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6 No.2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1편의 소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거기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겐벡터 중심성 네트워크를 지배하는 상위 50개의 핵심어는 나머지 중심성 네트워크의 그것과 대동소이하였다. 둘째, 거기에서는 그러한 표면적인 모습과 더불어 소극적 진영이 수세적 입장에서 적극적 진영에 맞서는 이면의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소극적 진영과 적극적 진영이 연출하는 그러한 편파적인 긴장관계는 교육과정의 에고 네트워크와 교사의 에고 네트워크를 지나면서 한층 더 증폭되었다. 넷째, 초등교육의 에고 네트워크는 초등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논의에서 부당하게 소외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극적 주제어에 대한 교육학계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소극적 진영과 적극적 진영이 연출하는 긴장관계에 미묘한 균형을 부여하는 일과 초등교육에 응분의 관심을 기울이는 일은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한 가지 근본적인 과제로 부각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future of educational research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bstracts of 151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6 to June 2020 in the journa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tems of top 50 words governing the eigenvect centrality network were much the same as that of the betweenness centrality network or closeness centrality network. Second, there were not only surface phenomena but also phenomena behind them in which the passive group is facing the active with the defensive position. Third, such unbalanced tension made by the passive and active groups intensified further in the ego network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 Fourth, the ego network of primary education was showing that primary education was unfairly marginalized in the discuss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t the same time drawing attention from academic society on passive topics. Therefore, giving a subtle balance to the tension between the passive and the active group and paying attention to primary education can be highlighted as one fundamental task of academic society in Korea.

      • KCI등재

        통합교과의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관계

        박채형(Park Chae-Hye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1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통합교과는 제4차 교육과정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네 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가 이러한 네 차례의 개정을 거치는 동안에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었는가를 그 접근방식과 내용체계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사실상, 제7차 교육과정 이전의 통합교과는 그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면에서 모두 분과적 색체를 띠고 있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는 과도기적으로 탈교과적 접근방식에 분과적 내용체계를 결합시킨 형태를 띠고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러한 접근방식과 내용체계 사이의 부조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이어받은 탈교과적 접근방식을 심리-사회적 접근으로 개칭하면서 그것에 일관된 주제중심의 내용체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통합교과의 교육내용은 아무리 정교하게 체계화한다고 하더라도 탈교과적 접근 혹은 심리-사회적 접근방식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는 없다. 이들 양자의 일치는 오직 즐거운 생활을 위시하여 통합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노력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in ‘Pleasant Life’ as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It was in the 4th revised curriculum that integrated subjects were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time,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revised 4 times up to now. The several revisions were understood with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as pivot concepts. With these concepts,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de divergent points. In previous accounts integrated subjects had appearances of departmental subjects at least i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were approached in a trans-disciplinary way, but classes of contents were compiled in departmental methods as before. Integrated subjec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developed to get over the asymmetry between modes of approach and classes of contents. However, the aim of the integrated subjects is to integrate the classes of contents in the students’ mind. Of course, the external prescription can not ensure the realization of the aim. To achieve this aim, students must anticipate in schooling. So, the idea of integrated subjects is not to make integrated subjects in advance, but to teach the subjects in relationship to it.

      • KCI등재후보

        ‘새 교육과정’의 개발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채형(Park, Chae-Hye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1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개정은 시종일관 수시․부분 개정이라는 기본 방침에 근거하여 시도되었다. 그러나 개정의 배경은 2005년 말에 일단락된 일차적인 연구가 교육부의 최종적인 보고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적지 않게 축소되었으며, 그런 만큼 개정의 주요 내용 또한 수정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2007년 2월 23일에 교육부 고시 제2007-79호로 공포된 새 교육과정과 그것에 덧붙여져 발표된 관련 자료는 바로 그 수정의 최종적인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일차적인 연구물을 완전히 폐기시키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현재 교육부가 내세우고 있는 최종적인 성과물은 그것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런 만큼 그것을 재검토하는 일은 장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 모색하는 한 가지 첩경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mpli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improvement at this time. The improving process about the 7th curriculum has been holding on to the principle of momentary-partial improvement consistently. Owing to the principle, the 7th curriculum has kept up the main frame of itself in today. But, the contexts of the improvement make difference between early works and the final program reported in department of educat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latter has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its items. Needless to say, the latter is the program carried out in Korea from 2009.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ormer again in two aspects. Although the preparation of 5-day school work in full scale as major a backing factor in the former was moved off a step from the latter, it will be regarded as important item to be reconsidered in time to come. And the ideal of simplified curriculum system as another background of the former is in its nature magnifying the autonomy of school about curriculum management as a basic principle of the latter. For that reason, granting that those two items were turned down in the terminating report offered by department of education, we have to receive to examine those items thoroughly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s our future duty by ourselves.

