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만존자전』(뿌르나아바다나)에서의 명상 연구

        박청환 ( Cheonghwan Park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폴 해리슨은 대승불교의 기원에 관한 그의 논문에서, 중요한 것은 사상에 대한 철학적 설득력이나 계를 지키는 순수함이 아니라 고행 특히나 명상을 통하여 얻은 것으로 인식되는 힘이라고 한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불교내러티브들에서 잘 드러난다. 붓다와그의 뛰어난 제자들에 의해 구현된 많은 신통이야기들이 있다. 붓다 와 제자들의 전기는 이런 이야기들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확대되었다. 이는 특히 아바다나 문학 속에 잘 드러나 있다. 붓다 당시에 수백 명의 제자들이 붓다와 같은 아라한과를 성취하였다. 이들은 후에 동아시아에 널리 퍼진 나한신앙의 모델이 된다. 나한신앙은 붓다의 10대 제자나 16나한, 18나한, 500나한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다. 이들 나한들은 삼명(三明), 육신통(六神通), 팔해탈법 (八解脫法)을 모두 갖추었기 때문에 중생들의 소원을 이루어 줄 수 있다고 믿어졌다. 오백 나한들 중 225번째 나한이 원만(圓滿, Purna)존자이다. 원만은 붓다를 만나 출가하여 외도들로 가득 찬 수파륵 가성에 불법을 전파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제 종교들 간의 경쟁이 치열했던 인도사회 속에서불교가 어떻게 대중의 지지를 얻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불교 내러티브들 중에서도 그런 모습이 잘 드러나는 『디브야아 바다나』(Divyavadana)의 이야기들 중 『원만존자전』(Purnavadana)의 분석을 통하여 신통의 일부로써 명상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해보려고 한다. 『원만존자전』을 비롯한 아바다나에서 명상의 역할은 크지 않아 보인다. 아바다나에서 명상은 신통의 일부로서 대중을 교화시키는 방편이다. 아바다나의 목적이 붓다와 제자들의 위대한 업적을 통해서 청중들에게 신심을 고취시키는 것이다 보니 명상 또한 이들의 위대성을 드러내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높은 수행자의 경지를 보여주는 방편으로도 사용됨으로써, 수행자는 명상을 통해서 구원적·절대적 존재로서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고, 그 힘은 대중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 드러날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원만존자전』의 경우를 보면 명상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 내지 용어들이 나온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의 교리적인 내지 기술적인면을 논하는 것은 여기서는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그러한 것들은 수행자의 권위 내지 신통을 강화하는 방편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명상력을 지님으로써 붓다와 그의 제자들은 그들을 찾는 재가자들의 귀의처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명상은 불교내러티브에서 불교수행자의 절대적인 모습을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고, 명상력을 가진 수행자는 대중이 필요시 언제든 도와준다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는 후에 나한신앙으로 발전하여 대중들에게 크게 호응을 받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In his paper on the origins of the Mahayana, Paul Harrison points out that what counted was not so much the philosophical cogency of one’s ideas, or even the purity of one’s moral observances, but the power perceived to have been generated by one’s ascetic practices, especially one’s meditation. His assertion is well attested in the Buddhist narratives. There are many miraculous stories performed by the Buddha and his eminent disciples. Their biographies are enlarged with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those stories. This is well illustrated in the Avadana literature. This paper specifies how Buddhism gained popularity in Indian society where competition between religious groups was extreme. The stories of the Divyavadana reflect the religious situation of that time. Through an analysis of the Purnavadana(PA), 2nd story from the Divyavadana, this paper shows how meditation was used as a miraculous tool to gain the hearts and minds of the Indian audience. In the Avadanas including the Purnavadana, the role of meditation is not vividly present. In the Avadanas, as a tool for miraculous power, meditation is used to transform the audience. Since the intention of this kind of Avadana is to inspire the audience through the religious deeds by the Buddha and his disciples, meditation is mainly used to illustrate their powers. Therefore, the Buddhist monks could establish their competitive status using the power of meditation to gain popularity in Indian society. This power becomes apparent whenever it is needed by the audience. In the Purnavadana, there appear various terms and expressions related to meditation. Here it is not appropriate to discuss their doctrinal or technical aspects since they are used as a skill-in-means to consolidate the authority or miraculous power of the Buddha and his disciples. Being endowed with the power of meditation, they could become the refuge for lay people. Thus, medit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saint image of the Buddhist monks. They were supposed to come and help whenever lay people needed them. This idea was developed into the arhat cult that appealed widely to audiences in East Asia afterwards.

