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에 관한 연구

        박창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factors affect happiness of the middle-aged in retirement transition period,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in 2016 was used for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740 the middle-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were selected. Ordered logistic model was us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aving spouse, and education level, labor forces participation, club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hav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econd, any type of leisur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Third,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Fourth, weekday leisure time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but holiday leisure tim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Fifth,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ix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ome determinants of happiness differ by age group of middle-aged as follows. First,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ge group of 50-54 years old but has no effect on happiness of age group of 55-59 years old, 60-64 years old. Second, holiday leisure tim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Third,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Four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본 연구는 은퇴 전환기 연령에 속하며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을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수집한「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 중 50~64세 중고령자 2,740명을 추출하여 순서로 짓모형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동호회 참여,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류한 어떤 종류의 여가 유형도 다른 여가 유형보다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여가 비용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평일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여가시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휴일 여가시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일보다는 여가생활에 집중하는 경우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여가생활만족도는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 중고령자들을 3개의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연령 집단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달랐다. 첫째, 여가비용은 50~54세 중고령자 집단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의 행복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휴일 여가시간은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보다 여가에 집중하는 경우가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가생활만족도는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응급실 내원 수단에 따른 중증도 분류와 치료시간 비교

        박창제,이경열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020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ccording to the mode of arrival affect the emergency medical proces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8 adult patients (46 patients admitt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48 walk-in patients, and 24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at one regional-level medical center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between January 1, 2016 and December 31, 2017. To compare treatment courses, the median values of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groups: symptom to door time; door to triage time; and door to ECG time.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initial assessment at triage, there was a significantly greater proportion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tage (KTAS) Level 1 or 2 among patients admitted by EMS than among walk-in patients. All three analyzed variables were lower in patients admitted by EMS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ACS patients who accessed EMS reached the emergency center faster after symptom onset, received initial triage assessment at earlier stages, and underwent sooner important examinations (i.e., the 12-lead ECG).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사적 재무적 준비와 영향요인 비교

        박창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gnitude and determinants of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boomers and those of the pre-babyboomers in Korea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2,004 pre-baby boomers in first wave(2006) and 1,698 baby boomers in fifth wave(2014)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are.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boomers is low but is higher than that of prebabyboomers. Second, the percent of 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is higher than the percent of pre-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Second,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in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decrease with aging. Third, the lower income is the lower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in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Fourth, 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 Fifth, educ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 baby boomers only. Sixth, household incom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Seventh, ownership of housing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babyboomers only. Eighth, herit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Ninth, any factor among need factors(number of children, health dissatisfaction, longevity possibility, region) has no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 본 연구는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와 노년기에 진입한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저축성보험으로 대표되는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한다. 연구대상자는 고령화패널의 1차년도(2006년) 베이비붐 직전세대 2,004명과 5차년도(2014 년) 베이비붐 세대 1,698명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지만 베이비붐 직전세대보다는 약간 높았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떨어졌다. 셋째, 소득이낮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다. 넷째, 연령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와 베이비붐 세대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육수준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가계소득수준이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주택보유는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유산은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자녀수, 건강불만족, 장수가능성, 지역으로 구성된 필요요인들은 어느 요인도 베이비붐 직전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공히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주지 못하였다.

      • KCI등재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창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n the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of the decision type for retirement a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from 3 wave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2009 we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available data for 1,313 elders aged between 56 and 70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oluntary retirement of the retired eld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conomic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but no effect on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for health or tota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of the retired eld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conomic life satisfaction and total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but no effect on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for health.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decision type for retirement a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affect differently by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retired elder. In the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have to reflect the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elders when they design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retired elder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에서 56-70세 사이 고령자 1,31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자발성은 경제적 측면의 생활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주지만 건강 생활만족도나 전반적 생활만족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는 경제적 측면의 생활만족도와 전반적 생활 측면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큰 영향을 주지만 건강측면의 생활만족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발적인 은퇴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유형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은퇴준비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유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