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난 이후 북한 가족의 사회연결망 강화전략

        박현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2 한국문화연구 Vol.2 No.-

        In the face of economic crisis and food shortages in the mid of 1990s, the North Korea has reached at the state of being paralyzed in function of the distributor of the nation. This dissertation starts from the perception about where the power to sustain the North Koreans’ lives is from in the face of this crisis. O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the fundamental driving power to keep the North Korea system is found not in the political ideology, at an abstract level but in the family unit, at a concrete one. That means the strategic response in the terms of the family unit, the survival unit of North Koreans. The North Korean family exert its driving power as a survival unit to overcome the family crisis which is family poverty, ensuring the family unit reproduction. The family strategic respons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ember of family which consists of a family and material resources, by that response the family survival and guaranteeing of the reproduction are determined. Hence this dissertation aims to identify the strategic deeds which are called as the North Korean family’ social network coping with the structural crisis, analyzing the North korean family’s reproduction mechanism at behavioral level, which had just been discussed at structural level until now. This dissertation is on the family strategy as the theoretical base. Family strategy means that a family maximizes its profit in coping with the pressure of structural change, and it reveals specifically as family subsistence strategy, the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social network etc. The studying methods of this dissertation are a questionnaire, surveying 165 respondent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from the North and a case study on 20 respondent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from the North. The North Korean family experiences the social network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or family subsistence strategy. It means that they utilize not only the personal connections such as relatives, neighbors, friends but also the public connections such as job place, social organizations, the authorities or the nation. When comparing the North Koreans ‘utility perception - utility degree - increase of utility degree’ toward social network, the degree is lower than perception, the increase of utility is lower than utility degree since economic crisis. On one hand, this tendency means that the North korean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which consists of it have being experienced the depletion of intrinsic sources. On the other hand, it implies that in the situation of people’s not being satisfied much less than expected the relative dispossession can be caused. The utility forms of the North Korean family’s social networ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family is utilizing the personal connections most actively such as relatives, friends among social network. Through analyzing kinship as the personal connections, we can find the evidence of coexistence of "man-centered paternal kinship" and "non-man projecting maternal and paternal kinship." Second, the North Korean family uses the public connections in the form of presenting a kind of bribe for the authorities or job place and getting a kind of privilege in return. By this the mechanism of activating non-public relation of public range, and of presenting a bribe and getting a privilege from that can be identified. The North Korean family guarantees its survival through the social network like this. Social network utility itself ensures subsistence directly because of containing material supports, while of public connections utility functions as the condition for being guaranteeing on reproduction activity or supporting the economic activity. This imply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for securing people’s lives and family lives is transferred to a family unit, filtering the complaints for nation within a family unit, the low structure.

      • KCI등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지원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박현선,김지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지원하는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와 문헌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미술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활동 초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또래와 갈등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이 중기로 접어들면서 유아들은 서로 어울리고, 양보하고, 협상하기 시작하였고 프로그램 후기에는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 모두 나누고, 돕고, 협력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수용하고 있는 교육 기관에서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문화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개인의 스마트 가전 전환 이유 : Push-Pull 이론을 바탕으로

        박현선,김상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2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같은 4 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정보기술들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들 기술들을 탑재한 스마트 가전의 경우 아직은 초기 단계라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고 업계에서의 관심도 높아지면서 앞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마트 가전이 정보기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일반 가전에서 스마트 가전으로 전환하려는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가전에 주목하고 있는 가전 업체들에게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주이론과 전환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일반가전에서 스마트 가전으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push 와 pull 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전환비용을 조절변수로 제안하여 Push, Pull 의 범주에 포함된 요인들과 전환의도 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모든 가설의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스마트 가전에 대한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관련 업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건강한 흡연자의 흡기 및 호기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박현선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8 No.5