      • KCI우수등재

        두 나가(Nāga)와 빔비사라왕 설화 연구

        박청환(Park Cheonghwan)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In Indian folk tradition, n?gas serve as fierce guardians of the waters and of the abundance that lies beneath the earth. Besides, n?gas play a positive role in Buddhist accounts. A number of j?taka stories record the n?gas’ generosity toward the Bodhisattva while others show their gratitude for receiving religious instruction.<BR>  This story of Bimbis?ra and the two n?gas is a good example of how the M?lasarv?stiv?din Vinaya re-organizes the story based on the Indian folk tradition in which both king and n?ga take important roles.<BR>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n?ga beliefs, establishing a relation to n?ga belief was the primary concern of Indian religions. In spite of all the patronage of A?oka and the glorious accounts of the popularity of Buddhism in Kashmir, the fact remains that Buddhism had to face a strong opposition in the country from the established belief in n?ga-worship. N?ga beliefs were quite common in India when Buddhism made its appearance and that is the reason why the legend of n?gas and their conversion by the Buddha occur occasionally in the Buddhist texts.<BR>  Bimbis?ra’s character is described negatively in this story, in contrast with other texts, where from his first d?na to the Buddha until the time of his death, a period of thirty-seven years, he does all in his power to help the new religion. In the beginning of the story, Bimbisra does not respect the Buddha. The negative description of Bimbis?ra is designed to produce conflict in the story. Furthermore, this negative description of the king maximizes the dramatic conflict,<BR>  Although the conflict is between the two n?gas and Bimbis?ra, it is noteworthy that the reason for their conflict is the Buddha. The two ‘orderers of existence’ are presumed to be equal under the Buddha. It becomes clear that the Buddha intervenes in this traditional relationship, yet he still keeps his sense of distance.<BR>  In this story, the conflict between Bimbis?ra and the two n?ga kings is noteworthy because as n?gas are guardians of water and of abundance, and Bimbis?ra represents the highest worldly power both parties are dependent upon each other.<BR>  Another interesting point in this story is that it shows how Buddhism as a new religious movement, established its relation to the folk tradition. The Buddha asserts his superiority over other gods and kingship and while the older deities and kingship continue to function under the Buddha’s superiority both the n?gas and Bimbis?ra ask for the Buddha’s te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in trouble.<BR>  To adapt the story as a Buddhist narrative, the M?lasarv?stiv?dins intervene at almost every stage of the story. Without directly intervening between them, in other words, and so retaining the sense of withdrawal, the Buddha behaves as a supreme guarantor of the cosmic order by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the n?gas and Bimbis?ra. This clearly shows how Buddhism wants to be accepted in the Indian folk tradition.

      • KCI등재

        「루빠와띠아바다나(Rūpāvatī-avadāna)」의 내러티브 연구

        박청환(Park, Cheonghwan)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5 No.-

        『디브야바다나(Divyāvadāna)』는 38개의 이야기들 또는 아바다나들의 모음집이다. 대표적인 불전문학작품의 하나로 여겨지는 『디브야바다나』는 업의 과보를 중심으로 하는 쉽고 흥미로운 이야기들 속에서 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다. 「루빠와띠아바다나(Rūpāvatī-avadāna)」는 루빠와띠(Rūpāvatī)가 여러 번의 전생 속에서 육신 보시를 통한 복업을 짓는 이야기로서 『디브야바다나』의 38개의 이야기들 중 32번째 이야기이다. 그 내용을 보면, 붓다는 보시에 관한 설법을 한 후에 루빠와띠의 이야기를 설한다. 갓 태어난 자식을 먹으려는 배고픈 어미를 보면서 루빠와띠는 배고픔을 달래주고자 자신의 가슴을 도려내어 그녀에게 먹인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두 가지 진실한 말(satyavacana)의 서원을 한다. 하나는 그녀의 가슴이 돌아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녀가 남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서원이 이루어져 여성 루빠와띠는 남성 루빠와따로 몸이 바뀌고 왕이 된다. 그때 붓다는 루빠와띠의 전생의 두 가지 삶을 설명한다. 첫째는 새의 무리에게 자신의 눈과 몸을 보시한 짠드라쁘라바로서이고 둘째는 배고픈 암호랑이에게 자신을 먹인 브라흐마쁘라바로서이다. 「루빠와띠아바다나」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하여 업과 보시 사상을 바탕으로 한 불교적 가르침을 전달함으로써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 쉽게 접할 수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루빠와띠아바다나」의 내러티브 구조와 내용 분석에 있어서, 이에 상응하는 다른 범어본과 한역본 등과의 비교 연구는 『디브야바다나』의 아바다나(avadāna)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나 내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 준다. 그리고 「루빠와띠아바다나」에는 여타의 자따까나 아바다나들과는 달리 두 단계의 진실한 말의 서원이 등장한다. 이외에도 「루빠와띠아바다나」는 핵심 주제의 하나인 변성남자(變成男子)를 통하여 당시의 여성관을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이는 이후 대승경전들을 통해 다루어지는 변성성불(變性成佛) 사상과 맞닿아 있어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The Divyāvadāna consists of 38 stories or avadānas. As one of the best Buddhist narrative works, the Divyāvadāna contains easy and interesting stories based on the idea of karma and result. The Rūpāvatī-avadāna is the 32nd of 38 stories in the Divyāvadāna. It is a story about merit-making based on body offering through former lives. The story is thus. After the dharma talk on the giving(dāna), the Buddha introduces the story of Rūpāvatī. Seeing the hungry woman who tries to eat her newborn child, Rūpāvatī cuts her own breasts to feed the woman. Then she makes aspirations based on two words of truth. One is to take her breasts back and the other is the transformation of her female body into male one. Finally, her body is transformed into male one and Rūpāvatī becomes Rūpāvata who later invited to be the king of Utpalāvatī. Then the Buddha expounds the two former lives of Rūpāvatī. Firstly, she was Candraprabha who gave his eyes and body to the flock of birds. Secondly, she was Brahmaprabha who gave his body to the hungry tigress. The Rūpāvatī-avadāna aims to teach the Buddhist idea and thought based on karma and result using narrative format. So it is easily accessible to both monastics and laity.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Rūpāvatī-avadāna and other Sanskrit and Chinese counterparts about its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provides the clear understanding on the intentions of the avadānas of the Divyāvadāna including the Rūpāvatī-avadāna. Different from other avadānas and jātakas, the Rūpāvatī-avadāna shows two stages of the words of truth. Besides, the Rūpāvatī-avadāna deals with the views on women through the gender transformation which is the one of its key issues. This reflects the idea of gender transformation for enlightenment of the Mahāyāna.

