교직자만큼 강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평신도는 강론을 듣는 것이 어렵고 사목자는 강론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순전히 도덕적이거나 교리적인 강론, 또는 성경 해석 강의가 되어 버린 강론은 강론 안에서 이루어지고 거의 성사나 다름없는 특성을 지녀야 하는 마음 대 마음의 소통에서 멀어진다. 강론은 쇄신과 성장의 지속적인 원천인 하느님 말씀, 위로하는 그분의 말씀과 마주하는 것이다. 하느님은 당신 백성과 대화하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기에, 설교자는 자신의 말을 경청하는 이들에게 하느님의 이와 같은 기쁨을 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설교자는 서로 사랑하는 마음을 이어주는 매우 아름답지만 어려운 사명을 가지고 있다. 곧 하느님의 마음과 그분 백성의 마음을 결합시키는 일이다. 하느님과 백성의 이러한 대화는 사랑의 유대를 굳건하게 만든다. 이것이야말로 ‘마음에 불을 지르는 말씀’(EG, 142-144 참조)이다. The homily of church is the touchstone for judging a pastor’s closeness and ability to ‘communicate’ to his people. We know that the faithful attach great importance to it, and that both they and their ordained ministers suffer because of homilies, the laity from having to listen to them and the clergy from having to preach them. A preaching which would be purely moralistic or doctrinaire, or one which turns into a lecture on biblical exegesis, detracts from this heart-to-heart communication which takes place in the homily and possesses a quasi-sacramental character. The homily can a consoling encounter with God’s word, a constant source of renewal and growth. The Lord truly enjoys talking with his people, the preacher should strive to communicate that same enjoyment to his listeners. The preacher has the wonderful but difficult task of joining loving hearts, the hearts of the Lord and his people. The dialogue between God and his people consolidates the bond of charity. It ist “words which set hearts on fire”(vgl. EG, 142-144).

      • 신학 형체의 ‘구조 조정’: 칼 라너의 논단 『신학 전체를 향한 사목신학의 새로운 요청』을 중심으로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5 이성과 신앙 Vol.58 No.-

        본 논고는 칼 라너(1904~1984)의 관점을 빌려 ‘실천신학’으로서의 사목신학의 학문성과 그가 지닌 신학의 타학과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소묘하고 있다. 라너의 견해에 따르면, 지난 세기 교회의 새로운 활력과 성숙에 대한 자기 이해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개시되고 개화되었다. 이처럼 변화된 시대가 라너에게는 실천신학을 무르익게 만든 것처럼 비춰졌다. 실천신학은 여느 사목자의 직무를 위한 지침처럼 신학교 양성 과정에 있는 신학도를 가르치는 종래의 사목신학과 단순히 부합될 수 없다. 오히려 실천신학은 교회 전체의 상황을 냉철하게, 곧 신학적으로 심사숙고해야 하고, 그 성찰을 조직적인 교회론으로부터 시작하되, 이를 넘어 “교회는 오늘날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단순하지만 모든 것을 포괄하는 물음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실천신학은 현상 유지되는 교회의 본질적인 구조들을 신학적으로 사유하여 항상 유효한 교회 실천의 규범들을 이끌어내야 하는 학문이 아니다. 오히려 이를 넘어 교회, 교회의 예배 양식, 교회의 말씀 선포, 교회의 조직, 교회의 학문, 교회 생활 등이 실천신학 안에서 새롭게 성찰되고, 오늘날 처해져 있는 현실, 곧 하느님의 의중에 맡겨진 현재 상황에 대해서도 상세히 해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실천신학은 세상 구원에 투신하기 위한 자발적인 교회 건설의 모든 일꾼들에게 열려 있으며, ‘우리 시대의 징표’에 직면하여 ‘신학 형체’의 구조 조정과 교회의 실행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 전체를 향해 병존한다. Diese Abhandlung skizziert die Wissenschaftlichkeit der Pastoraltheologie als ‘praktische Theologie’ und die Bezogenheit mit den anderen theologischen Disziplinen aus der Ansicht des Karl Rahners(1904~1984). Nach seiner Meinung ist im letzten Jahrhundert ein Selbstverständnis der Kirche von neuer Lebendigkeit und Tiefe erwacht und im II. Vatikanischen Konzil zum Durchbruch gekommen. Diese veränderte Zeit schien ihm daher reif für eine praktische Theologie. Diese kann sich