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웹사이트들 사이의 하이퍼링크를 통한 제휴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탐사적 연구
박한우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3 정보화정책 Vol.10 No.4
본 논문은 개별적인 웹사이트가 그들의 신뢰성(credibility)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른 웹사이트들과 하이퍼링크 제휴를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주요 웹사이트의 하이퍼링크 제휴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한다. 데이터는 2000년 10월에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신용카드와 증권 웹사이트와 같은 금융 관련 웹사이트들이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락 분석 또한 하이퍼링크 제휴 구조가 다른 웹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는 금융 웹사이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웹사이트 신뢰성과의 상관 관계를 토대로 논의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hyperlink networks among South Korean websites. Methodologically, this paper created a site-by-site connectivity matrix based on the existence of hyperlinks in a Web page titled affiliated program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nancial websites, such as credit card and stock websites, occupy the most central position in the network. A cluster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ucture of the hyperlink-affiliation network is influenced by the financial websites with which others are affiliated. The author discusses these findings from the perspective of website credibility and further, proposes a future study to test a causality between perceived credibility and hyperlinking behavior.
국회의원 블로그의 이웃링크에 미치는 요인: 구조방정식 모형의 구축
박한우,최경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link structure of the South Korean political blogosphere using a statistical method. The sample for this research is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men who were elected in April 2004 (N=107), and the data collections such as the inter-linkage between politicians' blogs occurred during July of 2005. Traditional multi-variate techniques were employed to identify some antecedent variables which predict the existence of permanent (neighbor) links on the blogs of Assembly members. Finally, this paper intends to pro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a link network among politicians. The results reveal that online connectivity factor composed of blog usage time and outdegre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egree. 한국의 국회의원 웹사이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모습이 어떠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온라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국회의원들 사이에서 점차 사용이 증가되는 블로그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7대 국회의원 블로그의 이웃 인링크(inlink)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변인들을 파악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등을 통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블로그사용기간'과 'outdegree'로 구성되는 온라인 연결망요인은 종속변수인 'indegree'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명성의 조작적 정의로서 'indegree'를 사용하고 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요인들을 파악한 통계적 분석의 수행을 제언한다.주요용어 : 블로그, 이웃링크, 연결망, indegree, ourdegree, 구조방정식모형.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박한우,이연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This paper provides a thorough account on the techniques to analyze a large number of comments collected from a Web portal. We begin with an illustration of the socio-political importance of user comments on South Korean portal sites. The corpus of the data consists of more than 40,000 comments made with regard to a video clip relating to the `BBK scandal' in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User comments were obtained from Daum, a popular domestic portal site in South Korea. Using two text analysis software programs, KrKwic and K-LIWC, complemented by a tra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we have found that a mixed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when examining such a large body of text. 이 논문은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에 네티즌이 포털 웹사이트에 남긴 댓글을 분석한다. 댓글달기는 네티즌의 일상 활동으로 되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댓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수만 건에 달하는 대규모 댓글 자료의 컴퓨터 자동분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능을 지닌 두 개의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KrKwic, K-LIWC)와 연구자의 질적 분석을 이용하여 포털 댓글의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에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에 대한 약 4만 건의 댓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두 개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계량적 분석의 범위를 확대했으며 질적 분석은 댓글에 숨겨진 네티즌의 정치적 태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박한우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5 의정연구 Vol.1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국회의원 웹사이트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링크 자료를 이용하여 온라인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웹사이트의 존재 유무가 국회의원이 지닌 개별적 속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둘째, 국회의원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링크된 목표 웹사이트는 무엇인지 셋째, 국회의원 웹사이트 생산자들의 개인적 속성이 링크 활동과 어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파악하였다. 분석 대상은 16대 및 17대 국회의원 웹사이트들이며 직접 방문을 통하여 아웃링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6대 및 17대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웹사이트의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성별, 연령, 소속 정당, 당선 횟수, 선거구 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특이할 점은 17대에 들어와 전통적인 웹사이트 이외에 블로그와 미니홈피를 보조적으로 운영하는 국회의원들이 나타났다. 둘째 정당 웹사이트들이 가장 많이 연결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에서 아웃링크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시간을 달리한 종단적 분석에서도 정당, 지방정부, 국회, 중앙정부가 가장 선호된 아웃링크의 유형으로 나타나 16대와 17대간 눈에 띄는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국회의원들의 소속 정당만이 아웃링크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관련 변인으로 발견되었다. A link analysis has been suggested as a viable framework to account for the relational structure of various websites. Using link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 of the linking practices in South Korea. Some of link data were manually collected from human navigation of National Assemblymen’s websites at two points in time: the year 2003 (for the 16th Assemblymen) and 2004 (for the 17th Assemblymen). Several social network analyt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explicate the linkage structure between websites. Political party websites were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target category. The sites produced by the National Assembly, centr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followed. It was teste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members was associated with the pattern of their linking activities. This research found that only affiliation par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Assemblymen’s link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