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철화백자와 회화에 나타난 화조문양의 조형성 연구

        박현주 한국도자학회 2019 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2

        White porcelains are a kind of ceramics that existed and prevailed through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Dynasty to its later part since its initial production in the 10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15th Century, hard porcelains were produced by the influence of white and blue porcelains of the Ming Dynasty of China. However, in the 17th Century, historic event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Second Manchu Invasion made the purchase of expensive Chinese white and blue pigments no further available and, as a result, iron oxide porcelains (鐵 畵白磁porcelain made using iron oxide pigment) became hugely popular owing to their good accessibility of pigments everywhere in the country. Along the way, in step with wide distribution of porcelains to the countryside, local porcelain kilns were actively operated. The origin of iron oxide porcelains wa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17th Century when iron oxide porcelains started to get popular in full fashion was their heydays. Iron oxide technique was a decoration method using pigment of ruddle mostly composed of iron oxide. This pigment tends to spread so quickly on the surface once contacting the water that producers must draw the picture in an extremely fast way, but they can express it freely. Iron oxide porcelains, in particular, expressed a diverse range of patterns such as birds and flowers, flowering plants, clouds & dragons and four gracious plants with a bold and picturesque stroke. This study, which conducted comparative research with bird-and-flower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drawn in a similar period with bird-and-flower patterns out of a number of patterns of ceramics, sought to introduce unique pictorial expressions of iron oxide porcelains as shown at bird-and-flower patterns. For this, Chapter Ⅰ discussed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while Chapter Ⅱ examined background of emergence of iron oxide porcelains and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to introduce iron oxide porcelains that expressed the sentiments of the Joseon society in a unique way. Chapter Ⅲ analyzed classification of bird-and-flower paintings and symbolism as appeared in painting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examined examples of work connected to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Chapter Ⅳconducted comparative research with bird-and-flower paintings shown at folk paintings which were drawn in the similar period with bird-and-flower patterns of iron oxide porcelains that attempted diverse pictorial expressions out of diverse porcelains. And it found bird-and-flower patterns were drawn frequently not only in paintings but on ceramics because of their symbolism of good auspice. Along the way, Chapter Ⅴ attempted to vividly represent the feelings of patterns by linking old patterns of ceramics with today's 3D technique. This treatise was a follow-up of the researcher's previous comparative research with paintings regarding iron oxide patterns i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t A Study on Pictorial Expression Shown at Patterns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 Focused on fish patterns at Gyeryongsan celadon. And it sought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patterns on paintings and those on porcelains. And the study suggested two works of 3D as an example in search for a fresh and unique method and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use them in ceramic creation and treatises in a path towards extending ceramics in the pictorial point of view in the future studies. 백자는 고려시대 10세기 이후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 전기에 걸쳐 말기까지 지속된 자기의일종이다. 15세기에는 중국 명대의 청화백자의 영향으로 경질백자가 제작되었고 17세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해 중국에 의존하여 구입했던 값비싼 청화안료가 더 이상 수급이 어려워지자 국내 어디서나 안료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철화백자가 크게 유행하였다. 또한 백자의보급이 지방으로까지 널리 확대되어 지방 백자 가마들이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철화백자의 기원은 고려시대 11세기경부터이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는 17세기는 철화백자의 전성기이다. 철화기법은 석간주(石間硃)라는 산화철이 주성분인 안료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 장식기법을 말한다. 이 안료는 물에 닿으면 빨리 퍼지므로 아주 빠른 필치로 그려야하므로 그림을 자유롭게 그려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철화백자는 대담하고 회화적 느낌의 선으로화조(花鳥)·화훼(花卉)를 비롯해 운룡(雲龍), 사군자류 등 다양한 문양을 표현했다. 본 연구는 백자의 여러 문양 중 화조문양과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조선시대 화조도(花鳥圖)를 비교 연구함으로서 화조 문양을 통해 나타난 철화백자만의 특별한 회화적 표현을 소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논하고, Ⅱ장에서는 철화백자의 발생배경과시기별 특징을 고찰하여 조선사회의 감성을 특유의 방법으로 보이고 있는 철화백자를 소개한다. Ⅲ장에서는 조선시대 회화에서 등장하고 있는 화조도의 분류와 상징성에 대해 분석하고 조선시대 후기로 이어진 작품사례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백자 중에서도 회화적 표현이 다채롭게 시도된 철화백자의 화조문양과 비슷한 시기의 그려진 민화에 나타난 화조도를 비교연구하였으며 화조문양은 길상적 의미의 상징성 때문에 회화뿐 아니라 도자기에서도 많이 그려진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Ⅴ장에서는 도자기의 옛 문양을 오늘 날의 기술인 3D와 접목하여 문양의 느낌을 실감나게 재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앞서 본인이 연구했던 박현주(2018).「분청사기 문양에 나타난 회화적 표현 연구: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물고기문양을 중심으로」『한국도자학연구』Vol.15 No.2 2018. 에서 분청사기에서의 철화문양에 대해서 회화와 함께 비교연구 하였던 사례에 이어 후속으로 백자에서의 철화문양에 대해서 회화와 함께 비교연구 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에 좀 더 색다른방법을 모색하기위해 시범적으로 3D 두 작품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어지는 본인의 연구에서 도자기를 회화적 관점으로 확장하는 도자작품 창출과 대논문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퇴골 내고정술 후 발생된 가성 동맥류에 의한 소모성 혈액 응고 장애