      • KCI등재

        敎授-學習理論의 認識論的 意味

        박채형(Chae-Hyeong Par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3 敎育思想硏究 Vol.12 No.-

        교수-학습이론은,그것이 어떤 것이든지 간에,교사와 학습자와 교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핵심적인 관심사로 삼을 수밖에 없다.주역에 관한 정이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는 주희의 종합적 주역관은 교수-학습이론을 구성하는 이들 삼자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여실하게 보여준다.주역에 관한 주희의 종합적 견해에 따르면,교사는,자신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존재라는 통념과는 달리,자신의 마음 속에 이미 갖추어져 있는 교과를 표현하는 존재로 파악된다.교사는 그 과정에서 정서를 수반하지 않을 수 없으며,거기에 수반되는 교사의 정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교과의 원형에 해당하는 형식을 획득하도록 하는 추진력이 된다.그리하여 교사는 교과와 학습자를 매개하는 존재로 되며,교사를 매개로 한 교과와 학습자의 연결은 교수-학습이론의 근간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heory in the light of the I-Ching's divination. The kind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heory are varied. But every kind of the theory has the common shape that is constructed with the elements of teacher, learner, and subject matter. And the theory must be focused on revealing the relation of the three elements. Chu Hsi's view of the I-Ching gives the basis for revealing the relation. It is said that transmitting subject matter to student is the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A number of teacher also accepts it as his/her role in classroom. But the I-Ching shows us alternative idea for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Following the Ch'eng-I's opinion, the language of the I-Ching is the manifestation of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which contains everything in the world without distinctions, and the I-Ching is the device for people to reach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through the language. Chu-Hsi suggests that the ideal state of the I-Ching is reached only by divination of the I-Ching. Ch'eng-I's opinion for ideal of the I-Ching and Chu-Hsi's method for realizing it give us alternative idea against the common sense for role of teacher and educational method in classroom. The language in subject matter is the manifestation of it's form which contains all subject matter without distinctions. Teacher possesses form of subject matter in his/her mind, the activity of teacher is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of the form in his/her mind. Although he cannot help using language for making the form in his mind manifest, the linguistic manifestation of the form must go with the emotional manifestation as total bodily activity.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serves students as an approximation of the form, which is a primary force for making students strive to possess the form of school subjects. In this respect,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must be mediate between student and school subject. Consequentially, teacher's connection between student and school subject is the basi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heory.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 :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찾아서

        박채형(Park Chae-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를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염두에 두고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등장시킨 Schwab의 문헌을 비롯하여 세계경제포럼의 아젠더 및 OECD와 UNESCO의 각종 보고서에 지적된 사회의 변화와 미래의 역량을 적극적 논의와 소극적 논의로 양분하여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제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사회의 변화는 미래의 역량에 관한 논의를 2가지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미래의 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역량을 내세우는 것이 한 가지 방향이라면, 다른 한 가지 방향은 새로운 역량이 기존의 역량을 넘어서지 못한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와 미래의 역량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러한 적극적 논의와 소극적 논의는 그대로 교육에 관한 담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의 교과 기반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변화시키고 교사의 역할도 그것에 일관되게 선회시키는 논의와 함께 거기에 깔려있는 난점을 지적하면서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사의 근본적인 역할을 뒤돌아보는 논의가 바로 그 담론이다. 결론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논의는 오늘날 그러한 긴장관계 속에서 펼쳐지고 있지만, 초등교육의 정체성은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이나 그것에 일관된 기존의 시각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교육과정과 교사에 관한 소극적 논의에 귀를 기울이는 가운데 적극적 논의를 가미하는 방향에서 확립될 필요가 있다.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그러한 방향에서 확립하는 것은 제4차 산업혁명이 지향해야 할 인간 중심의 정신을 구현하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지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nd the future of teacher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ooking for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I revealed social change and future capabilities 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perspective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K. Schwab s famous book, Agenda of the World Economic Forum, OECD and UNESCO s reports on it. Results The social change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are leading the discussion on core competencies in two directions: to put forward new competencies that fit into future society and to point ou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new competencies and existing ones. These active and passive discussions surrounding changes in society and future competencies continue to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There is an active discussion that the existing curriculu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at the role of teachers should be shifted consistently to it. Pointing out the difficulties underlying in active discussion, the passive discussion of looking back on the existing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role of teachers follows them defensively. Conclusions The discussions of educational societies of Korea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unfolding amid such tension today. But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seems desirable to be established in a way that adds active discussions while listening to passive discussions on curriculum and teachers, as Germany’s Industrie 4.0 and its consistent view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in such a direction would be fundamental way to embody the humanism which has been pursu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매력과 함정