nicht mehr decken mit einer solchen alten Pastoraltheologie, die als Anweisung für die Pastoration des einfachen Seelsorgers den angehenden Theologen in Priesterseminarien gelehrt wird. Vielmehr muss praktische Theologie die ganze Situation der Kirche nüchtern, und zwar theologisch durchdenken, sie muss von einer dogmatischen Ekklesiologie ausgehen und sie überschreitend zu jener schlichten, alles umfassenden Frage, “Was muss die Kirche heute tun?” gelangen. In einer solchen praktischen Theologie sind also nicht nur die bleibenden Wesensstrukturen der Kirche theologisch zu durchdenken und daraus die immer gültigen Normen ihres Handelns abzuleiten. In ihr muss vielmehr darüber hinaus neu bedacht werden, wie die Kirche, ihr Kult, ihre Verkündigung, ihre Organisation, ihre Disziplin, ihr christliches Leben usw. von der heute vorliegenden, von Gott selbst verfügeten Gegenwartssituation spezifiziert werden. Darum wendet sich diese praktischen Theologie an alle, die Träger des Selbstaufbau der Kirche zu ihrem Dienst am Heil der Welt sind, und an die Theolgie als ganzen, welche eine Umstrukturierung der 'Corpus Theologiae' und Selbstvollzug der Kirche angesichts des ‘Zeichens unserer Zeit’ mitgestalten kann.

      • 그리스도교 ‘힐링’의 선두 주자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4 No.-

        본 논고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시대 징표인 ‘힐링’healing과 연관 지어 실천적 영성의 중심 개념인 ‘Communio Sancto- rum’과 그 고유한 실행과제를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성인들과의 상호 통교생활(LG, 48-51 참조)은 인간의 치유와 성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사실 치유에 대한 인간의 경험은 근본적으로 하느님 구원행위에 속한다. 이러한 치유는 총체적인 인간을 포함하므로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건강’의 획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인간에게 내적이고 영적인 삶의 치유와 쇄신도 아울러 요청된다. 가톨릭의 Communio 안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올 때까지, 그의 제자들 가운데 어떤 이는 지상에서 나그네의 길을 걷고 있고, 어떤 이는 이 삶을 마치고 정화를 받으며, 또 어떤 이는 바로 삼위일체 하느님을 바라보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모두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같은 사랑 안에서 여러 단계와 방법으로 친교를 이루고 있다(LG 49 참조).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평화 속에 잠든 형제들과 나그네들의 결합은 조금도 중단되지 않으며, 더욱이 교회의 변함없는 신앙에 따르면, 영적 선익의 교류로 더욱 튼튼해진다. 천상에 있는 이들이 그리스도와 더 친밀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교회 전체를 성덕으로 강화하고, 교회가 이 지상에서 하느님에게 드리는 예배를 존귀하게 만들며 교회의 보다 광범위한 건설에 여러 가지로 이바지하고 있다(1코린 12,12-27 참조). 왜냐하면 본향으로 받아들여져 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이들은 그분을 통하여 그분과 함께 그분 안에서 끊임없이 하느님에게 전구하며, 하느님과 사람들 사이의 유일한 중개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모든 일에서 주님을 섬기고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자기 몸으로 채우며(콜로 1,24 참조) 이 지상에서 쌓은 공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형제적 배려로 우리의 연약함이 위로와 풍요로운 도움을 받는다. 실제로 우리는 그리스도를 충실히 따른 이들의 삶을 바라보며 미래 도성을 찾으려는 새로운 동기로 자극을 받고 또한 동시에 현세의 변화 속에서도 각자 고유한 신분과 조건에 따라 그리스도와 완전한 일치 곧 성덕에 이를 수 있는 가장 안전한 길을 배운다. 