        박현주,임창무,전영수,정덕환,박현주 대한골절학회 1998 대한골절학회지 Vol.11 No.1

        A case of consumptive coagulopathy due to pseudoaneurysm, which occured as a complication of intramedullary nailing, was rarely reported. Pseudoaneurysm of peripheral artery is presented with pulsating mass and may show extrinsic indentations of the adjacent bone. The coagulopathy and bleeding responded to surgical elimination of the fistula and aneurysm. Diffuse intravascular coagulopathy or consumptive coagulopathy is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pseudoaneurysm of deep femoral artery. Laceration of major arteries are more common in open than in closed fractures. They usually occur only when a major artery is in close proximity to bone as complications to fracture. Diffuse intravascular coagulopathy or consumptive coagulopathy is characterized clinically by excessive bleeding, ecchymosis and petechiae and by laboratory evidence of a disease in the numbers of platelets and amount of fibrinogen and an increase of fibrin degradation products with prolonged prothrombin an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When the two coexist, they create a difficult clinical problem that requires optimal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s. If the appropriate treatment was delayed,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sepsis or death could be occured. Prompt recongnition through appropriate laboratory tests and early surgical intervention was indicated essentially, We are reporting one case of coagulopathy associated with pseudoaneurysm of deep femoral artery that presented to the broad clinical picture.

      • KCI등재

        공공번역용 용어뱅크 구축을 위한 제언 - 국립국어원과 IATE 사례 고찰을 중심으로

        박현주 한국통역번역학회 2017 통역과 번역 Vol.19 No.3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concrete suggestions to build a useful term bank for AB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 Early this year,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pened a new website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 for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particularly focusing on culture and tourism. The website intends to serve as a term bank for the public-sector translation, presenting terms and their translations from various government agencies. The ultimate aim is to standardize their usage. Although it is at an early stage,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To help the translator or the main user group more efficiently, the integration should be made at the content level as well, going beyond simply providing the collected data at a single point. Hence, the study examines IATE, or the European Union’s multilingual term base, as a best-practice model. Unlike other papers mostly focusing on IATE’s current functionalities, this study provides a background picture for its creation and draws lessons from its approach to solving the challenges presented.

