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山林 및 木材需給現況에 따르는 營林計劃과 山林經營改善

        朴泰植 서울大學校農科大學 1984 서울대농학연구지 Vol.9 No.1

        韓國의 山林面積은 全國土의 66%를 차지하는 6,5534ha이며 이중 國有林이 20%, 公有林은 8%, 私有林이 72%를 占有하고 있는데 全蓄積은 157,755千㎥로서 ha당 平均蓄積이 不過 24㎥에 지나지 않는다. 齡級에 따르는 面積과 蓄積의 構成은Ⅰ-Ⅱ 齡級이 面積에 있어서 84.3%, 蓄積으로는 51%를 차지하고 있어서 壯齡林과 成熟林의 比가 작다. 그리하여 年間伐採量은 130萬㎥에 지나지 않아 總木材需要量(700∼800萬㎥)의 80% 이상을 輸入하고 있다. 앞으로 外材輸入은 점점 어려워질 것이므로 長期的인 木材增産計劃을 세워 着實하게 實踐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山林所有形態는 72%가 私有林이고, 이 私有林은 176萬名에 의하여 所有되고 있으므로, 山主1人當 山林面積이 2.7ha로서 個別的 經營을 하려면 面積이 너무 작아서 좋은 成果를 거두기 어렵다. 그러므로 山主들이 모여서 協業하는 協業林業經營이 導入되어야 한다. 協業은 ① 共同作業, ② 共同利用, ③ 共同管理, ④ 協業經營의 4가지 形態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協業林業經營을 計劃하는데 있어서는 混牧, 混農林業을 導入한 複合經營과, 林地를 多角的으로 利用하는 多角的林地利用計劃이 實施되어, 收入의 早期化와 收入源의 多樣化가 도모되어야 한다. 混農ㆍ混牧의 複合林業經營과 林地의 多角的 利用計劃은 다음과 같은 內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思料된다. ① 牧畜林地에서의 養畜 ② 山林內의 養蜂 ③ 藥草栽培 ④ 小規模果樹栽培 ⑤ 有實樹栽培 ⑥ 速成樹栽培 ⑦ 표고 등의 버섯栽培 ⑧ 小俓木材의 共同販賣 ⑨ 山林副産物의 增殖과 採取 ⑩ 特殊林産物의 增殖과 採取 ⑪ 觀賞樹栽培 이와 같은 林業經營의 協業化를 도모하는데 있어서는 事業이 定着될 때까지 적절한 資金措置와 有能한 指導員을 政府에서 確保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複合的ㆍ多角的 林業의 協業化는 與件을 갖춘 곳에서부터 核心的으로 시작하여 서서히 擴大해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 要望된다. The total forest land of Korea is estimated at about 6.55 million ha which is equivalent to 66% of total land in Korea. Of the total forest land, 20% belongs to the national forest, 8% to public forest and 72% to private forest. The total growing stock is about 157 million cubic meters, and average growing stock per ha is calculated at 24 cubic meters. More than 51% of total growing stock, 84.3% in terms of forest land, are under age groupⅡ, therefore, the amount of annual cut is no more than 1.2-1.3 million cubic meters (equivalent to 20% of annual increment). The domestic timber can supply only 16.5% of total timber demands, consequntly, more than 80% of the timber needed are to be imported. It is urgently needed to take positive actions for a long term forest production plan. In pursuing a reinforced long term production program, the measures of improvement on private forest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over 2/3 of the total forest land belongs to private forests. The private forest lands are devided into 1.7 million owners, and average forest land per owner is calculated to 2.7 ha accordingly. The average holdings in private forest lands are too small to manage forest lands rationally, therefore, a cooperative forest management system has to be practiced employing the following four cooperative types: 1) cooperative working; 2) cooperative use of facilities; 3) cooperative purchasing and selling; 4) full cooperative management. In planning of the forest cooperative management, a mixed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agricultural cultivation and live stock raising, so called agri-pasture-forestsry, must be introduced and multi-purpose forest land use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practiced in order to expedite early incomes and expand income sources. The agri-pasture-forestry and multi-purpose forest land use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based on the followings. 1) live stock raising on pasture-forest land. 2) honey-bee raising in forest. 3) medical plant cultivation. 4) small scale orchard management. 5) fruit bearing tree planting. 6) fast growing tree planting. 7) mush-room cultivation. 8) cooperative marketing for small logs harvested in thinning. 9) forest by-products raising and collection. 10) raising and collection of special forest products such as resin. 11) ornamental tree cultivation. The government must provide enough funds and skilful extension workers in order to ensure concrete results, and it is requested to enlarge multiple cooperative forest management programs on private forests one by one, starting firstly from essential core place, not whole at a time.

      • KCI등재

        밤나무 재배의 수익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광양군내의 4개면을 중심으로

        박태식,박용배 한국임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8 No.1

        光陽郡 8個面 중에서 多鴨面 15家口, 玉龍面 18家口, 津上面 5家口, 玉谷面 14家口를 直接 訪問調査하였다. 밤나무의 收益性을 事業期間 20年으로 하여 分析한 結果를 보면 面積別에 따르는 複合肥料, 複合肥料+硼砂別 收益·費用比率은 割引率 10%일 때 複合肥料를 施肥하였을 경우 1∼4ha 經營規模에서는 1.0496, 5∼10ha에서는 1.0970로 나타났고, 複合肥料와 硼砂를 施肥하였을 경우에는 1∼4ha 規模에는 1.3866, 5∼10ha는 1.4139로 나타났다. NPW는 複合肥料를 施肥하였을 때 1∼4ha 經營規模에서는 223,423원의 純利益을 나타냈고 5∼10ha 規模에서 418,315원을 나타냈다. 複合肥料와 硼砂를 施肥하였을 때 1∼4ha 經營規模에서는 2,008,778원의 純利益을 나타냈고 5∼10ha規模에서는 2,109,138원을 나타냈다. FRR은 複合肥料를 施肥하였을 때 1∼4ha 經營規模에서는 12.1770%, 5∼10ha 規模에서는 14.1436%였고 複合肥料와 硼砂를 施肥하였을 경우에는 0∼4ha에서는 25.454%, 5∼10ha에서는 26.5164%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本 調査硏究의 結果, 複合肥料를 施肥했을 때 10∼11年부터는 그 以前의 事業費用을 回數하고 純利益을 올릴 수 있고, 複合肥料와 硼砂를 施肥했을 경우에는 7∼8年부터 그 以前의 事業費用을 回數하고 純利益을 올릴 수 있으며, 두가지 施肥方法 모두 21∼22年 以後부터는 投資效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