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박현규,이재목,Park, Hyun-Kyu,Lee, Jae-Mok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2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심미적인 부위에서의 외과적 정출술

        박현규,박진우,서조영,이재목,Park, Hyun-Kyu,Park, Jin-Woo,Suh, Jo-Young,Lee, Jae-Mok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2

        As a general treatment modality of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mplant or crown and bridge therapy after extraction of affected tooth can be used. But as more conservative treatment, crown lengthening can be considered and not to lose periodontal attachment and impair aethetic appearance, surgical extrusion can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report, 3 cases of surgical extrusion was represented and appropriate time for initiation of end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ost-surgical tooth mobility was investigated. In 8 patient who has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ntracrevicular incision is performed and flap was reflected with care not to injure interproximal papillae. With forcep or periotome, tooth was luxated and sutured in properely extruded position according to biologic width with or without $180^{\circ}$ rotation. 8 cases show favorable short and long term results. In some cases, surgical extrusion with $180^{\circ}$ rotation can minimized extent of extrusion and semi-rigid fixation without apical bone graft seems to secure good prognosis. In 8 cases, endodontic treatment started about 3 weeks after surgery. This time corresponds with the moment when mobility of extruded tooth became 1 degree and this results concide with other previous reports. If it is done on adequate case selection and surgical technique, surgical extrusion seems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lty to replace the implant restoration in aethetic area.

      • KCI등재
      • KCI등재

        TEOS/염기 및 MTMS/산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반사방지 코팅막의 특성

        박현규 ( Hyun-kyu Park ),김효섭 ( Hyo-sub Kim ),박주식 ( Chu-sik Park ),김영호 ( Young-ho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3

        반사 방지(anti-reflective; AR) 코팅막의 광학 특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tetraethylorthosilicate (TEOS)/염기 및 methyltrimethoxysilane (MTMS)/산 혼성 용액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AR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R 코팅막은 UV-Vis, 접촉각 측정기, AFM, FT-IR 및 연필 경도 시험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MTMS/산 용액의 함량이 10 wt%인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AR 코팅막에서 유리 기판은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97.2%의 투과율), 우수한 내오염성(121°의 물 접촉각 및 90°의 CH<sub>2</sub>I<sub>2</sub> 접촉각), 중간 정도의 기계적 강도(4 H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우수한 내오염성은 기판의 표면 위에서 혼성 용액 내 소량의 MTMS/산 용액으로부터 유래된 메틸기(-CH<sub>3</sub>)의 고른 분산에 기인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연필 경도 시험 결과로부터, AR 코팅막의 기계적 강도는 MTMS/산 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mpr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ntifouling of anti-reflective coating (AR) films, various AR coating film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etraethylorthosilicate (TEOS)/base and methyltrimethoxysilane (MTMS)/acid hybrid solution. Prepared AR coating films were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contact angle analyzer, atomic force microscope (AFM), FT-IR and pencil scratch hardness test. In an AR coating film that prepared from the hybrid solution with a 10 wt% MTMS/acid solution, the glass substrate showed an excellent optical property (97.2% transmittance), good antifouling (121° water contact angle and 90° CH<sub>2</sub>I<sub>2</sub> contact angle) and moderate mechanical strength (pencil hardness of 4 H).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 good antifouling was due to the well dispersion of the methyl group (-CH<sub>3</sub>), derived from a small amount of MTMS/acid solution in the hybrid solution, on the substrate surface. From results of the pencil hardness test, the mechanical strength of AR coating film was improved as the content of MTMS/acid solution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문순득 행적과 기록에 관한 차기(箚記)

