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동향브리핑 888호

        박철한,김성환,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2022년 10월 국내 건설수주는 부동산 PF 부실 우려로 공공과 민간 모두 부진해, 전년 동월 대비 29.8% 감소함(<그림 1> 참조). - 10월 수주로는 최근 5년래 최저치인 11.2조원을 기록함. - 공공 수주가 13.5% 감소했으며, 민간 수주가 34.7% 감소하였음. - 결국, 전체수주가 29.8% 감소해 지난 2021년 12월~2022년 9월까지 10개월 지속한 증가세를 마감함. 2022년 1~10월 누적 건설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한 183.9조원을 기록함(<표 1> 참조). - 비록 10월에 감소하였어도 1~9월까지 증가세로 인하여 누적수주는 양호한 실적으로 10월까지 수주액 183.9조원은 기간대비 역대 최대 실적임. - 공공 수주의 경우 주택과 토목이 양호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42.2조원을 기록함. - 민간 수주의 경우 모든 공종이 양호해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141.7조원을 기록함. 2022년 3/4분기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해 8분기 연속 감소함(<표 2> 참고). - 3/4분기 비주거용 건축이 반도체 공장 공사로 양호했지만 전반적으로 부진을 지속 - 2022년 1/4~3/4분기까지 누적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해 부진 건설투자 지속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같은 건설 경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건축 공사 증가로 2022년 5~10월까지 6개월 연속 증가함(<그림 3> 참고). - 건설기성이 하반기 양호한 것은 건축공사에 투입되는 공사 물량이 증가했기 때문임. - 건설기성이 플러스(+) 돌아섰음에도 불구하고, 건설투자의 감소세가 지속된 것은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였기 때문 건설투자에는 생산활동에 필요한 중간재, 중개수수료 등 부대비용이 투입됨. 또한, 주거용 건설투자의 경우 소득권 이전 비용(중개수수료, 취득세 등) 등이 포함되며, 미분양 주택은 차감됨. 으로 2021년 말 3.1만호 수준인 미분양 물량은 2022년 10월에 4.7만호를 기록함.

      • KCI등재

        포도상 구균성 열상양 피부 증후군 4례

        박철한,정유진,최원정,박샛별,김흥식,강진무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1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is a systemic disease with a clinical spectrum ranging from subcorneal pustules, patterned exfoliation to extensive erosion and peeling of skin by the exfoliative toxin of group II Staphylococcus aureus. This disease occurs mainly in infancy and children below five years and it isn't easy to differentiate from other vesicular diseases clinically, but skin biopsy shows an epidermal split at the granular layer. The form and severity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will vary according to defense system and toxic factors. Treatment is effective antibiotics, and the mortality rate increases to 5% in children. In our four cases, symptoms were erythema and fever, followed by formation of large bullae and denuded skin. On laboratory findings, leukocytosis was noted in three cases, and S. aureus was confirmed by culture of eye discharge in all cases. Our cases improved with antibiotic therapy.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which were presented with vesicle and exfoliative skin lesion and treated successfully. 포도상 구균성 열상양 피부 증후군은 1-3일간의 비특이적 증상 후에 발생하는 전신성 박탈성 홍반 소견을 보이는 전신 질환으로 항생제 치료와 적절한 수액 공급으로 대부분 2주일 내에 피부 소견의 호전을 보인다. 저자들은 동산 의료원 소아과에 수포성 발진과 박탈성 피부 병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경과와 조직 검사로 포도상 구균성 열상양 피부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항생제 투여 및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 보인 4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2018년 월간건설경기동향9월호

        박철한,허윤경,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월간건설경기동향 Vol.2018 No.-

        <건설> ▶ 2018년 7월 건설수주 전년 동월 대비 28.0% 증가 ▶ 공공수주 3.6% 증가, 민간수주 37.0% 증가 ▶ 7월 건설기성 전년 동월 대비 2.8% 감소 ▶ 8월 CBSI 전월 대비 14.6p 하락 <부동산> ▶ 7월 토지가격 상승폭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 0.403%↑ ▶ 8월 수도권 아파트 가격, 전월 대비 1.29%p↑ ▶ 7월 주택건설 인·허가 감소세 지속해 전년 동기비 -11.5% ▶ 7월 미분양 주택 1,082호 증가,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 2018년 월간건설경기동향 10월호

        박철한,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월간건설경기동향 Vol.2018 No.-

        <건설> ▶ 2018년 8월 건설수주 전년 동월 대비 26.9%↓ ▶ 공공수주 28.4%↓, 민간수주 26.3%↓ ▶ 8월 건설기성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 ▶ 9월 CBSI 전월 대비 0.6p 상승에 그친 67.9 <부동산> ▶ 8월 토지價 0.420%↑, 지난달 상승폭 넘어 10년래 최고치 ▶ 9월 수도권 아파트 가격 전월 대비 1.18%↑, 0.42%p↓ ▶ 8월 주택건설 인·허가 감소 지속, 전년 동기 누적비 -12.7% ▶ 8월 미분양 주택 762호 감소했으나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

