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93년도 대전지역에서 유행한 홍역 질환의 임상적 및 혈청학적 고찰

        정진기,이재호,박하신,유재홍,문신혜,정재원,정용헌,길홍량,이건수,한지환,최혜진,황성수,유연덕 대한감염학회 1994 감염 Vol.26 No.2

        1993년 11월부터 1994년 1월까지 대전지역 4개 종합병원에서 홍역으로 진단된 환아 133예를 대상으로 홍역 예방접종 유무와 시기에 따라 15개월에 예방접종을 받았던 환아군은 GroupⅠ, 15개월 이전에 예방접종을 받았던 환아군은 GroupⅡ, 6-9개월과 15개월에 2회 예방접종을 받았던 군은 GroupⅢ,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던 군은 GroupⅣ로 분류하여 각군에서 발병연령, 임상증상, 합병증, 홍역에 대한 IgM과 IgG 특이 항체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아 133예중 예방접종을 받았던 환아는 71예(53.4%)이고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던 환아는 62예(46.6%)이었다. 연령에 따른 빈도는 1세 이하가 39.1%, 5-6세가 12.0%, 1-2세가 11.2%이었다. 각 군에서 많이 발생하였던 환아의 연령분포는 GroupⅠ은 6-8세 사이가 64.7%, GroupⅡ는 2세이하가 70%, GroupⅢ은 6세 이상이 80%, GroupⅣ는 1세이하가 80.6%이었다. 2) 모든 환아에서 발진과 발열이 나타났고, 출현 시기에 따른 발진과 발열증상의 상호 관계에서 발열은 환아의 60예(45.1%)에서 발진 출현 2일전에 발생하였으며 발열은 43예)32.3%)에서 발진과 함께 발생하였다. 전체 환아의 46예(34.6%)에서 발열기간이 3일 이하이었다. 3) 전체 환아에서 기침증상이 있었고, 전체 환아의 80예(60.2%)에서 10일 이상 기침이 지속되었다.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던 군에서 62예중 42예(67.7%)에서 기침이 10일 이상 지속되었으며 이중 24예(57.1%)에서 합병증이 있었다. 예방접종을 받았던 군에서는 71예중 38예(53.5%)에서 기침이 10일 이상 지속되었으며 이중 17예(44.7%)에서 합병증이 있었다. 4) 합병증은 88예(66.1%)에서 관찰되었으며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았던 GroupⅣ(71.0%)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는 폐렴(46.6%), 중이염(7.5%), 급성위장염(6.8%), 간염(6.8%) 등이 있었다. 5) 예방접종을 받았던 환아 71예중 64예에서 혈청검사를 실시한 결과 55예에서 홍역에 대한 IgM 특이항체가 양성으로 나타나 일차 면역 실패(primary vaccine failure)는 전체 환아의 85.9%에서 있었고, IgM은 9예에서 음성으로 나타나 이차 면역 실패(secondary vaccine failure)는 전체 환아의 14.1%에서 나타났다.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던 환아 62예중 혈청검사를 시행한 53예에서 IgG 음성이 20예(37.7%) 이었으며 IgG가 음성으로 나타난 연령은 6개월에서 14개월로 고루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홍역 유행시 예방접종을 받았던 환아에서 발생한 홍역질환의 주원인은 일차 백신 실패이었으며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던 환아에서 모체로 부터의 수동 항체가 생후 6개월부터 소실되는 소견이 관찰되므로써 홍역 이환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조기에 예방접종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clinical study was made on 133 case of measles patients during epidemics in Taejeon from Nov. 1993 to Jan. 1994.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vaccination history. We evalua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complications, and serological antibody of measles (IgM & IgG) i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Out of 133 patients, 71 patients(53.4%) were the vaccinated group and 62 patients (46.6%) were the unvaccinated group. Peak ages of measles in each group were 5-8 year old(64.7%) in GroupⅠ, less than 2 year old (70%) in GroupⅡ, more than 6 year old (80%) in GroupⅢ, and less than 1 year old(80.6%) in GroupⅣ. 2) Fever developed before 2 days of rash appearence(45.1%) and at the same time(32.3%), Duration of fever was less than 3 days in 46cases(34.6%). 3) All patients had cough and 80 cases(60.2%) had cough more than 10 days. Cough continued more than 10 days in 42 cases(67.7%) of 62 unvaccinated cased and 38 cases(53.5%) of 71 vaccinated cases. 4)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otitis media, gastroenteritis, and hepatitis were noted in 66.1% of all patients and most common in GroupⅣ. 5) In the 64 patients of vaccinated group carried out serologic test, measles specific IgM antibodies were positive in 85.9% (primary vaccine failure) and negative in 14.1%(secondary vaccine failure). In the 53 patients of unvaccinated group carried out serologic test, measles specific IgG antibodies were negative in 37.7%, less than 14 month old. In conclusion, primary vaccine faliure (85.9%) was the main cause of measles during epidemics in the vaccinated group. maternal measles IgG antibodies were not detected in 37.7%, less than 14 month 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