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Testicular Histopathology on Pregnancy Outcomes in Non-Obstructive Azoospermia

        박찬우,서주태,박용석,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Park, Chan-Woo,Seo, Ju-Tae,Park, Yong-Seog,Kim, Hye-Ok,Yang, Kwang-Moon,Kim, Jin-Young,Koong, Mi-Kyoung,Kang, Inn-Soo,Song, In-Ok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4

        목 적: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 (Intracytoplsmic sperm injection, ICSI)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배아 이식을 시행한 122주기를 분석하였다.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Germ-cell aplasia (GA, 40주기), Maturation arrest (MA, 32주기) and severe hypospermatogenesis (S-HS, 50주기)로 구분하여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체외수정시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각각 58.1% in GA, 42.2% in MA and 48.0% in S-HS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72.9%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p<0.001).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채취된 정자 (spermatozoa, 94주기)로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배아 이식 후 임신율은 각각 22.6% in GA, 29.4% in MA와 26.1% in S-HS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16.1%, 29.4%와 19.6%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정자세포 (spermatid, 16주기)를 사용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3 주기), 9.1% (1/11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0.0%이었다. 정모세포 (spermatocyte, 12주기)를 사용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6주기), 0.0% (0/4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도 각각 0.0%이었다. 결 론: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의 배아이식을 시행한 주기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에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정자를 채취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는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Objective: To evaluate outcomes of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NOA) undergoing the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combined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with different histopathologic subgroups. Method: A total of 122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s were compared among NOA subgroups; Germ-cell aplasia (GA, 40 cycles), Maturation arrest (MA, 32 cycles) and severe hypospermatogenesis (S-HS, 50 cycles). Obstructive azoospermia (OA, 667 cycles) patients were served as a control. TESE/ICSI outcomes such as fertilization rate (FR), clinical pregnancy rate (CPR) and live birth rate (LBR) were evaluated. Results: The 2PN FR of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 was 58.1% in GA, 42.2% in MA and 48.0% in S-HS,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A (72.9 %, p<0.001). For ICSI-spermatozoa cyc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PR (22.6%, 29.4% and 26.1%) and LBR (16.1%, 29.4% and 19.6%) among NOA subgroups. The CPR of ICSI-spermatid cycles was 0.0%, 9.1% and 0.0% without a live birth. For ICSI-spermatocyte cycles, no clinical pregnancies occurred in any group.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 of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s among NOA subgroups. The FR among all NOA sub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A. Testicular histopathology in NOA did not affect successful pregnancy if spermatozoa extraction from the testis is successful and embryo transfer is possible.

      • On-demand destruction of electronics based on thermo-responsive coatings and microcapsules

        박찬우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Electronics that disintegrate after stable operation for a desired amount of time are of great interest for secure memory devices, biomedical implants and environmental sensors. We report thermal-triggered transient electronics based on protective wax coatings and microcapsules that contain encapsulated acid microdroplets. Upon exposure to sufficient heat, the melting of the wax releases the encapsulated acid which then enables rapid device destruction via acidic degrad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In addition, using a cyclic poly(phthalaldehyde) (cPPA) substrate, acid sensitive low Tc polymer, affords a more rapid destruction of the device due to acidic depolymerization of cPPA. An autonomic and self-destructive device was demonstrated, where heat triggering is remotely controlled by inductive coupling, and wirelessly powered heater successfully initiated device destruction.

      • 공융용매를 이용한 리그노셀룰로오스 전처리 및 나노해섬효율성 평가

        박찬우,한송이,박지수,이은아,( Azelia Wulan Cindradewi ),권구중,이승환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Choline chloride (ChCl)/lactic acid (LA) 및 betaine (BE)/lactic acid (LA)를 1/1, 1/2, 1/5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potassium carbonate (PC)/glycerol(GLY)을 1/4, 1/5, 1/7 비율로 혼합하여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소나무 목분 (2g)을 100, 120, 130°C의 공융용매에서 6, 12, 24h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리그노셀룰로오스의 무게감소율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반응조건에서 ChCl/LA > PC/GLY >BE/LA 순으로 무게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고압호모지나이저에서 반복해섬하여 CNF를 제조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반응시간 및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섬유직경이 감소하고 균일한 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을 보였다. 같은 반응조건에서는 ChCl/LA, PC/GLY, BE/LA 순으로 CNF의 평균직경이 작고, 여수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KFSC)을 이용한 수확 주기 및 강도와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소나무림 토양탄소 저장량의 장기 변화 추정 연구

        박찬우,이궁,이종열,이경학,이명종,김춘식,박관수,김래현,손요환 韓國林學會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1