        Purpose: To evaluate the lung changes in healthy smokers, as seen on inspiratory and expiratory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Material and methods: Twenty-seven healthy smokers (light smokers,below 20 pack-years, n=16; heavy smokers, above 20 pack-years, n=11) and 25 nonsmokers underwent inspiratory andexpiratory HRCT. All healthy smokers had normal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radiography. Parenchymal andsubpleural micronodules, ground-glass attenuation, centrilobular and paraseptal emphysema, bronchial wallthickening, bronchiectasis and septal line were evalvated on inspiratory scan and by air-trapping on expiratoryscan. Results: On inspiratory scan, parenchymal micronodules were observed in one of 25 nonsmokers(4%), two of 16light smokers(13%) and five of 11 heavy smokers(45%); subpleural micronodules in two(8%), four(25%), two(18%);ground-glass attenuation in 0(0%), one(6%), three(27%); centrilobular emphysema in 0(0%), one(6%), three(27%);paraseptal emphysema in three(12%), 0(0%), five(45%); bronchial wall thickening in 0(0%), two(13%), one(9%),bronchiectasis in 0(0%), one(6%) two(18%) and septal line in one(4%), four(25%), two(18%). On expiratory scan,air-trapping was detected in 0 of 15 nonsmokers(0%), two of 17 light smokers(12%), and five of 11 heavysmokers(4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groups were found in parenchymalmicronodules(P=0.006), ground-glass attenuation(P=0.008), centrilobular emphysema(P=0.018), paraseptal emphysema(P=0.005) and air-trapping(P=0.013) between these three group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HRCT,heavy smokers had higher frequency of parenchymal micronodules, ground-glass attenuation, centrilobular andparaseptal emphysema, and air-trapping than nonsmokers and light smokers.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과업수행 수준의 상호작용이 종업원의 조직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종업원 침묵을 통한 상사의 과업수행 수준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선,정현선,박동건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2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지만 좋은 성품은 겸비하지는 못한, 이른바 ‘일 잘하는 못된 상사’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끼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과업수행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종업원 침묵을 통해 조직 냉소주의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재 조직에 종사하고 있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개인의 조직 냉소주의 지각의 관계는 상사의 과업수행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상사의 과업수행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종업원의 조직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은 종업원의 침묵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부하직원이 상사의 비인격적인 말과 행동을 경험할 때, 상사가 일을 잘하는 사람이라면, 의사소통 상황에서 부하직원은 침묵하게 되며, 이를 통해 조직의 몰입을 저해하고, 직무불만족, 이직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조직 냉소주의로까지 확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 냉소주의에 미치는 비인격적 감독, 과업수행 수준, 침묵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변적 존재의 자기 인식 과정 -최명희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박현선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현대소설연구 Vol.- No.24

        It appears the woman characters and narrators in Choi Myoung-Hee's short story, who discover the contradiction of habitual perception inside themselves and fall into the chaos, who find 'the general women problems' or 'a part of herself' through contacting to another women in distorted life caused by men-centered society. Their chaos and finding are continued to the search for recognition of convention and rules in patriarchism and their identity. In the process, it presents the state which their fathers are absent, which means there is no centrality can be put in the same category. Woman characters or narrators in Choi's short story can't help seeking for their truly real 'I' under uneasiness. And they reveal the change of consciousness by means of contacting to other figures. When their contacts are made between women, they experience 'interaction'. But they can't feel mutual understanding with male character, which means a hint of breakaway with patriarchism. The aspect of choi's story intends to express the beginning of identity variation is 'the inner part of woman', not 'in the society'. Say in other word, it suggests that the root recovery of woman identity can be obtained by introspection. 최명희의 단편소설에는 여성 인물 및 여성 화자가 주로 등장하는데, 이들은 자신에게 내면화되어 있던 습관적 인식의 모순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혼돈에 빠지거나 남성중심의 세계 속에서 왜곡된 삶을 살아가는 다른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여성 일반의 문제’ 또는 ‘자신의 일부’를 발견한다. 그리고 이들이 겪게 되는 혼돈이나 발견은 가부장제의 관습과 규율에 대한 재인식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아버지 부재 상황이 제시된다. 아버지 부재는 동일시할 구심점의 부재를 의미한다. 최명희 단편소설의 여성인물이나 여성화자는 불안한 가운데 새롭고도 진정한 자아를 탐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다른 인물과의 접촉을 통해 의식의 변화 과정을 드러낸다. 여성화자나 여성인물의 대상이 여성인 경우에, 이들은 상호 소통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남성과의 만남에서는 상호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것은 가부장제와의 결별 의지를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최명희 단편소설의 양상은 정체성 변화의 시발점이 ‘세계’가 아닌 ‘여성의 내부’에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 정체성의 근본적 회복은 내면적 성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내재화문제에 미치는 종단매개효과분석: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7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on internalized probl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mother's depression.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his study used wave 1(2011), wave 2(2012), and wave 3(2013)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Welfare Panel, which consists of 459 matched pairs of immigrant women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Gyeonggi-do.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having high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severe depression, which in turn increase the likelihood of having more severe internalized problems.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children's internalized problems through mothers'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ediated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upports the theoretical hypothesis asserting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ental health in families, and suggests the need for facilitating the interventive approach to decreas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level in order to prevent a nega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이중고가 본인의 우울을 통해 아동의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매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2011)- 3차년도(2013) 자료에서 경기도거주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쌍체로 표집한 918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부트스트래핑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1차년도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2차년도의 본인의 우울수준을 증가시키는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3차년도 학령기 자녀의 내재화문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을 통해 내재화문제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내재화문제에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이 주요한 위험요인이자 부정적인 정신건강산물의 세대전이효과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아울러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는 일반적인 자녀양육스트레스보다는 주류문화에 대한 적응스트레스가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내재화문제 예방을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아동개인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가족체계에 대한 지원과 개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개입은 이주여성 본인뿐만 아니라 학령기 아동의 발달산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독일어의 시제체계와 쓰임에 관하여