      • KCI등재

        전국 퇴원자료조사를 통한 소아청소년 간담도 질환의 분석

        박현주,신창균,문진수,이종국,Park, Hyun-Ju,Shin, Chang-Gyun,Moon, Jin-Soo,Lee, Chong-Gu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경제 및 위생 상태의 개선, 의학 기술의 발달로 최근 질병양상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의료의 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국 수련 병원에서 영유아 및 소아 청소년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리 나라 영유아 및 소아 청소년에서 간 담도 질환의 현황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연구는 전국 85개 수련 병원에서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입원했던 진료과에 관계없이 만 18세 이하를 대상으로 ICD-10 진단 체계를 사용한 대한소아과학회와 건강증진사업단에서 시행한 영유아 및 소아청소년 입원 질환의 중장기 변화 추세 조사 및 감시 체계 구축 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에서 간담도 질환자를 분류해서 MS 액세스, MS 엑셀, STATA 10.0을 사용해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간담도 질환을 앓았던 환자는 총 4,151명으로 전체 환자의 5.0%를 차지했다. 간담도 질환 중 간염 환자가 2,385명으로 전체 간담도 환자 중 57.4%를 차지 하면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담도폐쇄증 및 총담관낭을 포함한 선천성 간담도 질환이 524명으로 12.6%를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신생아기에는 선천질환이 많다가 학동기에는 A형 및 B형 간염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담도 수술은 청소년기, 영아기에 가장 많았다. 연도별 간담도 질환의 평균 재원일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재원 환자수는 차이가 현저하지 않았다.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A형 간염의 경우 연중 6, 7, 8월에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퇴원 기록을 바탕으로 영유아 및 소아청소년에서의 간담도 질환의 현황 및 입원 질병부담에 대해 기술하였다. 최근의 소아청소년 간담도 입원 질환 중에서 급성 A형 간염 비중의 급격한 증가는 보다 적극적인 예방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소아청소년 간담도 질환의 경우 그 빈도가 많지 않아 단순 조사로는 역학 자료를 얻기 어려우므로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감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Purpose: To update the epidemiologic information of hepatobiliary diseases in pediatric inpatients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ata throughout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was obtained from the 85 residency training hospitals in Korea to gather the final diagnosis on discharge. The surveyed periods were from 2004 to 2006. All the reports regarding the diagnosis were based on ICD-10 system. In this study, we focused on hepatobiliary diseases. Results: A total of 826,896 cases with discharge data were collected, of which 4,151 (5.0%) hepatobiliary cases were identified; 2,385 cases (57.4%) of hepatobiliary disease were hepatitis, which was the most common hepatobiliary disease. Other diseases included congenital hepatobiliary diseases (524 cases [12.6%]) and biliary diseases (315 cases [7.6%]). The prevalence of hepatobiliary disease according to age differed. Biliary atresia was the most common hepatobiliary disease in the neonatal period, whereas the prevalence of hepatitis increased in adolescents. The total number of hepatobiliary operations was 416 cases. With the comparison of annual data,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hepatobiliary cases.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appeared to decrease graduall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have summarized the recent epidemiology of hepatobiliary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based on discharge data. Hepatobiliary disorders in pediatric inpatient units consisted of diverse disorders with a low prevalence, so multi-center approache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clinical and public health outcomes. To improve this nationwide survey, a new data collect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QoS를 인지하는 Cross-layer MAC 프로토콜

        박현주,김성철,Park, Hyun-Joo,Kim, Seong-Cheo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12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QAC-MAC that supports Quality of Service(QoS) and saves energy resources of the sensor node, and hence prolonging the lifetime of the sensor network with multiple sink nodes. Generally, the nodes nearest to the sink node often experience heavy congestion since all data is forwarded toward the sink through those nodes. So this critically effects on the delay-constraint data traffics. QAC-MAC uses a hybrid mechanism that adapts scheduled scheme for medium access and scheduling and unscheduled scheme based on TDMA for no data collision transmission. Generally speaking,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traffic with higher priority tends to be bursty and has same destination. QAC-MAC adapts cross-layer concept to rearrange the data transmission order in each sensor node's queue, saves energy consumption by allowing few nodes in data transmission, and prolongs the network lifetime. 논문에서는 다중의 sink 노드를 가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의 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지원하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MAC 프로토콜(QAC-MAC)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집 네트워크에서 sink 노드근처의 노드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sink 노드 부근에서 혼잡이 발생하게 되어 지연에 민감한 데이터에 치명적일 수가 있다. QAC-MAC은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면서 전체 네트워크 수명을 높이기 위하여 매체 접근 및 스케줄링을 위하여 경쟁기반 프로토콜과 충돌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TDMA 기반의 데이터 전송 구조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실시간 트래픽은 버스티하고 동일한 목적지를 가지는 특성을 가진다. QAC-MAC은 cross-layer 개념을 도입하여 각 센서 노드에서 동일한 목적지로 향하는 데이터를 재정돈하여 가능한 적은 노드들만이 데이터 전송에 참여함으로 에너지를 절약함으로 전체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