      • 건설동향브리핑 856호

        박철한,이지혜,나경연,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한국은행이 지난 4월 26일 발표한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의하면, 2022년 1/4분기 우리나라 경제(GDP) 성장률은 3.1%를 기록, 지난 2021년 1/4분기에 1.9% 증가한 이후 1년래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함(<그림 1> 참조). 한국은행은 1/4분기에 소비와 투자가 부진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었다고 발표했는데, 특히 1/4분기 건설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영향이 컸음(<표 1> 참조). - 건설투자는 2019년 4/4분기와 2020년 1/4분기에 각각 3.5%, 4.4% 증가해 회복하는 듯 했지만, 2020년 2/4분기에 다시 0.4% 감소한 이후 2022년 1/4분기까지 총 8분기 연속 감소세를 지속함. - 특히, 올해 1/4분기 건설투자는 2015년 1/4분기 46.4조원 이후 7년래 가장 부진한 50.9조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해 1/4분기 GDP 성장률을 0.5%p 낮춘 것으로 분석됨.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및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건설 비용과 건설 자재 가격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1/4분기 건설투자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됨. - 지난해 건설수주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올해 건설투자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어 기업들의 안전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건설투자가 위축된 것으로 보임

      • 2018년 07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

        박철한,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 Vol.2018 No.-

        2018년 7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는 지난 6월과 동일한 81.9로 부진 지속 - CBSI는 5월과 6월 발주가 증가하는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향후 부동산 경기에 대한 불안감과 보유세 인상 소식 등으로 각각 전월 대비 0.7p, 2.6p 하락했으며, 7월에도 6월과 동일한 81.9로 부진한 모습을 지속함. - 통상 7월 혹서기 공사물량이 감소하는 계절적인 영향으로 지수가 전월 대비 2~5p 정도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올해에는 지난 6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함. - 이는 지난 5월, 6월 지수가 2개월 연속 감소한데 따른 통계적 반등 효과 때문임. - 특히 6월 급격히 악화된 대형과 중견기업의 지수가 통계적 반등 효과로 회복되었는데, 실제 물량 지수라 할 수 있는 신규 공사수주 지수와 기성 지수는 각각 10p 이상 하락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음. - 결국, 지난해에는 2/4분기(4~6월)에 전망한 수준만큼 지수 상승이 일부 있었지만, 올해 2/4분기에는 하락만을 지속하였으며 3/4분기 초입에 들어서는 7월에도 뚜렷한 회복이 없이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2020년 하반기 건설경기 전망

        박철한,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 건설이슈포커스 Vol.2020 No.-

        2020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6.1% 감소한 155.9조원을 기록할 전망임. 상반기에 3.1% 감소하고 하반기에도 8.4% 감소해 침체가 더욱 심화될 전망임.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는 공공기관 발주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약 10% 정도 증가할 전망이나, 민간 수주의 하락을 만회하기에는 부족할 전망임. - 공공 수주는 경기부양을 위한 공사 발주가 증가해 전년 대비 9.9% 증가한 52.8조원을 기록, 11년래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임. - 민간 수주의 경우 하반기에 주택과 비주택 건축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6% 감소한 103.1조원을 기록할 전망임. 공종별로는 토목 수주가 공공공사 증가에도 불구하고 민간 석유화학 플랜트와 민자 수주가 감소해 전년 대비 6.6% 감소할 전망임. - 주택 수주는 하반기에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지방의 주택 수요 여력 감소, 거시경제 회복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해 전체 수주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 비주거 건축 수주는 상반기에는 정부의 생활형 SOC 투자 확대 영향으로 비교적 양호할 전망이나, 하반기로 갈수록 민간 오피스텔 공사 발주 감소, 기업들의 투자 감소가 이어져 전년 대비 3.5% 감소할 전망임. 2020년 건설투자는 하반기에 부진하여 전년 대비 1.6% 감소할 전망임. - 지난해 4/4분에 급격히 증가한 정부 공사가 상반기에도 이어져 양호한 모습을 보일 전망임.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민간 공사는 하반기로 갈수록 침체가 심화될 전망인데, 공종별로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 투자가 하반기 건설투자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올 하반기 건설수주와 건설투자가 동시에 감소하는 등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영향이 심화 및 장기화될 수 있는바 정부는 다음 세 가지의 정책과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 첫째, 정부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하반기 경기 침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공사 조기 발주에 힘쓰는 가운데, 예타면제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정부는 중장기적인 투자 유인책을 마련하는 가운데, 부족한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간주택 사업 회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들이 주택사업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임. - 셋째, 정부는 내년도 SOC 예산을 올해보다 증액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하고 진행 중의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임. 한편, 건설기업들은 하반기에 경제 불확실성 확대 및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신속한 사업 진행과 함께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위기 대처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