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녹차의 침출 후 찻잎 방치 시간 및 침출횟수에 따른 녹차 침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박현진(Hyeon-Jin Park),은종방(Jong-Bang Eun)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여러 번 침출 시 각 침출 사이의 시간 간격이 녹차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녹차 추출 후 상온 방치 시간과 침출 횟수를 달리하여 추출한 녹차 침출물의 색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pH, 총 폴리페놀 함량, 비타민 C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L* 값과 a * 값은 상온 방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증가하였고, b* 값은 상온 방치 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온 방치 시간에 따라서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비타민 C 함량은 대부분의 시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H와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상온 방치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부분의 시간에서 유의적으로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재 침출 시 방치 시간 간격보다 침출 횟수가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침출 횟수 측면으로 보았을 때 침출 3회차부터는 비타민 C, 총 폴리페놀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이 급격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reen tea infusi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lor, pH, vitamin C, total phenolic, total free amino acid,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These infusions were extracted for 2 min with different rest intervals (0, 30, and 60 min) between extractions at 95°C. Although the number of infusions significantly affected all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and the rest intervals between infusions affected only color, pH and total phenolic, total free amino acid,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In conclusion, the number of infusions c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rest interval for the infusion of green tea.

      • KCI등재
      • KCI등재

        도덕성 함양과 초월의 관계에 비추어 본 도덕과 교육과정의 의의와 한계

        박현진 ( Park Hyeon-ji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7

        도덕성 함양은 인간의 삶 및 인간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는 수직적 측면의 초월성을 수평적 측면의 초월을 통해 일깨움으로써 원리로서의 도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며 성품으로서의 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덕과 교육이 도덕성 함양이라는 본질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인간으로 하여금 현실 문제를 넘어 인간 존재와 세계를 수직적 측면의 초월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세계와 인간 존재 및 그것을 그렇게 존재하도록 하는 도덕에 대한 외경심을 형성하기에 힘써야 한다. 2007 개정 이후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은 도덕과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기 위해 도덕과의 성격을 재규정하고 영역을 새롭게 구성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도덕과에서 초월을 직접 다루는 일은 아직도 시작 단계에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오류를 보완하고 이론적 바탕을 튼튼히 할 필요가 있다. The core of moral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morality. The cultivation of morality can be defined as becoming enlightened about 道(Do)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cultivating 德(Deok) as the human nature. 道 and 德 are only conceptually distinguished as aspects of 性(Seung) as the whole. 性 is essentially transcendent but inherent in human beings. This means that, to achieve the cultivation of morality as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moral subject curriculum should be composed to make students realize the transcendence of the world and the human beings. Several changes associated with transcendence in 2007~2015 revising moral subject curriculum reflect this perception. However, making reference directly about transcendence in moral subject curriculum has just begun, and theoretical background is not strong. Thus, the ongoing studies associated with transcendence for the cultivation of morality needs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 건설현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액체수소 기반 탄소배출 저감 기술개발 기획

        박현진(Hyeon-Jin Park),김진하(Jin-ha Kim)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2

        본 연구는 건설산업이 직면한 탄소중립 대용에 있어 건설현장에 주목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액체수소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4단계로 구성되어 추진된다. 먼저 건설현장 액체수소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 산업 및 시장, 기술개발 현황 등의 기초자료에 대한 조사 · 분석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기초자료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정부R&D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사업목적 및 목표, 개발범위 둥을 설정한다. 세 번째는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각 영역별 기술개발 후보(안) 발굴 및 후보기술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 이를 기반으로 세부 사업내용을 구체화한다. 마지막으로는 발굴된 과제의 목표 및 범위를 설정하고 세부과제의 운영 · 관리하기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함과 동시에 각 과제에 대한 정책, 기술, 경제적 타당성 둥 사전타당성 검토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패러다임 전환의 연장선 상에서 건설현장 내 액체수소 기반의 탄소저감 기술 개발을 통해 관련 분야의 선도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의 기술적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기반으로 실질적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단기적으로는 수소경제를 대비한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국내 기술의 우수성을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안보기술의 경쟁력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통합의 두 가지 접근

