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행동 중심 발달장애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현옥(Hyeon-Ok Park),김정현(Jung-Hyun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 기초 조사, 프로그램 개발, 2차례에 걸친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달장애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전체 10회기(회기 당 약 2시간 소요) 프로그램이며, 2개의 기관에서 총 15명(각 소집단 별 3개 가정, 총 5개 소집단 구성)의 발달장애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양육효능감검사와 양육스트레스검사를 각각 실시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행동 중심 발달장애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녀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부모 스스로 이를 중재할 수 있도록 돕는 10회기의 소집단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맞춤형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 대한 양육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problem behavior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program development, and consultation with expert s review.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approximately 2 hours per session). 15 parents (three families per group, total five group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provided by two institutions in A cit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testing about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For statistical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and reduced parent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need for customized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적 촉진을 활용한 의사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현옥 ( Hyeon Ok Park ),김정현 ( Jung Hyu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시각적 촉진을 활용한 의사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실행기능(처리속도, 작업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A시에 거주하고 있는 경도 지적장애 5, 6학년 학생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지적장애학생에게는 약 3개월 동안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시각적 촉진을 활용한 의사결정훈련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지적장애 학생들에게는 같은 기간 동안 시각적 촉진을 활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집단과 같은 내용의 의사결정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지적장애 학생의 실행기능(처리속도, 작업기억)은 Woodcock-Johnson-Ⅲ Tests of cognitive abilities의 하위 검사 중에서 처리속도 및 작업기억을 측정할 수 있는 각 소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촉진을 활용한 의사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처리속도와 작업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effects their executive functioning after administering the training program of self-determination using visual ai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formulated : What effects do self-determination program using visual aid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processing speed and working memory?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control group=16, experimental group=16). The statical method, t test were used to find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 pre-post test controlled group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ation using visual aid was improved of processing speed. Second, self-determination using visual aid was improved of working memory. As a result, the self-determination using visual aid had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general improvement of the executive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MMCP에 근거한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음악 인지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여광응 ( Kwang Eung Yeo ),박현옥 ( Hyeon 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3 No.1

        최근 정신지체아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으나 그들 특유의 인지적·정의적 결함으로 인해 종래의 일반적(전통적)인 음악수업만으로는 음악 인지를 발달시키고, 성공적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MMCP(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에 근거한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음악 인지과제(음악 동일성, 음악 유목화, 음악 서열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아동 3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에 걸쳐 MMCP에 근거한 음악활동 중재를 실시한 후, 음악 인지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단일대상 연구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MMCP에 근거한 음악활동은 정신지체아동의 음악 동일성과 음악 서열화 과제 수행능력의 향상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음악 유목화 과제 수행능력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ask competence - music identification, music classification, music serial -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MCP(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For the study, thre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enroll at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or special schools. and The procedure applied to the study centered upon competencies`` changes of music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MCP. The instrument of train was used M-PACD in behalf of program of music activities through MMCP. I reveal that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as : First, after applying to music activit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MCP, competence of music identification task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e all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after applying to music activit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MCP, Music activities through MMCP have no effect on competency of music classification. Third, after applying to music activit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MCP, Music activities through MMCP have an influence on music serial Competence. In this results, we know that study``s results coming out music classification, serial and identification in regular sequence in study``s results of general children contrasted strikingly with thos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is results were showed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a more relatively difficulties in competence of music classification than music identification and serial. Considering above conditions, further suggestions are follows as : First, It should be needed study of how to combine existing music class and music class through MMCP. Second, It should be needed systematic development of program appropriate to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consideration of unique behavior, learning characteristic and given condition. Third, It should be needed concrete tool``s development of evaluation to evaluate music competence in quality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후보

        FIE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재학습경험이 경도정신지체아의 인지기능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여광응 ( Kwang-eung Yeo ),박현옥 ( Hyeon-ok Park ),함윤주 ( Yoon-ju Ha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이 연구는 FIE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재학습경험이 경도정신지체아의 인지기능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피험자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 정신지체아 중에서 충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아동 16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이며, 피험자들에게 총 44회기에 걸친 FIE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재학습경험을 제공한 다음,이것이 피험자의 인지 기능과 충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 대해 사후 검사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IE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재학습경험은 경도 정신지체아의 인지기능 향상과 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FIE) program was designed to modify the cognitive structures of the mentally retar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diminution of impulsiv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of Korea. Original FIE program are consisted of 14 sections. This study used 1 section of them(Organization of Dots). In this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 experimental design was constructed to test the effects of FI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impul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mentally retarded children between the age of 7 years and 11 year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residental center located Daegu, Korea. 8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8 mentally retarded childr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FIE program, Organization of Dots during 44 hours. To obtain, the experimental data, 3 cognitive tests and 1 impulsive test were used: Raven``s Progressive Matrices Test(RPMT), Representational Stencil Design Test(RSDT), Means-Ends Problem Solving Ability Tesr(MEPSAT), and Matching Familiar Figure Test(MEET). The result says that (1) score of RPMT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h the control group, (2) score of RSDT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h the control group, (3) score of MEPSAT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h the control group, (4) score of MEET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 the effects of FI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diminution of impulsiv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However, because this study was trained only ``Organization of Dots`` in FIE program, the result were not noteworthy enough. therefore, to get more perfect results, we need to train ‘full FIE program`` designed by Feuerstein.

      • KCI등재후보

        자기교시훈련이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일상생활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능력과 유지에 미치는 효과

        여광응 ( Kwang-eung Yeo ),박현옥 ( Hyeon-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이 연구는 자기교시훈련이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일상생활 문제해결 과제(책상 닦기, 블라인드 내리기, 전자레인지로 피자 데우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연구의 대상은 D시의 S특수학교 고등부인 중증 정신지체학생 4명이며, 실험은 S 특수학교 직업교과 교실에서 실시하되, 관찰학습에 의한 간접학습 배제를 위해 대상 학생 각각을 서로다른 시간대에 배치하였다. 기초선과 중재, 유지기간을 포함한 전체 실험은 총 30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중재 1회기 당 약 30분간 실시하고, 변화율을 피험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교시훈련은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3가지 일상생활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문제해결 과제 수행능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could learn to use self instructional strategy training to produce a generalized response and to increase self-instructional levels. Specifically, fourstudents with I. Q range from 46 to 60, attending special school, were taught to usethe self-instruction strategy to solve three task related problems. Each session consisted of 30minutes, which was implemented in a special school part of the classes. The terms of sessions were variated to each subject range from 7 to 24, with finishing for each subject to success three times continuously. Experimental design employ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Self-instruction strategy with multiple exemplar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ask related problem solving 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

        강수지(Su-Ji Kang),박현옥(Hyeon-Ok Park)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해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소재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 18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에게는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요구하고, 연구 문제별로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며,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는 발달의 여러 영역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으며, 장애유아 간 또래교수에 대해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이 보육교사에 비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about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special infant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about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186 teachers of special day care center in G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rough survey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special infant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about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is positive, and they think they can apply peer tutoring to various fields. In addition,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have a 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eer tutoring among infants with disabilitie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have, and the percept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on peer tutoring among infant of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