        박현규 ( Hyun Kyu Park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본 논문은 조선 순조 연간에 일어났던 문순득과 그의 일행의 표류 행적과 기록에 관해 선행학자들이 다루지 않았거나 미진했던 몇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전라도 牛耳島에 사는 문순득은 유구국에 표착한 이래 또 다시 여송국에 표착했다가 그 후 마카오, 중국 대륙을 거쳐 본국으로 귀환했다. 한문을 조금 할 줄 아는 문순득은 본국으로 귀환할 때 표류 과정을 담은 『路程記』를 가지고 있었다. 『노정기』는 훗날 丁若銓이 『漂海始末』을 편찬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이도 관할지 羅州牧이 기술한 문순득 표류담을 보면 현존 유일본 『표해시말』과 다른 내용이 일부 들어가 있어 또 하나 판본의 『표해시말』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표해시말』에 기술된 장강 일대의 여정은 지명이 잘못되거나 앞뒤가 뒤섞여 있어 오류가 많다. 문순득 표류건은 국제적인 사건답게 당시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여러 국가(마카오를 관장한 포르트갈 포함)가 관련되어 유구국 통사의 경우처럼 많은 사람들이 널리 인지하고 있었다. 문순득이 표류한 경험담은 조선 조정에게 교류가 힘든 다른 국가의 정보를 제공해주었고, 또한 실학자에게 해양 문화와 세계 인식을 촉발시켜 시야를 크게 넓혀주었다. 앞으로 조선의 대유구, 여송국, 마카오(포르트갈 포함)의 교류사, 유구국과 여송국의 풍속과 발음, 중국의 대여송국 이민사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믿어진다. This article is a academic writing that concentrates on a few matters concerning the drifting activities of Moon Sundeuk(文淳得; 文順得; 文順德) and his company in the reign period of Sunjo of Joseon dynasty, in which previous scholars did not notice or did incompletely. Moon Sundeuk who lived in Ui Island drifted on the coast of the Kingdom of Liuqiu(琉球; Okinawa) and then onto the Kingdom of Luzon(呂宋國; Philippines). Later on, he returned to his own coutry through Macao and China. Returning to his own country Moon Sundeuk who could understand a little Chinese took with him a book Lojeong ji(『路程記』) which recorded the course of drifting. It is estimated that later Jeong Yakjeon(丁若銓) might have utilized the book as basic raw material. The narrative of Moon`s drifting experience has provided to the court of Joseon useful pieces of information about other countries which were difficult to exchange and stirred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to realize the existence of marine culture and the world and then enhance their vision. I believe that this document will be utilize as very important material to research on the history of exchange between Joseon and the Kingdom of Liuqiu, Luzon, and Macao including Portugal; the custom of the Kingdom Liuqiu; the history of Chinese emigrant into the Kingdom of Luzon.

      • KCI등재

        논문(論文) : 대만(臺灣) 이일도(李逸濤) ≪춘향전(春香傳)≫의 텍스트 출처와 특징 - 일본(日本) 高橋佛焉 ≪춘향전(春香傳)の경개(梗槪)≫와 비교를 위주로

        박현규 ( Hyun Kyu Park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The Textual Source and the Distict Features of the Chunxiang zhuan(≪春香傳≫) of Li Yitao(李逸濤) Edition in Taiwan:Focusing on Comparing It with Takahashi Futsuyen(高橋佛焉)`s Shunkoden no gogai(≪春香傳の梗槪≫)Chunxiang zhuan of Li Yitao`s edition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Hanwen(漢文) Taiwan ririxinbap of Taiwan in 1906 is the earliest Chinese edition published in Chinese cultural areas. It was based on 16 pages` woodblock edition(A) of Chunhyang jeon(≪春香傳≫; 京版16章(가)), 16 pages` woodblock edition(B)(京版16章(나)), 17 pages edition(京版17章), 23 pages edition(京版23章), and 20 pages edition in Anseong(安城版20章) and Takahashi`s Shunkoden no gogai. But Chunxiang zhuan of Li`s edition contain so many scenes which does not appear in Chunhyang jeon or Takahashi`s Shunkoden no gogai. In other words, Li broke from the level of literal translation of text or simple adaptation to add many newly created contents and made it a kind of adaptation which is closed to creative work. There are three element forming the background that Li could adapt drastically Chunhyang jeon. First, there were many rooms for newly adaptation because the text of Shunkoden no gogai is an abridged translated edition. Second, the author changed it into a Taiwan style with China-centered notion. Finally, he introduced a new technique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new nowel. I think Li`s Chunxiang zhuanh is worthy of notice in the light of the extention of Korean traditional novel and study on it`s pedigree of overseas edi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