        박현진(Park Hyeon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은 공히 도덕과 교육이 ‘통합적 인성의 형성’을 목표로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는 교과임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과의 궁극적 목표로서의 통합적 인성을 제시할 때에는 도덕성을 하나의 총체로 설명하면서도, 정작 그것을 달성하는 하위 목표나 도덕과 수업 절차 등을 제안할 때에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이 각각 별개의 요소로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도덕과 교육과정은 ‘통합’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임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설명할 때에는 양립할 수 없는 두 방식―‘가법적’ 방식과 ‘승법적’ 방식을 동시에 주장하는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수업의 실제에서 드러나는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도덕과 교육과정의 설명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도덕과 수업의 실제 사태를 ‘처방’이 아닌 ‘이해’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도덕과 수업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것처럼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각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은 서로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로 인해 수업 사태에서 교사와 아동이 상호작용하는 매 순간마다 동시에, 총체적인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도덕과 교육이 그 자체로 승법적 방식의 통합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은 별개로 분리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 각각을 길러내어 합치는 것이 아닌, 도덕과의 본질을 이루는 ‘윤리학적 개념’을 내용으로 하여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온전히 구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treated the core concept to define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But,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not formed a clear definition. On the one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o make a collection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reas' of morality; each area is separated in 'bag of morality'(addi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he state of mind as a whole; mind is the whole and is expressed with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multiplied approac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moral education shows that integration in the moral education has to be defined 'multiplied approach'. Human mind―integrated character― is the 'whole' that is expresse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So,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of human mind as a whole cannot but react at the same time wh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with context of teaching-learning―ethical concepts. Ethical concepts are the results that humankind have quested for meaning of 'integral character' for the long history, and this shows that the moral subject classes that seek the meaning of ethical concepts hold a specific position in building integral character. Ultimately, the moral education is building integral character by 'internalizing' ethical concepts, and this fact alone is enough to show that the moral education has integral nature.

      • KCI등재

        디지털 광고 효과 향상을 위한 Big Data 기반의 목표 그룹 세분화에 대한 연구

        박현진(Hyeon Jin Park),고승곤(Seoung 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0 창조와 혁신 Vol.13 No.4

        Smart TV 보급 확대에 따른 TV 시청 정보 데이터와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기술에 의한 로그(log) 데이터의 증가는 디지털 광고 시장을 확대하였고 현재 미국의 IT 기업인 구글(google Inc.)과 아마존(Amazon, Inc.)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 또한 국내 생산 업체의 세계 Smart TV 시장 점유율 증가와 함께 국내외의 다양한 TV 시청 정보 데이터의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이를 통한 디지털 광고 시장의 국내 기업 진출도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광고 사업의 플랫폼과 수집 가능한 TV 시청 정보에 대하여 소개하고 수집된 Big Data를 활용하여 디지털 광고 효과의 핵심 요소인 광고 대상 세분화에대한 통계적 분류 방법과 사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Growing equipment log data from Smart TV with subsequent improvement in the collection of TV viewing data and ACR technology have expanded the digital advertising market. The trend is currently led by U.S. tech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Amazon. However, as domestic smart TV manufactures increase their global market share, they are gaining more access to diverse se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V viewing data. With increased accessibility, domestic firms are gaining stronger positions in the digital advertisement market. This paper introduces platforms from the digital advertisement industry and types of TV viewing data that can be possibly collected. By utilizing log-based Big Data, the methods and examples of target audience segmentation, a core component of digital advertisement effect, are studied.

      • KCI등재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현진(Hyeon Jin Park),신정욱(Jeong Wook Shin),김재우(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7

        목적: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체의 섬유주세포를 배양한 다음 0.25, 0.50 mg/mL anti-VEGF bevacizumab (BV)을 24시간 노출시킨 다음, carboxyfluorescein을 이용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측정하였고 trans-epithelial 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를 측정하였다. Western blot으로 MMP-1/-2 단백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Griess assay를 이용하여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0.50 mg/mL BV은 carboxyfluorescein의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17) TEER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308). 0.50 mg/mL BV은 MMP-1/-2 단백의 활성을 각각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14, p=0.016), 0.50 mg/mL BV은 NO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23). 결론: Anti-VEGF는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며, 이와 동반하여 MMP-1/-2 단백의 활성과 NO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on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y HTMC cultures were exposed to 0, 0.25, and 0.50 mg/mL anti-VEGF bevacizumab (BV) for 24 hours.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trabecular meshwork cell monolayer was assessed using carboxyfluorescein and trans-epithelial 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The levels of MMP-1/-2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as assessed with the Griess assay. Results: Bevacizumab at 0.50 mg/mL de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significantly (p = 0.017) and did not affect TEER (p = 0.308). Administration of 0.50 mg/mL BV decreased MMP-1 and MMP-2 activities (p = 0.014, p = 0.016, respectively) and inhibited NO production significantly (p = 0.023). Conclusions: Anti-VEGF decreased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HTMC monolayer, which was accompanied by decreased MMP-1/-2 activity and limited NO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