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민간경비 산업의 다각화와 발전 전략: 성장 저해요소 분석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2 No.4

        This study attemp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xpansion strategy and obstacles of the modern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grown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ublic security services and meeting individual and private needs, and to this end,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has been expand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providing customized security services to individual and private areas, utilizing technology-oriented security services, and organically integrating manpower and machines to provide safety and status information. However, the modern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facing a number of obstacles. Examples of these factors were self-accidents and crimes, lack of marketing, problems related to the manpower-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acidity of non-integrated organizations. These factors were found to undermine the perception and trust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ethics education, marketing strategies, improvement of manpower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effort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entralization and cooperation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처벌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한호,김동현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1

        As the cyber world, such as the surrealism-oriented metaverse, is approaching, you will have a new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crimes like real life will be done as if they are real in cyberspace. Furthermore, it also means that cyber crimes that transcend crimes in the real world can occu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he degree of fear of crime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ear of crime. Real crimes can be stopped through punishment, but cyber crimes are difficult to punish depending on their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that individuals have can directly affect their fear of crime. The resolution of crimes such as cybersex crimes is not initiated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but rather by reports from victims or witnesses, and these reports are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Assuming that the actions of victims or witnesses are not rational, and that psychological mechanisms work,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celerity, severity, and certainty, which are the 3 key elements of criminal justice authorities' punishment for cyber sex crimes, and considers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the frame of these three levels of awarenes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sychological fear of perceived crime was measur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methods, and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severity of punishment among the perceptions of punishment predicted cyber sex crime fea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lower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strict punishment by strengthening the sentencing judgment for cyber sex crim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초현실주의를 지향하는 메타버스와 같은 사이버 세계가 눈앞에 다가온 만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반대로 현실과 같은 범죄가 사이버상에도 실재하는 것처럼 이루어질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온라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현실세계의 범죄를 초월한 사이버 범죄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의미한다. 범죄두려움은 유형에 따라 범죄두려움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현실범죄는 처벌을 통해 범죄의 행위를 정지시킬 수 있지만 사이버 범죄는 수법과 그 특성에 따라 처벌이 어려운 범죄이다. 따라서 개인이 갖고 있는 처벌에 대한 인식이 직접적으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이버 성범죄와 같은 범죄의 해결은 형사사법기관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신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신고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행위는 이성적이며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리적인 기재가 작용한다는 점을 가정한다면 사이버상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성범죄에 대하여 형사사법당국의 처벌의 3요소인 신속성, 엄격성, 확실성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 세 가지의 인식수준의 틀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두려움 고찰하여 지각된 범죄에 대한 심리적 두려움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방법, 주요 분석 결과는 처벌에 대한 인식 중 처벌의 엄격성만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양형판단을 강화하여 엄중한 처벌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 범죄 억제인식에 대한 연구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인식이 범죄신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In general, the definition of crime is important to victims. In cyber crime, the definition of crime is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life or body, but rather related to property, honor, or efforts to overcome damage. It is also because specialized knowledge is sometimes required to recognize cyber crime. Therefore, cyber crime victims are redefined for crime damage. In this process, victims generally consider the size of the damage, whether or not to recover,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degree of support from a cost-benefit perspective to recover the damage. Even if they hav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cyber crime, they are not only limited in economic and time to recover damage, but also have limited powers for investigation, so they intend to recover the damage as well as the progress and spread of the crime through reports from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wo major questions. First, does the procedure and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affect the intention to report? Second, it is whether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perception of suppression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s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port. As cyber crime detection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 technology to avoid it also intelligently evolve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victim. For all crimes, elaborate countermeasures are made when the overall reality of the crime is accurately identified. Given this, the increase in reports of cyber crime will reduce the male and female rates. As a result, rapid interven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yber crime will contribute to suppressing crime and preventing crime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is study was surveyed centering 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in cyber activitie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intentions of reporting cyber crime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is a very important determinant of report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report to criminal justice agencie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s important among the factors to consider for recovering damage through redefinition of cybercrime damage. 일반적으로 피해자에게 범죄라는 정의는 중요하다. 사이버 범죄에서는 더욱 더 범죄에 대한 정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직접적으로 생명·신체와 관련되기 보다는 재산과 명예 또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이버 범죄의 인식을 위해 전문지식이 요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 피해자는 범죄피해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피해를 회복하고자 하는 행동에 일반적으로 비용 편익적 관점에서 피해규모, 회복여부, 회복정도, 지원정도 등을 고려하게 된다. 사이버 범죄에 대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피해회복을 위한 경제적·시간적 한계뿐 아니라 수사에 대한 권한이 한계로 형사사법기관의 신고를 통해 범죄의 진행과 확산은 물론 피해를 회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 대하여 해결을 시도한다. 