        박현선,Park Hyun-Sun 한국독어학회 2002 독어학 Vol.6 No.-

        In der Grammatik $f\"{u}r$ die Lernenden werden die deutschen Tempora nach dem lateinischen Vorbild dargestellt: $Pr\"{a}sens,\;Pr\"{a}teritum$, Perfekt, Plusquamperfekt, Futur I und Futur II. Und diese sechs Tempora werden in die drei Zeitstufen kIassifiziert: Gegenwart, Vergangenheit und Zukunft. Aber die Zeitformen $k\"{o}nnen$ nicht in direkter und geradliniger Weise auf bestimmte objektive Zeiten beziehen. Das $Verh\"{a}ltnis$ zwischen Zeitinhalt und Zeitform ist verwickelter und komplexer. Man denkt nach, wie viele Tempora es in der deutschen Sprache gibt und warum die Tempora Funktionen, die nicht nur Zeitinhalt, sondern auch andere Inhalte(z.B. modale) $ausdr\"{u}ken$, haben. Urn die Probleme zu $erl\"{a}utern$, sollen wir die deutschen Tempora von der lateinischen Tempuskategorie abtrennen und ein geeignetes Tempussystem $f\"{u}r$ die deutsche Sprache suchen. Dazu $m\"{u}ssen$ wir beobachten, Wie die deutschen Tempora konstruiert wurden. Im Lateinischen handelt es sich bei allen sechs Tempora um Verbformen, um bestimmte ($n\"{a}mlich$ die indikativischen) Formen des finiten Verbs. Im Deutschen aber finden wir unter den Tempora nur zwei richtige Verbformen $(Pr\"{a}sens\;und\;Pr\"{a}teriturn),\;die\;\"{u}brigen$ Tempora sind verbale Komplexe, drei zweiwortige (Perfekt, Plusquamperfekt, Futur I) und ein dreiwortiger (Futur II). Und das deutsche Tempussystem besteht aus den zwei Polen: Vergangenes und Nicht-Vergangenes oder $Temporalit\"{a}t\;und\;Atemporalit\"{a}t$. Die Tempusform $Pr\"{a}teritum\;geh\"{o}rt\;zu\;Temporalit\"{a}t$ und die Tempusform $Pr\"{a}sens\;zu\;Atemporalit\"{a}t$. Das $Pr\"{a}sens\;und\;das\;Pr\"{a}teritum$ sind die Grundtempora im Deutschen und die $\"{u}brigen$ Tempora sind die durch den Aspekt erweiterten und die zusammengesetzten Tempora. Sie haben deswegen die inneren Merkmale Aspekt und Modale $au{\ss}er$ Zeitbezug. Wir $k\"{o}nnen$ diese inneren Merkmale im Tempusgebrauch feststellen. Als Funktionen der Tempora der deutschen Sprache im Tempusgebrauch sind zu registrieren: Bezeichnung zeitlicher Gegebenheit, modale Implikationen, Aspektangaben und semantische Akzentuierungen. Und noch eins: Die Funktion des neutralen Referieren des Inhaltes durch das atemporale $Pr\"{a}sens$. Das $Pr\"{a}sens$ wird durch diese Referentfunktion zu dem Haupttempus auch in der geschriebenen Sprache. Trotzdem nennt man das $Pr\"{a}teritum$ in der geschriebenen Sprache das Haupttempus. Ist das $Pr\"{a}teritum$ dann in der Tat in der geschriebenen Sprache das Haupttempus? Genau genommen ist das $Pr\"{a}sens$ offenbar ein Haupttempus. Es wird nicht nur in der gesprochenen Sprache, sowohl auch in den geschriebenen nichtbelletristischen Texten $haupts\"{a}chlich$ benutzt. Aber nur die belletristischen Texte werden durch das $Pr\"{a}teritum$ beherrscht. Der Gebrauch des $Pr\"{a}teritums$ als Haupttempus $beschr\"{a}nkt$ sich nur auf die Belletristik. Wir glauben, die Untersuchung $\"{u}ber$ den Tempusgebrauch und die Tempusfunktion in den verschiedenen Textsorten sei besonders dem Nichtmuttersprachler wichtig, weil die Textsorten beim Tempusgebrauch eine Wahl des Tempus beeinfluss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