        벌채 수확은 토양 내 탄소 동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수확에 따른 토양탄소 변화를 현지에서 장기간 연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건이 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토양탄소 변화 경향을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한국형 산림토양탄소 모델(KFS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중부지방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임분을 대상으로 수확의 주기, 강도,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산림토양탄소 동태의 장기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3개의 수확 주기(50년, 80년, 100년), 2개의 수확 강도(재적 대비 30%의 부분수확 및 100%의 개벌수확), 2개의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지상부 잔재물의 전량 수거 및 전량 방치) 등을 조합하여 총 12개로 이루어졌으며, 연간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를 400년 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400년 후 30 cm 깊이까지의 토양탄소 저장량은 시나리오별로 50.3-55.8 Mg C ha-1(현재 토양탄소 저장량 대비: 98.1-108.9%)의 범위를 나타냈다. 수확 후 잔재물을 전량 방치할 경우 잔재물을 전량 수거할 때보다 토양탄소 저장량이 2.5-11.0%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나, 수확 주기 및 강도에 따른 토양탄소 저장량 변화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 경향은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였으며,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은 수확 시 발생하는 고사유기물의 양과 수확 후 임분 생장 형태에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arvest is one of the major disturbances affecting the soil carbon (C) dynamics in forests. However, researches on the long-term impact of periodic harvest on the soil C dynamics are limited since they requires rigorous control of various factors. Therefore, we adopted a modeling approach to determine the long-term impacts of harvest interval, harvest intensity and post-harvest residue management on soil C dynamics by using the Korean Forest Soil Carbon model (KFSC model).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on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in central Korea, and twelve harvest scenarios were tested by altering harvest intervals (50, 80, and 100-year interval), intensities (partial-cut harvest: 30% and clear-cut harvest: 100% of stand volume), and the residue managements after harvest (collection: 0% and retention: 100% of aboveground residue). We simulated the soil carbon stock for 400 years for each scenario. As a result, the soil C stocks in depth of 30 cm after 400 years range from 50.3 to 55.8 Mg C ha-1, corresponding to 98.1 to 108.9% of the C stock at present. The soil C stock under the scenarios with residue retention was 2.5-11.0% higher than that under scenarios with residue collec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harvest interval and intensity on the soil C stock. The soil C dynamics depended on the dead organic matter dynamics derived from the amount of dead organic matter and growth pattern after harvest.

      • KCI등재후보

        스쿠버 다이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 1례

        박찬우,옥택근,조준휘,이희영,이성원,정해혁,김성은,최기훈,배지훈,서정열,정재봉,안희철,안무업,유기철 대한응급의학회 2004 大韓應急醫學會誌 Vol.15 No.6

        Recently,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SCUBA) diving’s popularity has been increasing tremendously. Most diving injuries are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gas and to pressure changes during descent and ascent. A scuba diver at depths greater than 7 m may accumulate a tissue partial presure of nitrogen large enough that, on ascent to the surface, nitrogen exist the tissues rapidly, forming bubbles in the blood and other organs, which is known as decompression sickness (DCS). Although both of these bubble disorders can, in theory, cause injury to skeletal muscles (rhabdomyolysis), the case are report here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massive muscle necrosis after scuba diving. We report a case of rhabdomyolysis presented with general weakness after scuba diving.

      • 벌크목재를 이용한 나노셀룰로오스 스캐폴드 제조 및 특성 평가

        박찬우,이은아,한송이,박지수,박정윤,권구중,이승환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천연 목재세포벽의 마이크로피브릴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나노셀룰로오스 스캐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목재 시편(20mm × 20mm × 20 mm)을 탈리그닌 처리를 하였다. 탈리그닌 처리에는 아세트산과, 30% 과산화수소수를 1:1.5로 혼합시킨 후, 1.5wt%의 황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과초산 용액을 사용하였다. 80°C 온도 조건에서 5h동안 과초산처리를 하였으며, 셀룰로오스 마이크로피브릴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tert-butyl alcohol로 용매치환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스캐폴드의 형태학적 특성, 밀도, 비표면적, 화학조성비 등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는 2018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18R1D1A1B07051123).

      • KCI등재

        금전초 섭취 후 발생한 입 주위 마비 및 이상 감각

        박찬우,조준휘,배준호,문중범,천성빈,안기옥,이희영 대한응급의학회 2011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2 No.4

        Glechoma longituba is a common medicinal plant that is common in wet and sunny land. This plant is used to treat various illnesses including jaundice and edema. But, ingestion of the plant can cause severe pain and swelling on lip and mouth. We experienced three cases that had oral pain and sensory change after ingestion of G. longituba, which we report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특수교육정책에 대한 인식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박찬우,최나리,강은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olicy regarding plan-operation-evaluation processes and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special education policy direc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es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job training students, and 8 parents were focus group interviewe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wice with semi-structure interviews type and it lasted an hour and half. [Results] As a result, 5 upper categories and 13 sub categories were found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special education policy,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policy plans and operations, and suggesting of education policy plan and operation, special education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by reflecting special education stakeholers' need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정책의 기획-운영-평가 과정에 대한 특수교육당사자인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정책이 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과정별 특수교사 8명과 학부모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면담은 반구조화된 방법으로 특수교사와 학부모별로 총 2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회기 당 면담 시간은 약 1시간 30분가량이었다. [결과] 연구결과, 5개의 대주제와 13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1)특수교육정책에 대한 이해와 공감, 2)특수교육정책의 기획-운영의 문제점, 3)특수교육정책의 기획-운영 방향에 대한 제안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제시하는 특수교육정책이 교육당사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학생중심의 교육정책이 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