      • KCI등재

        에띠엔 라모뜨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에 대한 소고 (II) __제1권 2장과 3장을 중심으로__

        박청환 ( Park Cheonghwan ) 인도철학회 2018 印度哲學 Vol.0 No.53

        나가르쥬나가 짓고 구마라집이 한역한 『대지도론』은 『般若經』(Prajnaparamitasutra)에 대한 논서이며, 동시에 당시까지의 여러 경전을 취합한 백과사전적 논서이기도 하다. 에띠엔 라모뜨(Étienne Lamotte, 1903-1983)는 『대지도론』이 설일체유부의 입장을 상당히 반영하면서도 다양한 부파의 입장을 소개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대지도론』은 상당수의 문맥이 창작이 아닌 어딘가에 근거를 두고 있다. 불교 경전 전체에 대한 안목이 없이 한역본에만 의지해서 『대지도론』을 번역하거나 이해해서는 안되는 이유이다. 그간 『대지도론』에 대한 한글역들은 한자 해석에 머물러서 『대지도론』의 구성과 이에 따른 가치를 제대로 보이지 못했다. 『대지도론』이 불교 백과사전이라 불리는 만큼 라모뜨는 최대한의 관계된 경전이나 이차 자료들을 각주로 제시하여 이해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범어경전 등과 비교하여 잘못된 한문을 교정하고 있다. 본고는 에띠엔 라모뜨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Le Traite de la Grande Vertu de Sagesse de Nagarjuna(Mahaprajnaparamitasastra)), 전 5권 중 제1권 2장과 3장을 다룬다. 제2장은 ‘如是我聞一時’에 대한 것으로서, 여시아문일시의 의미와 그 저변에 깔린 믿음(信)을 다루고 있으며, 제3장은 ‘여시아문에 관한 총괄적 설명’으로서 붓다의 사후에 일어난 불법(buddhadharma)에 대한 정의와 불전의 결집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간 출간된 『대지도론』의 한글역들을 라모뜨의 번역과 비교하여 라모뜨 번역과의 차이 그리고 라모뜨 번역의 학문적 탁월함을 드러내보고자 한다. Etienne Lamotte(1903~1983) produced an annotated tran slation of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by Nagarjuna known as Le Traite de la Grande Vertu de Sagesse de Nagarjuna (Mahaprajnaparamitasastra) in 5 volumes. Nagarjuna’s work has not come down to us in the original Sanskrit, but only t hrough a Chinese translation, the 『大智度論』 by Kumarajiva. Mahaprajnaparamitasastra is a commentary on the Pancavimsatisahasrika Prajnaparamita, as it appears in Kumarajiva’s Chinese translation 『摩訶般若波羅蜜經』. Since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by Nagarjuna is called the Buddhist encyclopedia containing large numbers of quotations from the various canonical and non-canonical sources, Lamotte provides the relevant references as much as possible. This enhances significantly the readers’ understanding on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This paper deals with chapter II and III of the voulme 1 out of 5 in total. Chapter II explains the individual meaning of the five words, Evam maya srutam ekasmin samaye and stresses that evam is a synonym for faith. Chapter III provides the general explanation of Evam maya srutam. It deals with the meaning of Buddhadharma and Buddhist Councils after the Buddha’s parinirvana. This paper aims to show Lamotte’s excellent scholastic achievement of the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大智度論』 (Mahaprajnaparamitasastra) comparing to the korean trans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