첫째, 형사사법기관의 절차와 신뢰가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형사사법기관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억제인식이 신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바로 그것이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탐지기술은 날로 발전됨과 동시에 이를 회피하는 기술 또한 지능적으로 진화하여 피해자가 피해인지를 어렵게 만든다. 모든 범죄는 범죄의 전체적 실태가 정확히 파악될 때 정교한 대책이 만들어진다. 이 점을 감안한다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신고의 증가는 암수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이버 범죄의 인지에 따른 신속한 개입은 범죄를 진압하고 장기적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사이버 범죄에 대한 인식과 신고 의향에 대해 분석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중요한 신고의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기대가능성이 존재할 때 형사사법기관에 신고할 의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이버 범죄 피해의 재정의를 통한 피해회복의 고려요인 중 형사사법기관의 신뢰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찰활동 -초연결 시대의 치안정보 활용-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utilization strategy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of Police Organization and the political plan in accordance with the Hyper-connected Era.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information became very hig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brought about. The Security Information also becomes to be utilized actively as the Hyper-connected Era is commenced. Because of this, the character of collected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range also should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case of United States, the Police Activity has been being performed by developing the crime preven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to the Hyper-connected Society already; China also is deploying the Police Activity in relation to the Security Information of Hyper-connected Society. The thesis to be treated in the utilization plan of Security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to the Hyper-connected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ecurity Strategy as the new trend and political assign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Issue is treated in this research. The actual state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example of Security Activity through the tendency of Police Activity utilizing the Hyper-connected Environment of Police Institution, the current status for the disclosure of Police Information and the Hyper-connected Environment of each nation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prevention plan, etc. of regulation misuse has been proposed through the first, the public agreement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social discussion with the nation), seco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and utilization of private analysis through the codifica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third, the standardized data collection and provision for the utilization of private analysis and lastly, the system building of automatic collection and automatic connection and the public Regulator. 이 연구의 목적은 초연결 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치안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치안 전략의 한계점 및 향후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근래에 들어 초연결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정보의 활용과 가치가 매우 높아졌으며, 치안정보에서 또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수집되는 치안정보의 성격과 그 범위 또한 초연결 사회와 관련해 논의되어야 할것이다. 미국의 경우 이미 초연결 사회 진입에 따른 범죄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찰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초연결사회의 치안정보와 관련해 경찰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경찰행정이슈의 새로운 동향과 정책적 과제로 초연결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치안정보의 활용방안과 치안전략의 수립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논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분석을 위해 경찰기관의 초연결 환경을 활용한 경찰활동 경향, 경찰정보 공개현황, 각국의 초연결 환경을 통한 치안활동 사례를 통하여 실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치안정보에 대한 공공의 합의(국민과 사회적 협의) 둘째, 민감한 정보의 코드화를 통한 정보공개와 민간분석의 활용 셋째, 민간분석의 활용을 위한 표준화된 자료 수집과 제공, 마지막으로 자동수집 및 자동연결 시스템 구축과 공공 규제기관(Regulator)을 통한 규제 오용방지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에 대한 시민의 수용성 연구: 경찰 효율성, 시스템 안정성, 범죄 두려움, 사생활 침해, 경찰 정당성, 경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한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LFRPS)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olicing innovations. This is because concerns about personal data and privacy infringement are rai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predict citizens' acceptability, focusing on factors that are concerned when using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at a time when empirical research on the police's use of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seek way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police and citizens in the process of using new policing technology and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that increases police efficiency by utilizing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itizens (public) who are parties to the security service, and SPSS was used as the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was highly receptive when it was not infringing on citizens' privacy (β=-0.428***), and the higher the police's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β=0.402***),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accept it, an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means (β=0.358***).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β=-0.197*) showed that stability and reliability should be secured for automated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predictive security systems (Fredfall, Hunchlab) will be combine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the police to actively utilize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 should not be impaired in case citizens perceive it negatively rather than the completeness of the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learly justify the purpose and use of the new policing technology, and as i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to be automated, it is proposed to secure reliability in the system.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LFRPS)은 최근 가장 논란이 많은 치안 혁신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이들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 데이터 및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아직 시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활용 시 우려되는 요인을 중심으로 시민의 수용성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그 영향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신치안기술의 활용과정에서 경찰과 시민들 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활용하여 경찰의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안서비스 당사자인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시간 안면인식의 활용은 시민의 사생활을 침해(β=-0.428***)하지 않을 때 수용성이 높았고,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이 치안활동의 효율성(β=0.402***)을 높인다고 판단할수록 수용의사가 높았으며, 수단적 측면에서도 정당화(β=0.358***)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더불어 향후 인공지능(AI)과 예측치안시스템(프레드폴, 헌치랩) 등이 결합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라 자동화된 시스템에 대해서도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석 결과(β=-0.197*)로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경찰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완성도보다 시민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인식이 손상되지 않아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치안 신기술에 대한 사용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하게 정당화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화될 인공지능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으로 구현이 예상되는 만큼 시스템상의 안정화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유경제시대의 치안논의

