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형 X-ray 발생장치를 이용한 복부 촬영 시 공간 선량률에 관한 연구

        박창희,Park, Chang-Hee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0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2 No.2

        This experimental study is carried out one of the General Hospital in Kyungbok providence. Abdomen Phantom being located Anterior-posterior(AP) position on portable bed, and the portable X-ray generating device was placed the phantom at $-90^{\circ}$ direction. The experiment were set 65 kVp, 10 mAs, $10{\times}10\;cm^2$, 100 cm(FOD) for the measurement. Digital proportional counting tube survey meter was used for measuring the space scatter dose. Measurement points of horizontal distribution was set up at $30^{\circ}$ interval by increasing 50 cm radius of upside, downside, left and right. Vertical distribution of measurement points were set up for the vertical plane with a radius of at $30^{\circ}$ intervals with 50cm increments. It is concluded that longer distance from the soure of X-ray significantly decrease radiation dose to the patient and use of the radiation protection device should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o reduce dose to the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리플릿 교육 후 MRI 환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 비교분석

        박창희,한상현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2

        Recently, the penetration rat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higher than the aver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nd the number of MRI scans is increasing. However, MRI scans take longer than other medical devices, and patient movement must be minimized. Therefore, patient discomfort always follows. When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in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n accurate examination,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image of diagnostic value. So, in the past, the patient was asked to read the written guide for the risk and cooperation of MRI, but it was composed of technical terms and difficult-to-understand sentences, so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an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MRI scans to help acquire images of diagnostic value.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evaluate the excellence of leaflet education by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scores were higher after education than before leaflet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RI scans. That 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spections due to leaflet education. In the future, leaflet education will be widely used for MRI examin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images after leaflet education in the future. 최근 OECD 가입국 중에 MRI 보급률이 평균보다 높게 보급되고 있고, MRI 검사의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MRI 검사는 다른 의료장비에 비해 검사시간이 길며, 환자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환자의 불편이 항상 뒤따른다. 이러한 불편한 환경에서 검사 시 정확한 검사가 어려우며 진단적 가치의 영상획득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기존 MRI 검사 시 MRI의 위험성과 협조를 구하기 위해 글로 되어있는 안내문을 제공 하였으나, 전문용어와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들로 구성이 되어있어 이해도가 낮아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MRI 검사의 이해도를 높여 진단적 가치가 있는 영상획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여 리플릿 교육의 우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리플릿 교육 전보다 교육 후의 이해도와 만족도의 점수는 각각 4.44±0.55 점, 4.85±0.37 점으로 높았으며, 학력에 따라 이해도의 차이는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MRI 검사 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향후 MRI 검사에서 다양하고 이해하기 쉬운 리플릿 교육이 널리 보급되어 환자의 적극적인 검사 협조로 보다 질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라시아 지정학 변화와 중러관계: 기원과 발전, 그리고 동북아에 미치는 영향

        박창희 세종연구소 2006 국가전략 Vol.12 No.3

        This article deals with a main question, "what has the impact of Eurasian geopolitics been on the Sino-Russian relations?" focusing on three sub-questions: first, what is the origins of the Sino-Russian relations?; second, what kind of geopolitical interests has enabled them to deepen their relationship into 'strategic partnership' through 1990s and establish the 'new treaty' in 2001?; third, what are the prospects for their future relations and the implications o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To approach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focuses two geopolitical concepts: 'geostrategic balance' and 'spheres of influence.' Eurasian geopolitics, since 1980, has been a decisive factor to dictate the Sino-Russian relations. Whenever the U.S. and her allies dominated in Eurasian geopolitical configuration, China and Russian had no choice but strengthening their ties to maintain regional geostrategic balance as well as protect their own spheres of influence. Considering the past tendency and the current dynamics of Eurasian geopolitics, which the U.S. has been mustering regional alliances and expanding her military influences throughout the Continent, the Sino-Russian relations will become further deepened, in the foreseeable future, towards 'quasi-alliance' rather than 'convinient alignment.'. Such enhanced Sino-Russian relations will ultimatel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ensions and conflicts with the U.S.-Japan-NATO alignment and, thus, bring negative implications o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and some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이 글은 유라시아 지정학 변화가 중국-러시아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한다. 1980년대 중국과 소련이 과거 적대관계에서 벗어나 현재의 중러관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기원과 1990년대를 통해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심화시키고 2001년 신우호협력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던 지정학적 이익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중러관계 전망 및 동북아 지역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강대국들의 안보정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지정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지전략적 균형’(geostrategic balance)―지리 및 전략적 수준에서 형성되는 역학관계―과 ‘영향권’(sphere of influence)―정치 및 군사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변국 또는 주변―이라는 두 개의 지정학 개념을 중심으로 중러관계를 분석한다. 198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 유라시아 지정학 변화는 중국-러시아 관계를 지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었으며, 향후 중러관계 역시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미국의 지역동맹이 강화되고 군사적 영향력이 확대될수록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중러관계의 강화는 부득불 미일동맹 및 나토동맹과의 대립 및 충돌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동북아 지역 안보환경 및 한반도 현안 해결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 : ‘제한적 근해우세’

        박창희 세종연구소 2012 국가전략 Vol.18 No.4

        This paper, to conceptualize ROK Navy’s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firstly examines maritime strategic thoughts of the strong states and the weak states, and, based on it, propose strategic principles and strategic concepts that ROK Navy should follow. ROK Navy has several missions from preparing for North Korean provocations to countering neighboring states’ potential threats and even international maritime threats. Considering current naval capabilities, ROK Navy should pursue a “strong state strategy” against North Korean Navy and a “weak state strategy” toward its neighboring states. More specifically, Korean Navy should focus on securing “sea control at coastal area” against the North and “limited superiority at offshore” against neighbors. Also, it should have capability to implement “cooperative combined operations at blue water” with regional states. In mid- and long-terms perspectives, ROK Navy should consider “limited superiority at offshore” as the core maritime strategic concept, because it will enable itself the capability to counter North Korean Navy at the same time and also to promote combined operations at distant waters. 이 글은 21세기 한국해군의 전략을 개념적으로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해양전략사상을 강대국의 입장과 약소국의 입장에서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해군의 전략원칙과 개념적 틀을 구상한 다음, 이에 맞추어 해군이 추구해야 할 전략을 개념적으로 제시한다. 한국해군은 북한의 위협 대비로부터 주변국의 위협 대비, 그리고 국제해양안보 위협에 대비하는 것까지 다양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현재 해군의 능력을 고려할 때, 그리고 미래에 갖추어야 할 능력의 범위를 고려할 때 우리 해군은 북한에 대해서는 “강자로서의 전략”을, 그리고 주변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자로서의 전략”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해군은 북한에 대해 우세한 입장에서 “연안지역에서의 통제”를, 주변국 위협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열세한 입장에서 “근해지역에서의 제한적 우세”를 달성해야 한다. 그리고 국제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국가들과 “원해에서의 협력적 해양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한국해군의 전략은 “제한적 근해우세”를 추구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근해우세를 확보할 경우 자동적으로 연안에서의 북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원해지역에서 협력적 작전을 가능케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