        박채형(Park Chae-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보비트가 주도한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매력과 함정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매력은 거기에서 활용된 교육과정 개발의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개발된 교육과정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이 운동은 테일러의 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미래 생활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의 무게중심을 예일 보고서가 강조했던 이론적 지식에서 스펜서가 강조했던 실제적 지식으로 돌려놓았다는 점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런데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에 갈채를 안겨준 바로 그 성격과 방법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거기에서 활용된 과학적 방법은 교육이 일반적인 원리보다 구체적인 행동을 겨냥하는 활동으로 오해하도록 만들 뿐만 아니라 교육목표가 규범의 영역보다 사실의 영역에 속하는 요소로 착각하도록 만들기도 하며, 실제적 지식을 교육과정의 요체로 받아들이는 것은 학습자를 존중하는 진정한 시도가 될 수 없다는 것이 바로 그비판이다.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은 이 비판 이외에도 당사자로 하여금 그 운동을 이끈 자신의 능력을 송두리째 부정하도록 만든다는 근본적인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들 비판에서 벗어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후세대가 수행해야 할 교육과 정의 한 가지 근본적인 과제로 받아들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appeals and pitfalls of scientific curriculum movement initiated by F. Bobbitt and his colleagues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or the early 20th century. The movement has many kind of appeals which are originated in the method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he method. That is to say, the movement was received favorably in shifting the locus of curriculum from theoretical knowledge to practical and using the scientific method to survey and analyze the life of adults extensively to find out everything that is helpful to the future life of students. But, there are pitfalls in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method used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that were conceived as elements of appeal of it. The scientific method used in developing curriculum produces a kind of illusion which makes us to see what is as what should be. It is not a way to respect the students honestly to laying practical knowledge as very core of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 pitfalls, the movement fraughts with fundamental problem. It is that the subject would contradict himself in the process of the movement totally. To explore the ways toward the problems is to be basic task for next generations who will participate in curriculum inquir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사 친화적 재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거점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내용을 현장 친화적으로 재편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세 부장교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한 이후에 거기에서 얻은 그들의 견해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그 속에 포함된 세부적인 내용을 재편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을 이루어진 제1장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목표, 편제, 시간 배당 기준으로 이루어진 제2장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기준, 행정사항, 교과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편제 외 활동, 평가로 이루어진 제3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재편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오직 세 부장교사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론적인 성격을 띤다. 그래서 본 논문에 의하여 재편된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확신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관심과 노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public the draft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December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the form and contents of general guide lines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elementary education more teacher-friendly. To achieve the purpos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on business of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Chapter Verse Ⅰ The Basic Direction of Curriculum 1. Desirable Human Characters 2. Cardinal Competences Ⅱ The Standard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1. Educational Goal 2. Formation 3. Time Allotment Ⅲ The Way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1. Basic Direction 2. Formation-in Activity 3. Formation-out Activity 4. Evaluation Of course, it is difficult that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get consent unanimously in elementary schools, because these are based on three teachers only and modified preliminarily. It would rather be improved than received. I expect that the form and contents are refined more teacher-friendly through their attention and endeavor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부터 통합교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의 통합교과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당시의 교육과정은 분과적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그 이후 네 차례의 개정을 겪었다.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겪어온 그러한 변화는 제7차 교육과정을 분기점으로 하여 급선회하였다. 즉, 제4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분과교과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분과교과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에 점점 더 강력한 형태로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은 이 점에서 통합교과가 분과교과의 압력에서 벗어나 독자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투쟁의 역사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critically. It is in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o be used integrated subject matt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ut, in that time, the integrated subject matters were not compiled in the basis of integrated curriculum. Because the 4th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by departmental viewpoint. We can se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5th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tim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undergone revisions four times. They say that among the revised curriculum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most serious changes. Exactly speaking, former curriculums were governed by departmental school subjects, and endeavors to escape from the subjects started from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ose endeavors have continued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y the way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matter of fact, to follow the spiri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dopted ``activity theme centered integration`` as idea of integrated curriculum. But,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d three kind of integrated school subjects: Good Life, Wisdom Life, and Pleasure Life.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se three integrated school subjects are integrated as one. Consequently,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become to define as one of struggle for winning independent status of integrated school subjects against to the departmental.