        박한호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4

        연구목적 : 공유경제의 성공은 공유자와 사용자 모두가 안전할 때 성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공유경제 현상과 범죄현상에 대한 상호작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 범죄현상과 구분되는 공유경제와 관련 범죄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공유경제와 관련한 범죄를 예방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공유경제현상에 따른 범죄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보고된 공식자료와 보도된 정보(정책 브리핑 자료 및 뉴스 기사) 그리고 전문저널 등의 문헌을 중심으로 범죄현상을 분석하는 문헌문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더불어 분석된 범죄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분석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결론 : 공유경제현상의 안정화는 공유자, 사용자, 플랫폼 제공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공자와 공유자 그리고 사용자의 취약성은 공유경제를 이용한 범죄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공유경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은 세팅 범죄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공유경제 플랫폼의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공유범죄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In terms of the success of sharing economy, it can be successful when the sharer and user all are safe. Nevertheless, recently, the interactivity for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and crime phenomenon are being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the purpose of research in preventing the crime in relation to the sharing economy by analyzing the crime phenomen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sharing econom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crime phenomenon. Method :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alyzing the crime phenomenon focused on the reported official data, the reported information(policy briefing material and news article) and the professional journal, etc.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crime phenomenon in accordance with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Together, the basis of analysis has been presented by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analyzed phenomenon of crime as the basis. Conclusion : The stabilization for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is linked closely with the sharer, user and provider of platform. The vulnerability of provider, sharer and user has been used as the means facilitating the crime using the sharing economy. In addition, the platform enabling to provide the sharing economy has been linked closely with the setting crime phenomenon. Accordingly, the safety for the sharing economy may be raised through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platform of sharing economy.

      • KCI등재

        여성경찰의 성별직무분리와 직무소외 연구

        박한호,이명우,김지훈,Molly Buchanan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6 치안정책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여성경찰에 대한 성별직무분리 인식이 직무소외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여성경찰관만을 대상(359명)으로 설문되었으며, 표본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게 전국단위의 설문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장으로만 나열되었던 성 고정관념에 대한 경험적 논의들을 미시적 · 거시적인 구분에 따라 구체적으로 측정하였는데 이 변수들은 수직적 성별직무분리, 수평적 성별직무분리, 육체적 성별직무분리, 정신적 성별직무분리 4개의 구분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또한 종속 변수의 경우, 경험적 증거들에 결과한 직무소외의 반응으로 예상되는 사회적 고립, 무력감, 무의미성, 자기 소원, 무규범성 등 5가지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이를 증명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직무분리의 인식이 직무소외감에 영향을 미치며 구조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여성경찰이 경찰조직에서 전문경찰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첫째, 성 편견에 대한 인식 개선 둘째, 평등한 기회의 증가 셋째, 업무 고려 시 차별이 아닌 배려적 성격의 문화형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관광범죄 예방을 위한 전략 : 관광범죄 이론과 특성 분석을 통한 치안 활동