그러나 우리는 오로지 표양이라는 이유만으로 천상에 있는 이들을 기억하며 공경할 뿐 아니라 또한 더 나아가서 형제적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온 교회의 일치가 성령 안에서 강화되도록 그렇게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진정한 성인 공경과 그들과의 내밀한 통교생활이 복잡한 외적 행동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랑의 강렬한 실천에 있다는 것을 신자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이러한 사랑으로 우리는 우리와 교회의 더 큰 선익을 위하여 성인들의 “생활에서 모범을, 통공에서 참여를, 전구에서 도움”(LG 51)을 찾는 것이다. In dieser Abhandlung handelt es sich um den praktisch-spirituellen Kernbegriff ‘Communio Sanctorum’ und deren eigenartigen Praxis im Zusammenhang mit den Zeichen der Zeit ‘healing’ in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von heute. Dabei spielt die Gemeinschaft der Heiligen eine wichtige Rolle für die Heilung und Heiligung der Menschen. Wahrhaftig gehört grundsätzlich die menschliche Erfahrung von Heilung zum Heilshandeln Gottes. Diese umfaßt den ganzen Menschen und ist nicht nur auf die Erlangung physischer oder psychologischer ‘Gesundheit’ eingeschränkt. Deswegen bedaf es allen Menschen der innerlich-seelischen Heilung und Erneuerung des Lebens. In der Communio der katholischen Kirche pilgern die einen von seinen Jüngern auf Erden, die andern sind aus diesem Leben geschieden und werden gereinigt, wieder andere sind verherrlicht und schauen den dreieinen Gott selbst, bis also Jesus Christus wiederkommt. Wir alle jedoch haben, wenn auch in verschiedenem Grad und auf verschiedene Weise, Gemeinschaft in derselben Gottes- und Nächstenliebe(vgl. LG 49). Die Einheit der Erdenpilger mit den Brüdern, die im Frieden Christi entschlafen sind, hört keineswegs auf, wird vielmehr nach dem beständigen Glauben der Kirche gestärkt durch die Mitteilung geistlicher Güter. Dadurch nämlich, dass die Seligen inniger mit Christus vereint sind, festigen sie die ganze Kirche stärker in der Heiligkeit, erhöhen die Würde des Gottesdienstes, den sie auf Erden Gott darbringt, und tragen auf vielfältige Weise zum weiteren Aufbau der Kirche bei(vgl. 1Kor 12,12-27). Denn in die Heimat aufgenommen und dem Christus gegenwärtig, hören sie nicht auf, durch ihn, mit ihm und ih ihm beim Vater für uns Fürbitte einzulegen, indem sie die Verdienste darbringen, die sie durch den einen Mittler zwischen Gott und den Menschen, Christus Jesus, auf Erden erworben haben, zur Zeit, da sie in allem dem Herrn dienten und für seinen Leib, die Kirche, in ihrem Fleisch ergänzten, was an den Leiden Christi noch fehlt(vgl. Kol 1,24). Durch ihre brüderliche Sorge also findet unsere Schwachheit Trost und reichste Hilfe. Wenn wir nämlich auf das Leben der treuen Nachfolger Christi schauen, erhalten wir neuen Antrieb, die künftige Stadt zu suchen. Zugleich werden wir einen ganz verläßlichen Weg gewiesen, wie wir, jeder nach seinem Stand und seinen eigenen Lebensverhältnissen, durch die irdischen Wechselfälle hindurch zur vollkommenen Vereinigung mit Christus, nämlich zur Heiligkeit, kommen können. Aber nicht bloß um des Beispiels willen begehen wir das Gedächtnis der Heiligen, sondern mehr noch, damit die Einheit der ganzen Kirche durch die Übung der brüderlichen Liebe im Geiste gestärkt werde. Die Kirche möge also die Gläubigen darüber belehren, dass echte Heiligenverehrung und Communio mit ihnen nicht so sehr in der Vielfalt äußerer Akte als vielmehr in der Stärke unserer tätigen Liebe besteht, durch die wir zum größeren Wohl für uns und die Kirche “im Wandel das Beispiel, in der Gemeinschaft die Teilnahme, in der Fürbitte die Hilfe”(LG 51) der Heiligen suc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