      • KCI등재

        사교육 동향과 정책의 일관성 및 현실성 분석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채형(Park, Chae-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이 글의 목적은 부산시 교육청의 사교육 경감 대책이 교육부의 사교육 경감 정책 이나 부산시의 사교육 동향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일관성과 현실성을 초등학교에 국한시켜 확인하는 데에 있다. 부산시 교육청의 초등학교 사교육 경감 대책은 표면상 그러한 두 가지 기준에 일관되는 영어교육과 수학교육의 강화, 돌봄교실의 질 제고, 방과후학교의 확대, 예·체능교육의 강조를 특징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산시의 그 대책은 사교육에 관여하는 여러 주체들의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행교육방지법은 현실성이 부족하였고, 영어교육과 수학교육의 내실화는 학부모들에게 크게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예·체능에 관한 대책은 학생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는 학부모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평가마저 받고 있었다. 그래서 부산시 교육청의 초등학교 사교육 경감 대책은 학부모를 비롯하여 여러 관계자들의 눈높이에 맞고 현실성 있게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dentify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against private education made in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policies esta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policy and the trend of private education in the cit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he polices of institution of Busan to reduce priva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apparently characterized by strengthening English education and math education, enhancing quality of care classes for 1-2 grades, expand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mphasizing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nsistent with those two criteria. However, the polices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many involved in privat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Act on Prevention of Pre-Education lacked practicality, the substantiality of English education and math education were not much welcomed by parents, and measures on art and physical education were not drawing much attention from students. In particular, care classes and after-school were even criticized for not meeting the high expectations of parents. Therefore, the institution of Busan came to the conclusion that police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need to be taken in a realistic way to meet the expectations of parents and other officials.

      • KCI등재

        교육방법의 구현체로서의 교사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activity in classroom in the light of the I-Ching`s divination. It is said that transmitting subject matter to student is the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A number of teacher also accepts it as Me/her role in classroom. The common sense for teacher`s role require us to think the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 to student effectively as the basic interest of teacher through variant educational media and technique. The I-Ching shows us alternative idea for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Following the Ch`eng-I(정이)`s opinion, the language of the I-Ching is the manifestation of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which contains everything in the world without distinctions, and the I-Ching is the device for people to reach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through the language. Chu-Hsi(朱熹) suggests that the ideal state of the I-Ching is reached only by divination of the I-Ching. Ch`eng-I`s opinion for ideal of the I-Ching and Chu-Hsi`s method for realizing it give us alternative idea against the common sense for role of teacher and educational method in classroom. The language in subject matter is the manifestation of it`s form which contains all subject matter without distinctions. Teacher possesses form of subject matter in his/her mind, the activity of teacher is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of the form in his/her mind. Although he cannot help using language for making the form in his mind manifest, the linguistic manifestation of the form must go with the emotional manifestation as total bodily activity.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serves students as an approximation of the form, which is a primary force for making students strive to possess the form of school subjects. In this respect,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must play a critical role in realizing the ideal of education. In short, the realizing the ideal of education relies on teacher`s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