        박한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0 No.2

        The safety issue of tourists has been one of concerns not only of tourists but also of the country. Therefore, many countries establish tourism police organizations or public safety consultative groups to secure safety of tourists and to continue to cultivate tourism industry.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how organizations related to tourism safety should function and respond practically in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discuss what strategies public safety organizations should use in local tourism community in regards to problems about crimes and safety threats by applying theoretical models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ology focusing on precedent studies on crimes against tourists and tourism safety. For this, characteristics of crimes against tourists are analyzed in the individual, social and environmental categories, and crime prevention strategies of public safety organizations and consultative groups are present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conflicts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tourists, and crimes against tourists threaten tourism industry, and as a result, they have a negative effect on safety environment of tourists. To solve this problem, safety of tourists should be guaranteed by tourism safety organizations and consultative groups, safety should be secured in local community, and balanced public securi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both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hus, tourism police organizations should communicate with local community smoothly, through which, safety issues in the local community can be handled promptly. 관광객들의 안전 문제는 관광객은 물론 국가의 관심사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많은 국가들은 관광경찰 조직을 창설하거나 치안협의체를 조직하여 관광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관광산업을 지속적 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관광 치안 및 안전과 관련한 조직이 지역사회 내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기능하고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관광범죄 및 관광치안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범죄학적 관점에서 이론적 모델을 적용해 관광지역사회내 치안조직이 어떠한 전략으로 활동해야하는지 관광산업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안전 위협에 대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구분에 따라 관광범죄의 특성을 분석하고 치안조직 및 치안협의체의 범죄예방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검토 결과, 관광객과 지역 주민 간의 갈등, 관광객 및 관광객을 향한 범죄행위 등은 관광산업을 위협하고 결과적으로 관광객의 치안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광치안 조직 및 치안협의체에 의해 관광객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내 안전을 확보하고, 원주민과 관광객의 균형있는 치안서비스 제공으로 관광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지역주 민과 관광객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광경찰 조직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의 안전 문제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박한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2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police officers for the police predictive polic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police who operate predictive policing and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predictive policing tha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etween researchers and study subjects from April 8, 2022 to April 13, 2022 and a structured pre-questionnaire was used. A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the operation of predictive policing, first, awareness of the efficiency of the predictive policing system, second, attitude for discretion when introducing the predictive policing system, third, risk and problems of the predictive policing operation, and fourth, awareness of the utilization of predictive policing and other free opinions were discuss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judged that understanding of legislation, manpower expansion, operation method, and predictive measures should be preceded for active introduction, operation, and practical use.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voluntary decision and utilization were important, not implementation orders for decisions of the predictive policing system. Accordingly, the analysis of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eventually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ctively utilizes predictive policing, such as department and employees' willingness to use i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operation personnel within the police and government departments regarding the predictive policing system was the most urgent issue. 이 연구는 경찰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 적은 예측치안을 운영하는 경찰의 인식과 태도를 측정하여 향후 확대될 예측치안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2022년 4월 8일부터 2022년 4월 13일까지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고 구조화된 사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예측치안의 운영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를 분석함에 따라 예측치안 시스템 효율성에 대한 인식, 예측치안 시스템 도입 시 재량에 대한 태도, 예측치안운영에 대한 위험성 및 문제점, 예측치안 활용성 인식과 기타 자유로운 의견을 제시 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응답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적극적인 도입과 운영 그리고 실용화를 위해 법률제정, 인력확충, 운영방식 및 예측치안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예측치안 시스템의 결정에 대한 이행 명령이 아니라 자발적 결정 및 활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석도 결국은 부서 및 직원들의 활용의지 등 예측치안을 적극 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조직문화가 만들어져야 하며, 예측치안 시스템과 관련해 경찰 내부를 비롯한 정부부처 내 기술 개발인력 및 운영인력 등 전문인력의 충원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정보 지향적 경찰활동을 위한 범죄분석관에 관한 연구

        박한호,이명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1

        범죄정보의 상호적 연계와 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2000년 이후 영국과 미국 등 외국의 몇몇 선진국에서는 정보중심 경찰활동을 지향해 왔다. 영국의 경우, 국내 범죄는 물론 범국가적 범죄정보관리를 위해 2000년 국가정보모델(National Intelligence Model)을 구축하였고, 미국은 2003년에 국가범죄정보에 대한 계획(National Criminal Intelligence Sharing Plan)을 승인하였으며, 유럽에서는 2004년 유럽연합의 헤이그프로그램(5개년 계획: Hague Programme)을 수립하여 정보 주도형 경찰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이나 업무적 틀들이 매우 확산되는 동안 관련 프로그램이나 업무적 틀을 운용하는 정보 지향적 범죄분석관에 대한 관심이나 기준들이 명확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찰분석관이 갖춰야 할 자질과 핵심요소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논의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제시되어있는 분석관의 자질요소를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로 구분하여 채용 시 측정되어야 할 항목들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로 논의하였다. Change of surrounding environment of police activity was rapidly occurred, accordingly, paradigm for police strategy was shorten, and change variation was gotten wide, therefore mixed interactive professional and new police activity is necessary with regard to criminal cooperation phenomenon. Particularly, Supernational crime such as terror having limitation of information collection by informer, organized crime, or narcotic crimes revealed the necessity of criminal information to use actively as a result. According to necessity of these mutual connection and management of criminal information, intelligence led policing was supported in advanced country like U.K., U.S.A. or several foreign countries since 2000. In the case of U.K., National Intelligence Model was constructed for management of cross-national crime information, and domestic crime in 2000, U.S.A authorized National Criminal Intelligent Sharing Plan for national crime information in 2003, and Hague Programme of EU was established in Europe in 2004, intelligence led policing was performed. Interest or standards for information-oriented profiler were not exact while these programme or task frame spreaded. Consequently, we try to discuss qualification and critical attributes for profiler on this study. We separated objective and subjective elements of profiler qualification presented by preceding research, and discussed as a form of directly showing items to be evaluated when appo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